Part 1. 수립목적 및 경과
공공의료 :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보건의료기관이 지역, 계층,분야에 관계없이 국민의 보편적인 의료 이용을 보장하고 건강을 보호 증진하는 모든 활동
기본계획 수립 목적
국민에게 양질의 공공보건의료를 제공하고 체계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중장기·종합적 국가 계획 수립 필요
추진 경과
제1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2016~2020) 수립(’16) 이후 여건 변화 대응 및 추가 대책 필요성 등에 따라 관련 대책 지속 마련·추진
그간 대책 내용을 종합적으로 보완·발전하고 새로운 정책 수요 등을 반영해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안(2021~2025) 마련
Part 2. 평가 및 현황
1. 제1차 기본계획(2016~2020) 기간 평가
<주요성과>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첫 법정 중장기 종합 계획 및 관련 하위 계획을 수립하여 공공보건의료 제공에 대한 국가 차원의 비전 제시
기본 계획 수립 이후 지역 필수 의료 연계&협력에 대한 정책 보완을 책임 의료기관 제도 도입('19)
<한계 및 보완 필요사항>
공공보건의료의 기능 중심 확대라는 목표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민간 공급 부족에 대한 보완 등 잔여적 차원에서 계획 수립
예측이 어려운 상황 변화, 이해관계자 반대 등에 따라 과제 이행부진이나 구체적 성과가 부족한 경우도 발생
양질의 적정 보건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공보건의료기관 인력, 운영 등 지속 지원을 통한 역량 강화 중요
공백없는 필수 의료 제공은 물론 공중보건위기 대응을 위해 각 주체 간 협력&조정 체계 마련 시급
2. 공공보건의료 현황 및 문제점
<공공의료기관의 양적 부족 및 지역 간 의료 공급, 건강 격차 심화>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의료비 지출로 높은 건강 수준 유지
대도시와 수도권에 의료기관, 의료인 등 자원이 집중되어 지역 간 의료 공급·이용 불균형 문제 지속
의료 자원 불균형에 따라 지역별 건강 수준의 격차 증가
<인력, 기관 등 공공보건의료 자원의 역량 부족>
코로나 19 대응 과정에서 공공병원이 환자의 80% 이상 진료함으로써 공공보건의료의 중요성 및 지역 공공병원의 낙후된 시설과 인력부족의 취약요건 확인
공공의료 전달 체계의 주요기관에 요구되는 공공적 역할에 비해 실제 활동 미흡
- 국립중앙의료원 : 부지 인력 부족
- 국립대학병원 : 지역 공공의료 생태계 상생 & 지원 역할 부족
- 지방의료원 : 의료수준의 저하 > 경쟁력 미흡
>지역 간 필수 의료 공급 및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해 공공보건의료 수행기관 및 필수 분야별 제공 체계 확충 필요
<공공보건의료 협력 & 지원 등을 위한 제도적 기반 미흡>
공공보건의료의 지역
Part 3. 수립 방향 및 추진 체계
1.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 수립 방향
<2분야> 공공보건의료 역량 강화
공공보건의료 인력 양성 및 지원
의사, 간호사 확충 및 지역 균형 배치 방안 마련 https://www.youtube.com/watch?v=eiKQrfmJEhg
인력에 대한 종합적 지원 관리 체계 마련, 교육 훈련 기관별 역할 정립
공공의료기관 운영 개선 및 역량 강화
공공병원 전문 지원 조직 부재 및 의료 적자, 낙후된 시설 등 운영 여건 열악 ⇨ 설립부터 운영까지 전 주기, 전문적 지원을 위해 공공보건 의료개발원 설립 등 추진, 시설·장비 보강, 운영 개선 지원
국립중앙의료원 및 국립대학병원의 공공적 역할 확대
국립중앙의료원 이전.신축과 함꼐 국가 중앙병원으로서 기능 강화
국립대학병원의 공공적 역할 및 평가 제도화, 지역 의료 연계 강화
첨단 정보통신 기술 활용 강화
공공병원의 첨단 기술 활용 미흡 ⇨ 정보화 비전에 따라 차세대 EMR 도입, 첨단 장비 활용, 정보 공유 확대
3분야 - 공공보건의료 제도 기반 강화
공공보건의료 협력 지원 체계 구축
-공공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 운영
-시 도 공공보건의료위원회 운영
-시 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확대 강화
재원 및 유인 체계 강화
-공공보건의료 재원 총괄 점검 체계 마련
-필수 의료 제공 협력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 개선
평가 체계 정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추진 관리 강화
-공공보건의료기관 평가 체계 정비
책임의료기관 중심 필수보건의료 협력 기반 확대
-책임의료기관 확대 발전
-책임의료기관 협력 사업 분야 확대
재정 투입 계획
᷺제 2차 공공 보건 의료 기본 계획(2021-2025) 이행을 위해 소요되는 5년 간 총 재정 투자 규모는 약 4.7조 원으로 추계 (국비 기준)
* 연 평균 약 9,310억 원으로 ’21년 보건의료 예산(13조 8,000억 원)의 6.7% 수준
분야별로는 지역 공공병원 신·증축*, 응급·심뇌혈관질환 등 필수의료 제공 체계 확충 23,191억, 국립중앙의료원 이전·신축, 지역 공공병원 시설·장비 보강 등 공공보건의료 역량 강화 21,995억, 책임의료기관 확대·운영 등 공공보건의료 제도 기반 강화 1,366억 원 투자 필요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의 차질 없는 집행을 위해 투자 계획을 국가중기재정계획에 반영 및 단년도 예산과 연계 강화 추진
공공보건의료 정책·사업 추진 방향 및 진행 상황, 재정 여건 등을 주기적으로 검토해 합리적인 재정 지원 수준으로 조정
주요 성과 지표
필수의료 제공 체계 확충
1. 치료가능사망률 (10만 명당, 중진료권) 현재 : 43.8명 → 목표 : 30.7명
2. 치료가능사망률 지역 격차 (5분위 격차비) 현재 : 1.41배 → 목표 : 1.27배
3. 지역 공공병원 신·증축 수 목표 : 20개소 + α
공공보건 의료 역량 강화
1. 지역핵심의료기관 의료인력 확충 (기관 평균) 현재 : 전문의 30명, 간호사 150명 → 목표 : 전문의 40명, 간호사 200명
2. 인턴·레지던트 수련 지방의료원 확대 현재 : 7개소 → 목표 : 20개소
공공보건 의료 제도 기반 구축
1. 시·도 공공보건의료위원회 운영 확대 현재 : 1개 시·도 → 목표 : 17개 시·도
2. 시·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전국 설치 현재 :13개 시·도 → 목표 : 17개 시·도
과제별 추진 일정
필수의료 제공 체계 확충
1. 공공보건의료 수행기관 확충 및 역할 정립
2. 지역 완결적 필수중증의료 보장
3. 건강 취약 계층 및 수요 증가 분야 지원
4. 공중보건위기 대응 체계 구축 및 역량 강화
공공보건의료 역량 강화
1. 공공보건의료 인력 양성 및 지원
2. 공공의료기관 운영 개선 및 역량 강화
3. 국립중앙의료원 및 국립대학병원의 공공적 역할 확대
4. 첨단 정보통신기술 활용 강화
공공보건의료 제도 기반 강화
1. 협력 및 지원 기반 확대
2. 재원 및 유인 체계 강화
3. 평가 체계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