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환자안전 정책은 의료서비스 제공과정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예방을 최소화하기 위함, 모든 국민에게 환자안전 활동에 대한 참여의무 부과
<비전>
잠재적 환자안전사고 위험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고 의료 질 향상에 기여
<목표>
1. 환자안전관리 인프라 구축 및 환자안전사고 보고활성화
2.환자안전 실태분석을 기반으로 지표 개발, 성과관리체계 구축
3.환자안전 실태분석을 기반으로 지표 개발, 성과관리체계 구축
4.환자안전 역량 강화
5.환자안전 R&D 투자 확대
6.환자안전문화 형성
환자안전 사고에 대한 통합적 정보관리 체계 구축, 시스템 단계적 고도화 추진
1) 환자안전 보고학습시스템 정보화 기반 구축
2) 통합정보 관리체계 정립(고도화)
3) 대국민 통합정보서비스 제공
환자안전서비스포탈 오픈, 연차적 고도화 사업 추진
의료질 향상을 위한 전담기관의 설치 및 운영
국가환자안전본부 설치, 운영
환자안전활동 지원 역량이 있는 기관 및 단체 등을 환자안전 지원센터로 지정, 환자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연계 인프라 구축
환자안전사고의 국가 차원 유형, 빈도, 경향 실태파악
5년주기로 국가 차원의 환자안전사고 실태조사 실시, 정기적인 환자안전활동 실태조사 실시
국가 차원의 환자안전사고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종합계획 수립시 근거 반영(5년 주기)
정기적인 환자안전활동 실태조사 실시(5년 주기)
추진 계획
환자안전사고 실태조사 실시 및 정례화
환자안전 실태조사를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고 시범조사 실시하여 신뢰성 및 타당성 점검
환자안전사고 실태조사 본사업 실시
환자안전활동 실태조사 실시 및 정례
5년 주기로 환자안전사고 및 활동 실태조사 실시 근거 조항 신설
환자가 적극 참여하는 환자 중심의 안전문화 형성
국가차원의 환자안전주간을 지정하고 선포, 환자가 자신의 진료에 참여하는 정보 기반 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함
교육자료 개발 및 캠페인 전개, 의사가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문화 확산을 위한 캠페인 병행
환자안전인식, 환자안전활동 참여 활성화를 위한 대국민 언론 홍보
합리적인 선택을 위한 통합 환자안전정보 제공 방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