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을 시작하면 플레이어들이 일꾼의 기능으로 타워/서모너를 활성화 하여 각 종족의 확률을 올릴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이렇게 타워/서모너를 활성화한 플레이어들이 많을수록 500만딜을 하기가 쉬워진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뉴비 유저보다는 최소한 타워/서모너를 가진 플레이어들과 게임을 하는 것이 유리하지요.
타워를 활성화 하게 되면 영웅의 일반 공격, 스펠데미지가 증가를 하고 서모너를 활성화 하면 소환 유닛의 공격력이 증가합니다.
영웅이나 소환수를 클릭하게 되면 활성화된 타워/서모너의 숫자만큼 레벨이 증가합니다.
500만딜을 하고자 한다면 타워/서모너 6렙인 경우가 가장 쉽다고 하겠습니다.
즉 타워/서모너를 활성화한 플레이어가 6명인 경우 입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방깍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방깍을 발키리 전까지 확보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발키리 딜이 결정된다고 봐도 무관합니다.
여러 게임을 하면서 지켜본바 대부분의 익스 유저분들이 아이템으로 방깍은 잘 챙기십니다만
타워로 얻는 방깍에 대해서 조금 소홀한 부분이 있습니다. 아이템 방깍&슬로우 / 타워의 방깍 이 두가지로 나눠서 설명을 드립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방깍에는
1티어 온힛 방깍, 2티어 온힛 방깍, 2티어 오라 방깍, 3티어 오라 방깍
슬로우에는
1티어 슬로우, 2티어 슬로우, 3티어 슬로우
이렇게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저분들이 방깍은 기를 쓰고 잘 찾으십니다만 슬로우에 대해선 조금 관대한 편입니다.
그럴수가 있는게 익스 모드에서는 딱히 슬로우가 필수는 아니기 때문이죠
유닛의 이속이 임포/나메에 비하면 느리기 때문에 딱히 챙기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임포/나메에서는 무조건
1티 슬로우
2티 슬로우
3티 슬로우
무조건 챙겨주세요
피전트 딜을 하면서 스킬이 빗나가는 경우도 많이 생깁니다. 익스도 마찬가지 입니다. 재수없으면 스킬 빗나갑니다. 가급적 챙겨주세요.
특히 오크는 무조건 챙겨줘야 합니다. 오크 종족 자체가 홀딩기가 많이 부족하죠?
예를 들면 비스트 마스터가 앵크를 끼면 방깍 12를 줍니다.
(가장 높은 수치의 방깍을 주는 스킬이기도 합니다, 오크의 장점이기도 하지요)
그런데 스킬을 시전하면서 스탬피드스킬이 부딛혀야 12방깍을 주는데 스킬이 안맞으면 비마의 존재 이유 자체가 사라집니다.
물론 배치에 따라 스킬의 적중률을 올릴수 있겠지만 슬로우는 비마의 스킬 적중률을 높여준다는데 포인트가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비스트 마스터의 앵크로 얻는 12방깍(앵크전 5렙 비마 8 방깍, 5렙 비아 앵크후 12방깍)은 타우렌보다 높은 효율을 보여줍니다.
방깍템 찾고 슬로우도 찾으려면 손이 이전보다 바쁘실질 모르겠지만 슬로우도 꼭 챙겨주시길 바랍니다.
굳이 비마 뿐만이 아닙니다. 마엡의 캐리언 스윔이나 마린의 레이저빔도 빗나가기도 합니다.
그러한 상황이 발키리를 하면서 발생하면 상당히 슬프겠지요?
아이템 방깍 & 슬로우의 중요한 요점!
홀대하지 말고 챙기자.
그리고 이 슬로우을 어느 유닛에 껴주는가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부분은 "배치"챕터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타워의 방깍은 대표적으로 소서리스, 사이렌이있습니다.
좀 해보신 유저들은 무조건적으로 조합에 포함시키시는데 항상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배치에서...
이 부분은 "3.배치"에서 설명드리도록 하고
또 아쉬운 부분이 라바+파이어로드 의 방깍을 사용안하신다는 점 입니다.
사실 파이어로드 자체는 데미지 계수가 높고 스킬딜과 소환을 동시에 사용하는 영웅이죠
그런데 스킬자체가 빠르게 움직이는 피전트에 딜을 넣기가 힘들고 소환된 영웅역시 근접이라 무시되는 경향이 있죠.
파이어로드 자체는 계수가 높아 딜이 좋은 편입니다. 고정된 상대한정으로.
레이드에서도 충분히 높은 딜을 냅니다.
문제는 라인몹들 및 발키리가 슬로우나 홀딩기가 없는 상태에서 스킬을 맞으면 그 딜의 최고점을 못본다는 점이죠.
제가 제시하는 것은 파이어로드를 만렙으로 키우는게 아니라 파이어로드는 1개만 라바를 최대한 렙업을 시키고 파이어오브까지 껴주는 겁니다.
인페르날을 잡앗을시의 파이어 에그는 인구수가 남지 않아도 건설이 가능합니다.
10라운드 어느정도 라인이 안정된후에 발키리 전까지 인페르날을 쿨다운 때마다 소환하면 파이어에그가 최소 5개 6개는 모입니다.
발키리 직전에 라바를 5렙까지 파이어로드를 1개만 업해도 파이어 오브 없이 6의 방깍을 얻습니다. 인구레벨업 없이.
발키리 직전 이 부분을 꼭 활용하세요.
제가 아는 몇 사람 모르는 꿀팁중 하나입니다.
이 외에도 방깍을 주는 시너지는 판다+캡틴+팔라딘 조합입니다.
팔라딘의 스킬로 8의 방깍을 줄수 있습니다
인구가 많이 남는 빌드가 아닌이상 추천하지는 않습니다만 여기에 프리스트가 추가되면 홀딩기도 추가가 되죠.
키퍼의 시너지역시 방깍을 주지만 나엘이 아닌이상 추천을 하지는 않습니다.
타워의 방깍의 중요한 요점!
소서, 나가 사이렌, 라바+파이어로드 이부분을 챙겨주면 좋다
또한 인구가 모자라 라바+파이어로드를 챙겨주기 힘들다면 발키리 직전에 알을 팔지 말고 아껴두었다가 직전에 건설하여 확보하도록 하자
이렇게 되겠습니다.
영타디를 더욱 흥미롭게 만들어주는 시스템입니다.
엑설런트 데미지는 영웅의 일반 공격과 스킬에 추가적인 데미지를 줄수 있고
스킬리셋은 스킬을 다시한번 사용하게 하여 무한한 가능성을 심어줄수 있습니다.
영웅(타워)이 최대로 가할수 있는 데미지는 단연 엑셀런트 데미지가 가미된 스펠 혹은 평타의 데미지 입니다.
매번 엑확이 100%가 아닌이상 매번 엑셀런트 데미지를 가할수는 없는데
엑확과 관련하여 평균적인 데미지의 계산 및 아이템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그와 관련하여 게임을 수천번 반복한다고 가정하고 엑셀런트 확률, 스펠리셋은 그 수천번의 게임에서
평균적인 데미지를 얼마나 입힐수 있는지 계산식으로 잠시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평타딜의 경우
평타데미지*((엑확%*증가된엑뎀)+1)
스킬딜의 경우
스킬에관여한스텟*스킬의 스텟계수*(1+증가한 스펠딜)*((엑확%*증가된엑뎀)+1)*(1+리셋효과에의한 스킬딜의 상승 평균값)
이렇게 보면 좀 복잡하지요?
간단하게 생각해서
마킹, 굴단, 그롬과 같은 영웅들처럼 평타딜이 위주가 되는 타워를 주력딜로 라인업을 한다고 하면
스펠딜 보다는 엑확과 엑뎀이 위주가 되겠죠?
마린, 쓰랄, 리치, 킬제, 데몬헌터, 마이에브, 메디브 같은 스펠딜이 중요한 캐릭터들은 엑확엑뎀보다는 스펠딜이 우선이 될수 있지요.
마린, 메디브는 주스텟이 높아서 평타가 강하기도 하지만 결국 발키리를 삭제할만한 딜은 스펠딜에서 나옵니다.
물론 그렇다고 무조건 스펠딜을 높이는 선택지를 가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엑확템이 민첩이고 엑확 엑뎀 보석템의 민첩 상승량이 150이나 되는 만큼 민첩 영웅은 엑셀런트 데미지,
킬제 쓰랄 리치는 스펠데미지 상승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여튼 이와 관련한 선택지가
처음 시작시 세팅을 하면서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로브 중에서 라이트코트를 입느냐, 다크체스트가드를 입느냐 하는 부분과
일꾼의 아웃핏에서 빌더 오브 쉐도우를 쓰느냐 빌더 오브 스피릿을 쓰느냐 하는 부분이 되겠네요.
또한 아이템에서 엑확을 올릴 것이냐, 스펠딜 증가를 올릴 것이야, 리셋을 올릴것이냐 하는 부분에서 선택지가 나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가능한 조합을 살펴보겠습니다.
엑확/엑뎀은 기본적으로 5%확률로/25%증뎀을 가집니다.
블랙드래곤 4렙을 쓰신다면
15%확률로 55%증뎀이 되겠네요
게임중 확보할수 있는 아이템에 의한 엑확은
3000원 엑확템 15% 확률증가
9000원 엑확템 25% 확률증가
민민지 엑확템 35% 확률증가
이 부분에서 기본적으로 3티어 영웅이 기본적으로 엑확을 가진경우에 대해서 봅시다
-----------------------------------------------------------------------------------------------------------------------------------------------------------
마린의 경우에 스킬을 활성화시 20% 엑확과 30%엑뎀, 마린 아바타를 첫번째로 쓰면 25%엑확 40%엑뎀이 됩니다
마킹의 경우엔 스킬을 활성화시 100%엑뎀 증가, 그리폰, 플라잉머신 시너지로 35%의 엑확을 가져갑니다
그롬의 경우엔 그런트, 블마, 레이더 시너지로 스택을 250최대로 쌓을때 25% 엑확이 생깁니다.
마이에브는 전용템을 껴서 45% 엑확과 90%엑뎀 증가가 생깁니다.
-----------------------------------------------------------------------------------------------------------------------------------------------------------
내가 마린을 주력딜로 한다면 세팅을 어떻게 해야될까
마린 아바타를 첫번째로 써서 25%엑확 40%엑뎀이 되는 경우
기본 5%확률로/25%증뎀, 블랙드래곤 4렙 10%확률로/30%증뎀,다크체스트 4%확률로/10%증뎀, 빌더오브 쉐도우 5%확률로/5%증뎀를 사용하신다면
49%확률로 110%증뎀 이됩니다.
여기에 3000원 엑확템 15% 확률증가, 민민지 엑확템 35% 확률증가 만껴줘도 엑확은 99%
민민힘을 껴주면 150%증뎀이 됩니다. 마린이 스킬을 쓰고 증가된 뻥튀기된 민첩의 레이저빔의 딜이 강력하게 들어가겠네요.
현재 마린은 가장 쉽게 500만딜을 할수 있는 타워이기도 합니다. 예전에 제가 레이드를 하면서 1500만 딜을 이블갓에게 하기도 했죠.
만약에 마린빌드로 500만딜을 못하신다 한다면 최소, 전용템 민민지 민민힘 아이템을 껴주었는지 확인해보시고 그래도 딜을 못했다 하신다면
발키리가 빨리 움직이는 바람에 레이저빔이 안맞았거나 재수가 드럽게 없어서 레이저가 많이 안나갔다 등의 이유가 되겠습니다.
전자의 경우에 해당한다면 반드시 슬로우를 세팅해야되는 이유이기도 하겠네요.
-----------------------------------------------------------------------------------------------------------------------------------------------------------
내가 마킹을 주력딜로 한다면 세팅을 어떻게 해야될까
안타깝게도 엑확템은 힘계수가 많지는 않습니다.
기본 5%확률로/25%증뎀, 블랙드래곤 4렙 10%확률로/30%증뎀,다크체스트 4%확률로/10%증뎀, 빌더오브 쉐도우 5%확률로/5%증뎀를 사용하신다면
24%확률로 70%증뎀이 됩니다.
아바타를 활성화하면 35% 엑확과 100엑뎀 증가가 있으니 59%확률로 170%증뎀이 되네요.
여기서 좋은선택지의 아이템은 민민지의 보석템은 힘계수가 없으니 배제하고 민민힘의 엑뎀 증가템, 사일런스 스태프를 껴주시면
84%확률로 210%증뎀이 됩니다. 여기서 마킹의 평타딜 및 패시브로 얻는 힘비례 데미지, 쉴드오브호너 혹은 힘힘힘 보석 아이템으로 얻는 이몰레이션 데미지는
엑확과 엑뎀이 적용이 됩니다. 전용템, 민민힘의 엑뎀 증가템, 사일런스 스태프를 필수로 나머지는 힘스텟 증가템을 껴주시면 공속과 마나의 걱정없이
높은 확률의 엑확과 강력한 추가 엑뎀으로 딜을 할수 있겠네요.
-----------------------------------------------------------------------------------------------------------------------------------------------------------
그롬의 경우는 민첩 영웅이기에 선택지가 더 많습니다.
기본 5%확률로/25%증뎀, 블랙드래곤 4렙 10%확률로/30%증뎀,다크체스트 4%확률로/10%증뎀, 빌더오브 쉐도우 5%확률로/5%증뎀
스택을 250 맥스로 쌓는다면 25%엑확
49% 70%증뎀, 여기에 민민지, 민민힘, 3000원 엑확템, 9000원 엑뎀템을 껴준다면
49+35+15=99%엑확 / 70+30+40=140%증뎀 이 되는데 그롬의 패시브의 전용템을 꼈을땨 2.5배 데미지를 가산하면
0.99*(1+1.4)*2.5=5.99 평균적으로 5.99배의 데미지를 입히는 그롬이 완성이 되네요.
그롬의 스펠데미지 역시 엑확이 적용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5.99*(1+증가한스펠딜)*(1+리셋효과에의한 스킬딜의 상승 평균값)의 데미지를 입히게 되겠네요.
-----------------------------------------------------------------------------------------------------------------------------------------------------------
마이에브는 지능을 힘보다 두배이상 혹은 힘은 지능보다 2배이상으로 하여야 하기에 조금 계산이 까다로울수 있습니다만
자세한 계산은 예전에 제가 올린 마이에브 빌드 스텟과 엑확 계산을 참조해 주시고
블랙드래곤 4렙 10%확률로/30%증뎀, 다크체스트 4%확률로/10%증뎀, 빌더오브 스피릿 15% 스펠뎀 5%스펠리셋
민민지 9000엑확을 기본템으로 힘마엡과 지능마엡을 세팅하신다면
99% 확률로185%의 엑뎀을 가지는 마엡이 완성이 되네요.
-----------------------------------------------------------------------------------------------------------------------------------------------------------
쓰다보니 마씨형제들이 상당히 강력하네요. 마동석이 영화에서 강력한 이유도 마씨이기 때문일까요 ㅎㅎ
기본적으로 엑확이 주어지지 않은 영웅들은 어떻게 세팅을 해야 하느냐?
일단영웅이 딜을 하는 패턴에서 평타 물리딜의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사실 마킹과 굴단, 그롬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영웅들이 스킬딜의 비중이 높습니다.
또한 아이템으로
3000원 엑확템 15% 확률증가
9000원 엑확템 25% 확률증가
민민지 엑확템 35% 확률증가
75%의 엑확을 얻을수 있는부분
기본 5%확률로/25%증뎀, 블랙드래곤 4렙 10%확률로/30%증뎀
위 3가지 엑확템만 가져간다면 90%의 엑확을 가질수 있습니다.
여기서 빌드를 짜면서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로브 중에서 라이트코트를 입느냐, 다크체스트가드를 입느냐 하는 부분과
일꾼의 아웃핏에서 빌더 오브 쉐도우를 쓰느냐 빌더 오브 스피릿을 쓰느냐 하는 부분이 되겠네요.
쓰랄, 리치, 메디브/ 킬제 / 데몬헌터 두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쓰랄, 리치, 메디브는 당연하게도
라이트코트, 빌더 오브 스피릿이 맞습니다.
엑뎀이 증가하는 보석템, 9000원 템은 민첩 계수가 높습니다.
엑확을 증가시켜서 엑뎀 템을 껴서 엑설런트 데미지가 가미된 스킬딜보다 스펠데미지 자체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합니다.
평균 데미지 공식을보면
(1+증가한 스펠딜)*((엑확%*증가된엑뎀)+1)
엑확템을 끼더라도 스펠딜이 증가하는 폭은 9000원 스펠딜 증가템이든 지지힘의 스펠딜 증가 보석템이든
스펠딜이 엑확퍼센트 감소 없이 들어가게되죠. 엑뎀은 엑확의 퍼센트에 따라 폭이 낮아집니다.
사실상 다크체스트 가드를 껴도 데미지의 변동폭은 크지 않습니다만
쓰랄 리치 메디브의 경우엔
라이트 코트/다크체스트의 선택지는 결국 이런부분입니다.
1. 다크체스트가드를 선택해서 평타에 조금더 힘을 실어주고 엑확과 엑뎀을 노리느냐, 또한 게임 후반부에 엑확이 스킬에 적용될 확률을 좀더 확정적으로 올리느냐
2. 확실한 스킬딜을 올려서 평균적인 딜량에 힘을 실어주느냐
이차이 입니다. 전 돈을 좋아해서 엑확을 확보하기 힘든 초반에 돈을 조금이라도 더 벌수있게 해주는 라이트 코트를 선택하겠네요 ㅎㅎ
또한 올리기 힘든 수치인 스킬리셋을 주는 빌더오브 스피릿의 리셋5%역시 스펠딜러에게 유리합니다.
아이템을 어떻게 가야 하느냐 하는 부분에서는 두 영웅 모두 기본적으로 3종 엑확템을 기본으로 깔고 갑니다
그리고 전용템, 지지힘, 지지민, 9000리셋템, 9000스펠뎀, 레이저스파인 스케일, 스톰해머, 샤먼클로 등등으로 구성하면됩니다.
여기서 지지힘을 가느냐 지지민을 가느냐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이 있으실텐데 이부분은 리셋편에서 다루도록하겠습니다.
-----------------------------------------------------------------------------------------------------------------------------------------------------------
킬제는 힘영웅이지만 주딜이 올스텟 비례이기 때문에 엑뎀 템과 다크체스트가드, 빌더오브쉐도우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만
엑확 증가템을 끼지 않는다는 가정에서는 라이트코트와 빌더오브스피릿이 딜이 훨씬 높습니다.
-----------------------------------------------------------------------------------------------------------------------------------------------------------
데몬헌터의 경우 민첩영웅이기때문에 보석 엑확, 엑뎀템의 효과를 더욱 크게 받을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대로 블랙드래곤 4렙과 3종 엑확템을 낀다면 기본적으로 90%의 엑확을 얻을수 있습니다.
데몬헌터의 경우역시 스킬딜의 비중이 상당히 높습니다. 프문과의 시너지를하면 민첩계수가 140이 되는데 거기에
첫번째 아바타를 활성화하고(35%증뎀) 전용템을 낀다면(60%증뎀) 스킬한번에 어마어마한 스펠데미지를 주는셈입니다
(데헌아바타와 전용템이 증뎀이 곱연산으로 적용되는지 합연산으로 적용되는지는 확실하지 않아서 제작자한테 좀 물어봐야 겠네요)
거기에 스펠데미지 증가, 엑설런트 데미지가 가미된다면 데미지는 더욱 커지겠네요.
그렇다면 라이트 코트냐 다크 체스트 가드를 끼느냐 하는 부분에서는 사실 어느부분이든 상관없습니다만
개인적으로 저는 다크체스트 가드를 껴줍니다.
라이트 코트에 붙어있는 15퍼 스펠뎀 증가도 좋지만 4%엑확과 10퍼센트엑확뎀, 1% 차이라고 볼수 있는데
어차피 데헌은 보석엑확, 보석엑뎀을 껴주기 때문에 엑셀뎀지를 최대화 한다 생각하고 평타에 조금더 힘을 실어줄수 있는 다크체스트를 낍니다.
그리고 빌더오브쉐도우, 빌더오브 스피릿이 있는데 저는 빌더오브 스피릿을 활성화 해줍니다.
빌더오브쉐도우보다는 빌더오브스피릿의 데미지 증가 폭이 크지요
빌더오브 쉐도우는 중립 확률 5%, 엑확 5%, 엑뎀5%이고
빌더오브 스피릿은 15%스뎀증가, 5%리셋확률증가인데
리셋이 없다면 데헌 빌드에서는 500만이 힘듭니다.
차후에 리셋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리셋에 의한 평균적인 데미지 증강은 리셋의 확률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납니다.
그러한 이유로 빌더오브 쉐도우를 활성화해서 얻는 5%의 엑확 즉 99%대신 5%감소한 94%의 엑확을 가져가는대신 리셋확률을 5%가져가는 셈이지요
빌더오브 쉐도우를 쓴다면 리셋이 될 경우가 아예 없는 셈이니 발키리 딜을 할동안 엑확이 94%나 되니까 스킬 몇번 시전하는거
엔간하면 엑뎀으로 가한다고 생각하고 5%의 리셋을 넣어주는 셈입니다. 스펠딜 15%증가도 어마어마한 수치이구요.
따라서 저는 데몬의 최종템을 3종 엑확세트, 전용템, 민민힘, 지지민을 가져갑니다.
스킬리셋은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리셋이 고작 5%인데 정말 말도 안되는 확률로 스킬이 연속적으로 몇번이고 나가는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특히 스킬 리셋은 체감상 딜의 고저가 굉장히 큰편입니다.
그렇다면 스킬리셋 아이템을 끼고 게임을 수천번 아니 무한하게 반복했을때 평균적인 데미지 증가폭은 어떻게 될까 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을 아까 위에서 평균 데미지 라고 정의를 했었습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자면
평균 데미지라는 것은 게임을 수천번 반복한다고 가정하고 엑셀런트 확률, 스펠리셋은 그 수천번의 게임에서 평균적인 데미지를 얼마나 입힐수 있는지를 말합니다.
물론 체감상 운이 좋아서 엑확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엑셀런트데미지가 많이 가미되어서 높은 딜을 낼수도 있고
운이 좋아서 스킬리셋이 한 7번연속으로 터져서 발키리가 20초 남기고 삭제될수도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부분은 이런 무한한 경우의 수를 따져서 평균적으로 얼마나 데미지를 입히느냐 하는 부분이죠.
제 공략의 핵심은 운도 운이지만 평균적으로 데미지를 높게 줄수 있는 고점을 찍는데 중점을 맞춰서 평균데미지를 설명하고자 하는 부분입니다.
혹시 이해를 못하시는 유저분들이 있을까봐 거듭 설명을 드렸습니다.
다시 원론으로 들어가서
스펠리셋은 기본적으로 모든 영웅이 0%입니다.
제이나의 스킬은 자신이 스킬을 시전할때 영웅들의 스킬리 리셋이 되는 것이라 조금 예외라고 봐야 겠네요.
스킬리셋은 기본적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가진 한가지의 아이템만 적용이 됩니다.
예를 들어 9000원 리셋 아이템과 지지민의 리셋 아이템을 두개 껴도 중첩이 안되고 지지민 25%만 적용된다는 것이지요
부가적으로 스펠리셋을 얻을수 있는 방법은
리치의 아바타 첫번째로 활성화 : 리셋 5%증가
빌더 오브 스피릿 일꾼 스킨 활성화 : 리셋 5%증가, 스펠뎀 15%증가
이 2가지를 활성화 한다면 한 영웅이 최대로 가질수 있는 스펠리셋 수치는 35%입니다.
유저분들이 궁금해하는 스킬리셋을 가졌을때의 "평균데미지" 는 무한등비수열의 합 공식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간단히 예를 들면 스킬리셋이 35%이다라고 한다면
0.35/(1-0.35)=0.35/0.65=0.5364
스킬리셋이 0%일때 35%의 스킬리셋을 얻게 된다면 53.64퍼센트의 증뎀을 가지는 것과 같다 라는 식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래에 각 스펠리셋 확률에 대한 평균적인 데미지의 증가에 대해 계산해 보았습니다.
스펠리셋 5% = 0.0526 5.26% 데미지증가
스펠리셋 10% = 0.1111 11.11% 데미지증가
스펠리셋 15% = 0.1764 17.64% 데미지증가
스펠리셋 20% = 0.2500 25.00% 데미지증가
스펠리셋 25% = 0.3333 33.33% 데미지증가
스펠리셋 30% = 0.4285 42.85% 데미지증가
스펠리셋 35% = 0.5384 53.84% 데미지증가
위의 표를 참조하시면 9000원 아이템중에 스펠리셋이 좋은가 스펠데미지가 좋은가 에 대한 결론이 나옵니다.
-----------------------------------------------------------------------------------------------------------------------------------------------------------
가장 쉬운 예를 들면 리치아바타를 첫번째로 활성화 하고 빌더오브스피릿을 활성화 해서 기본 리셋을 10%로 맞추었을때,
1. 지지민 (25%의 스펠 리셋 확률) 지지힘(40%의 스펠뎀 증가) 이 둘중 뭐가 좋을까?
당연히 지지민이 되겠네요. 기본 스펠리셋 10%일때는 평균 11.11% 데미지 증가에서 35%의 스펠리셋으로 평균 53.84%데미지 증가가 되니까
약 42% 증뎀이 되네요. 또한 스펠리셋이 재수없어서 안터질수도 있지만 평균데미지 자체게 2% 높은데 35%의 최고 높은 스펠리셋으로
스펠이 여러번 시전이 되면 엄청난 딜의 가능성이 있는데 굳이 지지힘을 갈 필요는 없겠네요.
게다가 민첩 75 수치는 공속도 보정해주는데 힘 스텟은 아무런 쓸모가 없죠.
2. 9000원 20%스펠리셋템과 30%스펠데미지 증가중에 무엇이 좋을까?
위에서 제시한대로 기본 10% 세팅을 맞추었다면
11.1%에서 42.85%로 평균 데미지가 증가하니 9000원 스펠리셋템을 끼는게 맞겠내요.
특히 지능영웅의 경우 9000원 20%스펠리셋템 에 붙은 80의 지능, 9000원 30%스뎀증가템에 붙은 28의 지능중에
9000원 20%스펠리셋템 에 붙은 80의 지능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죠?
그렇다면 기본 10% 리셋을 맞춘다면 모든 영웅들에게 있어서 스펠리셋템이 효과가 좋은가 하면 예외도 있습니다.
킬제덴의 경우 스킬 자체에 데미지가 없습니다. 스펠 리셋이 되어도 무의미하죠. 평타에 패시브로 터지는 레이저빔이 주딜입니다.
이런 경우에 리셋보다 스펠데미지 증가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실 스펠 리셋이 아예 0%이거나 5%일땐 어떤 아이템이 좋을까 하는 부분입니다.
비교 대상은 위와 같이 지지민/지지힘, 9000원 리셋템/9000원 스펠 데미지증가템
이 부분은 계산이 좀 복잡합니다. 위에서 말한 평균 데미지 공식을 가져오겠습니다.
스킬딜의 경우
(a.스킬에관여한스텟)*(b.스킬의 스텟계수)*(1+c.증가한 스펠딜)*((d.엑확%*e.증가된엑뎀)+1)*(1+f.리셋효과에의한 스킬딜의 상승 평균값)
벌써 머리가 아프지만 꼼꼼하게 계산해 봅시다. 어차피 모두 곱셈식이라 필요한 항목들만 비교하면 되겠습니다.
리셋이 0%일때
블랙드래곤4렙 사용을 하고 빌더오브스피릿 미착용(리셋), 리치아바타가 아닌 다른 아바타 활성화, 파워업 타워의 레벨이 1인 경우(플레이어 1명만 타워를 활성화)
스펠데미지의 기본 증가 계수는
블랙드래곤 4렙 : 20%
파워업 타워의 레벨이 1~6 : 10%~60%
총합 : 30%~80%
1)지지민/지지힘 비교
둘의 지능 스텟이 똑같기 때문에 (a.스킬에관여한스텟)배제,
같은 영웅 기준이기에 (b.스킬의 스텟계수)배제
엑확 증가된 엑뎀 동일하다 가정하여((d.엑확%*e.증가된엑뎀)+1)배제
즉 (1+c.증가한 스펠딜)*(1+f.리셋효과에의한 스킬딜의 상승 평균값) 값만 서로 비교하면 답이 나오겠네요
ㄱ.파워업 타워의 레벨이 1 : 10%인경우, 기본 30% 스킬딜증가
지지민의 경우 = 1.3(=1.3+0(스펠뎀증가가0%))*(1+0.33(=스펠리셋 25%의 평균딜 증가량 33.33%-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33.33%)) = 1.3*1.33 = 1.729
지지힘의 경우 = 1.7(=1.3+0.4(스펠뎀증가가40%)*(1+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0%))=1.7
ㄴ.파워업 타워의 레벨이 2 : 20%인경우, 기본 40% 스킬딜증가
지지민의 경우 = 1.4(=1.4+0(스펠뎀증가가0%))*(1+0.33(=스펠리셋 25%의 평균딜 증가량 33.33%-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33.33%)) = 1.4*1.33 = 1.862
지지힘의 경우 = 1.8(=1.4+0.4(스펠뎀증가가40%)*(1+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0%))=1.80
ㄷ.파워업 타워의 레벨이6 : 60%인경우, 기본 80% 스킬딜증가
지지민의 경우 = 1.8(1.8+0(스펠뎀증가가0%))*(1+0.33(=스펠리셋 25%의 평균딜 증가량 33.33%-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33.33%)) = 1.8*1.33 = 2.394
지지힘의 경우 = 2.2(1.8+0.4(스펠뎀증가가40%)*(1+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0%))=2.2
어차피 곱셉식이라 타워레벨에 따른 비교가 무의미 하지만, 결론적으로 리셋의 평균데미지 딜량이 훨신 높습니다.
지지민을 껴야겠죠? 게다가 민첩에는 공속도 보정이되니.
리셋이 5%, 10%일때 역시
지지민 이 좋습니다. 상기 기술한 스킬리셋의 평균데미지량은 리셋의 퍼센트가 높을수록 데미지 증가량이 커집니다.
예시) 지지민을 꼈을때 스펠리셋이 0% ->25% : 33.33%, 스펠리셋이 5%->30%=42.85-5.26=37.59%
결론 지지힘 버리고 지지민을 끼자! (재수없어서 스킬리셋 안터지는건 본인이 알아서 감당하셔야 합니다;;)
2)9000원 스펠뎀/9000원 리셋템 비교
이 부분은 계산이 좀더 복잡합니다
스킬딜에 지능계수만을 가진 영웅으로 가정하고
같은 영웅 기준이기에 (b.스킬의 스텟계수)배제
엑확 증가된 엑뎀 동일하다 가정하여((d.엑확%*e.증가된엑뎀)+1)배제
즉 (a.스킬에관여한스텟)*(1+c.증가한 스펠딜)*(1+f.리셋효과에의한 스킬딜의 상승 평균값) 값만 서로 비교하면 답이 나오겠네요
기본 지능 값을 X라고 가정하겠습니다.
ㄱ.파워업 타워의 레벨이 1 : 10%인경우, 기본 30% 스킬딜증가
9000원 리셋템의 경우 = (X(=기본지능값)+80)*1.3(=1.3+0(스펠뎀증가가0%))*(1+0.25(=스펠리셋 20%의 평균딜 증가량 25.0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33.33%))
= (X+80)*1.3*1.25 = 1.625X + 130
9000원 스펠뎀의 경우 = (X(=기본지능값)+28)*1.6(=1.3+0.3(스펠뎀증가가30%))*(1+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0%))
= (X+28)*1.6*1 = 1.6X+44.8
지능영웅의 경우 두 등식을 비교하면 X값이 음수일때 만 스펠뎀이 우세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곱셈식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기본 리셋확률이 높거나 타워레벨업의 수치가 높을때도 리셋의 평균 딜량이 우세합니다
결론 지능영웅은 리셋템을 끼자! 지만....
쓰랄의 경우엔 패시브로 2초마다 번개 떨어지는 패시브가 있죠? 그리고 이건 리셋의 영향을 안받네요.
쓰랄 5렙 전용템 기준 마나 100%라 가정하고 또 계산을 해 봅시다. 스킬과 패시브의 쿨다운이 2초이고 계수역시 동일하게20이니
복잡하게 DPS로 나누고 스킬계수곱하지 않고 계산하면되겠네요
X를 지능값이 리셋템을 낄때 더 큰 경우라고 가정
9000원 리셋템의 경우
스킬에의한데미지 = (X+80)*1.3*1.25 = 1.625X + 130
패시브에 의한 데미지 = (X+80)*1.3 = 1.3X + 104
TOTAL : 2.925X+234
9000원 스펠뎀의 경우
스킬에의한데미지 = (X+28)*1.6*1 = 1.6X+44.8
패시브에 의한 데미지 = (X+28)*1.6 = 1.6X + 44.8
TOTAL : 3.2X+89.6
비교 : 2.925X+234>3.2X+89.6, 0.275X<144.4, X<144.4/0.275=525.0909
즉 쓰랄의 아템을 포함한 지능값이 525 이하일경우 리셋템이 더 좋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템끼면 지능 총합 525는 쉽게 넘어가니 결국에는 스펠뎀을 껴줘야 겠네요.
그렇다면 민첩 영웅이나 힘영웅은?
또 계산해 봅시다. 리셋템이 평균 딜을 더 많이 내는 민첩 값을 X라고 가정하겠습니다
9000원 리셋템의 경우 = (X(=기본민첩값)+20)*1.3(=1.3+0(스펠뎀증가가0%))*(1+0.25(=스펠리셋 20%의 평균딜 증가량 25.0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33.33%))
= (X+20)*1.3*1.25 = 1.625X + 32.5
9000원 스펠뎀의 경우 = (X(=기본민첩값)+28)*1.6(=1.3+0.3(스펠뎀증가가30%))*(1+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스펠리셋 0%의 평균딜 증가량 0%=0%))
= (X+28)*1.6*1 = 1.6X+44.8
0.025X>12.3, X>492
즉 아이템을 포함한 민첩영웅의 민첩총수치가 492 이상일경우 리셋템이 우세하다! 주력 영웅이면 민첩 총합 500은 쉽게 넘기죠?
민민지 민민힘만껴도 300이 추가되는데, 주력영웅이면 9000원 스펠뎀/9000원 리셋템 선택지에서 9000 리셋템을 선택하는게 맞습니다!.
그렇다면 힘영웅은?
힘영웅중에 스펠데미지를 주는게 있나....
마킹의 패시브 평타, 킬제덴의 패시브평타 - 요 두녀석은 리셋템 배제해야죠, 스킬에 딜이 없으므로. 마킹은 리셋 터진다고 아바타 두번 안켜지니 스펠딜이 맞네요.
핏로드, 힘 마엡 요 두녀석이 있는데
핏로드로 아무리 템껴줘도 발키리 500만딜 못하죠? 걍 스펠뎀이나 아무거나 껴줍시다.
힘 마엡은 힘수치를 2배 지능보다 뻥튀기 해줘야 되는데 예전에 제가 올린 마엡 스텟 계산에서 2티어 스텟책을 5개나 먹어야 하죠?
근데 스펠리셋템으로 지능을 80이나 올려버리면 힘스크롤을 160넘기도록 6개를 더 먹여야 합니다.
기본 아이템도 전용템 힘힘힘 시어링블레이드 쉴드오브오너 껴주는데도 기본 5개인데...
스텟작 뒤지게 하면 어케 가능할까 싶은데 거의 그런경우 없죠? 그래도 껴주고 싶다면 스펠뎀 껴주고 2티어 힘스크롤 1개 더 먹이는걸로 합시다.
힘영웅은 배제합시다.
이번 챕터의 결론!
엑확 계산을 잘해서 엑셀런트 데미지로 스펠뎀을 입히자!
지능영웅 민첩영웅은 리셋템이 보편적으로 낫다!만 쓰랄은 지능이 526 이상일때 스펠증가템이 좋다. 데헌같은 민첩영웅도 민첩 492넘어가면 리셋템 껴주자.
정도가 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애용하시는 소환수/일루젼에 관한 내용입니다.
플레이어 타워/서모너 부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서모너를 활성화 하면
레벨이따라 소환수의 데미지가 15%~90%증가합니다.
또한 퍼펙트 서몬이 적용되면 50% 공격력이 강해진 소환수들이 등장을 하죠.
최근 프라우드무어가 휴먼의 3티어로 등장을 하면서 소환수 빌드들이 좀더 핫해진 경향이 있습니다.
소환수 빌드의 장점은 복잡하게 엑뎀이나 스펠뎀 등 계산할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퍼펙서몬만 계산하면 되는 부분이니 좀더 계산이 간단합니다.
소환의 형태는 일반적인 소환이 있고 일루젼이 있습니다.
일루젼으로 분류되는 소환수들은 퍼펙트 서몬, 소환수 체력증가, 소환수 소환시간 증가, 타워 업그레이드의 소환수 관련 업그레이드가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저도 확실하지 않아서 제작자에게 직접 한번더 확인한 사항입니다.
일루젼으로 분류되는 소환수는 아이템으로 소환된 유닛(슬러지, 히드라리스크, 엘더히드라), 헌트리스의 헌트리스 환영, CL의 비틀, 일리단의 데몬 일루젼 등입니다.
따라서 내가 메디브로 레이저 스파인 스케일을 껴서 엘더 히드라를 소환해서 딜을 하겠다고 블러드페더의 심장을 꺼줄필요는 없습니다.
일리단이나 CL에게 블러드페더 심장, 스컬쉴드 등을 껴줄 필요도 없는 부분이죠.
따라서 헌트리스, CL, 일리단 요녀석들에겐 스텟템만 껴줍시다.
다만, 일루젼들역시 소환수 오로라에 적용되는 오라에는 영향을 받는다는 점 입니다
-----------------------------------------------------------------------------------------------------------------------------------------------------------
소환수들에게 적용되는 오라는
2티어 소환수 체력증가템과 3티어 소환수 체력증가템에 붙어 있는 공이속 증가 오라
타우렌 치프틴 공격력 증가오라
윈드러너가 데나 다레 시너지를활성화하고 생기는 공격력 증가 오라
나가 로얄가드의 공이속 증가 오라
드루이드 오브 탈론의 공이속 증가 오라가 있습니다.
-----------------------------------------------------------------------------------------------------------------------------------------------------------
참고로
블레이드 마스터의 공속 증가 오라는 타워에만 적용이되고 소환수에는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블마의그롬 그런트 레이더와의 시너지로인한 공격력 증가 오라 역시 소환수에는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드루이드 오브 탈론의 공속 증가 는 드루이드 오브 탈론이 소환한 호크에게만 적용됩니다만
드루이드 오브 클러와 시너지를 맞추면 소환수에게도 공속보너스가 적용이 됩니다.
따라서 소환수 시너지를 최대화 한다면, 위에서 말한
타워에서 얻을수 있는
----------------------------------------------------------------------------------------------------------------------------------------------------------
타우렌 치프틴 공격력 증가오라
윈드러너가 데나 다레 시너지를활성화하고 생기는 공격력 증가 오라
나가 로얄가드의 공이속 증가 오라
드루이드 오브 탈론이 드루이드 오브 클러와 시너지를 활성화 하고 생기는 공속 증가
----------------------------------------------------------------------------------------------------------------------------------------------------------
2티어 소환수 체력증가템과 3티어 소환수 체력증가템에 붙어 있는 공이속 증가 오라
----------------------------------------------------------------------------------------------------------------------------------------------------------
이 모두를 확보를 한다면 강력한 소환수를 부릴수 있겠네요.
특정 영웅과의 시너지나 아바타가 아닌 이상 퍼펙트서몬은 0%입니다.
특정 영웅이라고 한다면 파시어와 쓰랄의 시너지로 파시어 소환수의 25% 퍼펙소환이 되겠네요.
아바타는 말퓨리온의 아바타 첫번째 선택으로 말퓨리온 소환수의 10% 퍼펙소환이 있습니다.
블랙드래곤 4렙은 12% 로 모든 타워의 퍼펙소환증가
그린드래곤 4렙은 24% 로 모든 타워의 퍼펙소환증가
업그레이드 갑옷으로 라이트 코트의 20라운드에 7% 로 모든 타워의 퍼펙소환증가, 1.5초 소환수 지속시간증가
이벤트 아웃핏으로 빌더오브 라이프의 12%로 모든 타워의 퍼펙소환증가, 3초 소환수 지속시간증가
등이 있습니다.
아이템으로는
2티어 퍼펙트 서몬템 15%증가
3티어 퍼펙트 서몬템 30%증가
보석 힘민지 퍼펙트서몬템 40%증가
이렇게 있습니다.
빌더 오브 라이프는 유료 컨텐츠 이기 때문에 좀더 많은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는 그린드래곤 4렙을 생각한다면
그린드래곤 4렙 24%
라이트 코드 20라운드 이후 7%
3티어 퍼펙트 서몬템 30%증가
보석 힘민지 퍼펙트서몬템 40%증가
이렇게 해서 101%로 퍼펙트 서몬을 맞출수가 있겠네요.
여기에 스컬쉴드, 전용템기본으로
1. 스텟증가량이 높은 템을 껴주어서 강력한 소환수 딜을 확보하거나
2. 2티어, 3티어 소환수 체력템을 넣어서 디스펠에도 없어지지않는 소환수를 확보한다 등이 선택지가 되겠습니다.
당연하게도 소환수 영웅들은 스펠데미지 증가가 의미가 없습니다만
스킬리셋은 굉장히 특별합니다. 팅커나 케일에게 지지민이나 9000원 스킬리셋템을 넣어서 소환수를 2번 소환하도록 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특히 지능 소환 영웅은 지지민이나 9000원 스킬리셋템의 지능이 높아서 필수템이라고도 볼수 있겠네요.
소환수 빌드는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맞추기 어려운 블랙드래곤 4렙보다 그린드래곤 4렙을 우선하신다면 쉽게 퍼펙서몬을 100퍼센트 이상으로하여
"완벽하게 소환된" 소환수를 부릴수가 있겠죠.
다만 빌드상 어려운점이
타우렌의 확보
나가로얄가드의 확보
이 부분들이 되겠네요. (탈론은 1티어이니 어떻게든 맞추시겠죠)
방깍은 엑뎀이나 스펠딜을 위주로 하는 빌드에서도 관건이고 당연히 맞추셔야합니다.
그런데 이제 이 소환수 빌드에서 어려운점은
"배치"와 관련된 부분입니다.
기껏 타우렌 확보해두었는데 타우렌의 오라가 소환수들에게 적용이 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죠
방깍 오라 세팅을 했는데 소환수의 슬로우 효과로 방깍이 적용되지 않는곳에서 소환수들이 소환해서 딜을하면 그 역시 무용지물이죠.
가장 중요하게 통제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들은 배치 챕터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내가 아무리 좋은 빌드를 알고 있어서 써먹는다고 하여도
재수가 없으면 결국 500만딜을 못합니다. 많이 해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 한번 분석해 보겠습니다.
솔로 발키리 가 생기기 이전, 유저들의 목표는 게임을 클리어 하는데 목표가 있었습니다.
솔로 발키리 전에 나오는 거대한 대형몹을 지속시간내에 잡느냐 마냐가 목표였었죠.
그와 관련해서 예전에는 클리어를 목적으로 여러가지 재미있는 빌드들이 있었습니다.
만렙을 찍기 어려운 3티어 영웅대신
올 스켈레톤 메이지로 도배하는 빌드나, 올 말퓨리온으로 도배하는 빌드, 올 쉐도우 헌터로 도배하는 빌드, 다크레인저/디스트로이어로 도배한 빌드등 이 그러한 예가 됩니다.
하지만 솔로 발키리가 나오면서 띄우가 다소 어려운 3티어 영웅을 사용하는 빌드들이 재조명됩니다.
실제로 3티어 영웅없이 2티어만으로는 500만을 하기가 다소 어렵습니다.
(2티어 만으로 하고자 한다면 저는 안해봤는데 멀굴을 끼고 파시어를 3개 쓴다거나, 디스트로이어3개 드레드로드 써서 가능할지도 모르겠네요)
이렇게 3티어 영웅을 쓰는 빌드를 가정하여 500만딜 못하게 억까하는 변수들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항상 이슈가 되었던 부분입니다.
하지만 클록 워크 고블린의 등장으로 이 부분에서의 어려움이 상당히 절감되었습니다.
보통 빌드에서 주력 3티어 영웅들을 2~4명정도 가지고 갑니다. 클록워크고블린으로 키를 돌린다면 4명 모두 만렙을 맞추는게 어려운일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결론 클록워크고블린을 쓰자.
어떤 빌드를 하던 항상 고통을 받는 부분입니다.
1티어 소서리스 나가사이렌의 확보는 나무를 투자하면 5렙을 찍는게 어렵지는 않습니다만
아이템이 잘 안나오죠.
제 경험상, 15라운드 때부터 피전트 골드를 2만5천원, 20라부터는 4만5천이상 이상 가져갈수 있다면 3판중 2판은 모두 확보를 합니다
이 부분에서 변수를 최소화 하고 싶다한다면, 클록워크고블린대신 팩호스를 써서 확보하는 골드의 양을 늘리는게 답이 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나무의 부족으로 영웅의 만렙을 못찍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쉐어가 잘되는 팀원이 있다면 팩호스로 돈의 수급량을 높여 방깍을 모두 확보할 확률을 높이겠다는 선택지도 나쁘지 않습니다만,
영웅이 잘나와 준다면 만렙을 먼저찍고 나중에 헌트를 소환해서 골드를 확보하면 되니 굳이 팩호스까지 써서 방깍을 확보할 확률을 높여야 할까 싶습니다.
요점은, 내가 지금 어떤 빌드를 사용하고 있고 이 빌드에서 15라운드부터 2.5만원 이상을 못가져 간다면
그 빌드 자체가 골드를 적게 수급하는 빌드이거나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에 문제가 있다 생각하시고 보완을 하실 생각을 하여야 합니다.
주력딜 영웅의 아바타를 2번째 아바타로 선택을하면 쉽게 확보가 가능하기도 합니다만
아바타를 첫번째로 활성화 했을때의 보너스를 포기하기도 해야 합니다.
현재 전용템의 Retain의 기능이 쿨다운 60초로 예전버전과 달리 계속 쓸수 있다는 점에서
어느정도 예전보다는 확보가 용이해졌고
몬스터 소울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챔피언 몬스터의 라인 클리어가 더욱 중요해지게 되었습니다. (몬스터 소울의 확보).
예전보다 확보할 확률이 올라갔다는 점이지, 그러나 저러나 재수가 없으면 전용템 못찾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반 9000원 아이템의 경우 각 영웅별로 최고점을 찍을수 있는 아이템이 안나와 주는경우도 있죠
소환 영웅의 경우엔 퍼펙트 서몬템, 민첩딜러의 경우엔 엑확, 엑뎀 템, 지능 영웅의 경우엔 스킬리셋템 등 필요한 아이템이 안나와주는 경우입니다.
이 부분 역시 15라운드부터 2.5만원 이상 확보를 하신다면 어느정도 커버가 가능한 부분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항상 고통을 받는 부분입니다...
지능영웅 위주로 딜할때는 힘, 민첩보석만 나오고 민첩영웅 위주로 딜할때는 힘, 지능 보석만 떨어질 확률을 높게 제작자가 세팅을 해놨는지 싶을 정도로
원하는 보석이 쉽게 안나옵니다.
이런 부분에서 소환수 빌드를 가시는 분들이 조금 억까를 덜 당합니다. (힘민지 퍼펙트 서몬 보석템)
그래도 이번에 드래곤으로 보석 크래프팅이 가능해지면서 어느정도 커버가 되지만
아무리 보석을 많이 크래프팅을 해봐야 원하는 보석 1~2개 정도 가능해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들 게임 해보신 분들이라면 다들 아시는 부분이겠지만 이 부분을 통해서 제가 설명하고 싶은 부분은
"내가 지금 하고 있는 빌드가 아무리 망해도 익스 모드 기준으로 350만딜 이상을 확보한다 한다면 좋은빌드이다" 라고 설명하고 싶습니다.
대표적으로 마린이 아무리 강력하다고 하지만 우서가 없는 시너지로 15라운드에 마린만으로 2.5만원 확보하기 어렵죠
마엡이 아무리 강력해서 아바타까지 첫번째로 활성화해도 쉐어 없이 마린 벤전스 시너지 활성화하고
인구업 없이 15라운드에 페어리와 워든 3명 확보해서 15라에 2.5만원 이상 벌기 매번 가능한건 아니죠.
카엘 AP빌드 아무리 좋아도 타유저 도움없이 타우렌 5렙, 나가 가드 5렙 찍기 쉽지는 않죠.
제가 좋아하는 2그롬 빌드, 맨날 보석하고 전용템에서 억까 당하죠
뭐 여러가지 많지만 다들 장단점이 있습니다.
500만딜을 못했다고 한다면 이 2가지를 짚어 봅시다.
1. 필수적인 것들을 확보를 하였는가?
2. 필수적인 것들이 확보가 다 되었는데도 왜?
필수적인 것들이 확보가 되지 않았다라고 한다면
위에서 말한 것처럼, 주요영웅들의 만렙, 방깍의 확보, 고점을 위한 9000원 필수템의 확보, 전용템의 확보등이 되는데
일반적으로 쉐어도 잘 되었고 돈도 2.5만 이상 꾸준히 벌었는데 그저 운이 않좋았다?
물론 그럴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가 어느 타이밍에 나무를 소모했고 이렇게 나무를 소모한 것이 조금은 무리한 결정은 아니었는가 생각해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익스 모드 15라운드쯤에 나엘을 하면서 방깍을 위한 소서리스가 3렙
나머지 필요 영웅들 시너지는 모두 맞춘 상태. 굳이 방깍을 2 더 얻겠다고 무리해서 5키를 돌려서 소서 만렙을 찍고 나무를 50 소모를 했습니다.
그러는 바람에 드래곤 소환 타이밍이 늦어졌고 3티어 영웅 3명을 늦게 띄워서 250테크 업이 늦어지고
250테크 업을하고 할수 있는 나무 4000, 4500업그레이드가 늦어졌습니다.
그렇게 할 바에는 드래곤을 시간 맞춰서 소환해서 빠르게 15라 피전트 나오기 전에 챔피언몹과 드래곤 잡고 3티어 하나더 추가된 라인업으로
피전트 조져서 돈도 더 벌고 3티어 3개 되었으니 빠르게 250업 테크타서 나무 4000,4500업그레이드하고
그렇게해서 나무와 골드를 조금이라도 더 얻을수 있었다면
300테크이후 증강된 나무로 50키를 2번은 더 돌릴수 있었지 않았을까요?
이러한 부분을 다음 챕터 나무의 활용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그런데 내가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할 것들을 모두 다 확보를 했는데 500만딜을 못했다라고 한다면
기본적인 부분부터 짚어봐야 합니다. 그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바로
"유닛의 배치" 입니다.
이부분은 다음다음챕터 배치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어쩌면 가장 기본적인 부분일수도 있습니다.
주력이 되는 영웅들의 만렙을 빠르게 달성하면 나무가 남습니다.
남겨진 나무는 배에서 헌트를 하여 최대한 많은 금으로 치환, 원하는 방깍을 비롯한 원하는 아이템을 찾아내는데 사용될수도 있고
또한 남은 나무와 골드는 발키리전 최종 라인 보스몹 처치되기전에 몬스터 소울 획득을 위한 펠하운드 소환으로도 사용될수 있고
그렇게 얻은 몬스터 소울은 스텟작을 위한 레버넌트나 보석크래프팅의 재료, 아이템 리테인으로 활용됩니다.
결국 나무는 영웅들의 만렙을 빠르게 달성하면 달성할수록 남는다고 볼수 있습니다.
결국 나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영타디 핵심인 부분중 하나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한번 기술해 보겠습니다.
딜이 필요이상으로 강력한 라인은 피전트 골드때 필요합니다.
라인이 계속 밀려서 라인 몬스터를 놓치는 상황이 아니라면
아이템, 타워의 건설보다 나무업그레이드가 항상 우선이 되어야 합니다.
어떠한 경우라도 5라운드 피전트 골드를 3500골드 이상 얻고 2500나무업까지 빠르게 해줍니다.
만약에 5라운드 피전트 골드를 3500원 이상 못 얻는다 하신다면 어떤 영웅이 피전트 골드를 얻는데 높은 딜을 하는지 모르는 경우입니다.
물론 처음 하시는 분들의 경우 드래곤을 어떤걸 쓰시느냐 타워/서모너의 파워업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1티어 타워 5개 건설하고 10나무 테크업을 하기 전까지는 THOR를 제외한 5키나 20키를 돌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최대한 빠르게 1티어 타워 5개 아무것이든 상관없으니 건설하셔서 10나무 테크업을 하시고
5키나 20키를 최대한 적게 돌려서 2티어 영웅 2개 확보해서 가능하면 피전트 전에 50나무 테크업해주고 드래곤을 건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2티어의 영웅들의 소환 몹들은 어느정도 준수한 딜량을 보여주니 참조하시고
꼭 굳이 내가 하고자 하는 종족의 2티어 영웅이 아니더라도 딜을 잘 할수 있는 영웅이면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휴먼인데 오크 쉐도우 헌터가 나왔다? 그냥 씁니다. 괜히 5키나 20키 돌린다고 더 좋은 영웅이 나온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나무 최.대.한.아끼고 2티어 빠르게 2개 확보해서 50테크 업을 하도록 합니다.
위에서 말한대로 3500골드 이상 얻고 2500나무업까지 빠르게 확보해준다는 가정하에 말씀드립니다.
2티어 영웅이나 3티어 영웅이 잘떠서 피전트 골드를 많이 먹은 쪽에 속해서 몬스터 소울이 15~25 사이가 있다면,
선택지는 2개 입니다
펠하운드를 소환해서 몬스터 소울을 25이상 확보해서 빠르게 히어로 알타 퀘스트를 깨고 필요한 내 종족의 3티어 영웅을 확보하던지
아니면 히어로 알타 퀘스트를 10라 이후로 하고 50키를 돌려서 3티어를 뽑아보던지.
보통저는 펠하운드 소호나해서 몬스터 소울 25이상 확보하도록 합니다. 이 부분은 어떤 2티어 3티어 조합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
어떤 2티어만의 조합으로 히어로 알타 퀘스트를 깰수가 있는지는 몇분들에게 온라인에서 게임하면서 몇번 설명드린 부분도 있습니다.
너무나도 경우의 수가 많아 일일이 다 언급하기 힘들지만 굳이 첨언 하자면
팅커, 디스트로이어, 드래곤 호크, 파시어, 쉐도우헌터, 프문있는 헌트리스, 탈론 시너지 있는 말퓨리온 등등 여러가지 있습니다.
참고로 칠리 로드를 사용하면 가장 손쉽게 히어로 알타를 깰수 있습니다. 라이트닝 로드도 괜찮을듯 한데 안써봐서 잘 모르겠네요.
만약에 이러한 부분이 귀찮다면 그냥 빌더오브쉐도우 고블린 제플린에 아키텍쳐 포인트 쓰셔서 팅커로 잡으세요. 가장 안정적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지금 휴먼 타워와 서모너를 활성화 한 상황이고
타워가 1티어 플라잉머신 1렙 하나, 1티어 소서리스 1렙 하나, 2티어 드래곤 호크 1렙 1개, 2티어 드래곤 호크 1렙 이렇게 있다고 칩시다.
이정도로는 히어로 알타를 못깹니다. 피전트 골드를 스킬 집중되는 지점에 잘 묶어서 딜을 잘했다고 하더라도 20레버의 마법 무효 방어막을 벗길게 없으니
묶는 것도 소용이 없죠. 딜이 부족하다 싶다는 판단으로 50키를 돌렸는데 나엘의 키퍼오브그루브가 나왔습니다. 여기서 키퍼 건설하실건가요?
이거 건설 안하면 아직 하수라는 겁니다. 키퍼는 단일로 가장 좋은 홀딩기를 줍니다. 키퍼 건설하고 몬스터 소울15이상이라면
1000/30짜리 펠하운드라도 소환해서 몬스터소울 20이상 맞추고
3000원 은신 감지템 착용해주고 그리고 드호라 2마리 스톱해놓고 키퍼도 스톱해놓고
유닛 안나올때까지 평타로만 라클하면서 기다리다가 유닛 잠시 안나올때 20레버 소환해서 키퍼 스킬로 마법방어 벗기고 일꾼으로 묶어서
드호라 스킬 집중해서 20레버 잡습니다. 그리고 나무 아끼면서 존버하죠. 그리고 10라운드 피전트 전에 챔피언몹 잡으면서 5소울 생기자마자
5레버 잡아주고 아껴둔 골드랑 나무 써서 히어로 알타 클리어 해주고 3티어 영웅 2명으로 피전트딜해줍니다
그러면 10라 피전트때 최소 11000원은 벌죠.
50키를 돌렸는데 3티어 영웅이 안나온다고 계속 돌리지 마시고
다른 종족의 2티어 영웅이라도 가지고 쓰는게 좋습니다.
요점은 10라운드 피전트 전에 챔피언 몬스터를 놓치지 않고 잡을수 있는 라인을 만들어라는 것입니다.
운이 없어서 원하는 좋은 영웅이나 히어로 알타 깨는 영웅 안뜨더라도
챔피언 몹만 놓치지 않을 라인업 구성하는데 중점을 둡시다. 열받고 짜증나도 그렇게 하는게 나아요.
그렇게 2라운드 피전트골드 덜 벌더라도 나무는 최대한 아끼고 10라 이후에 20레버 5레버 소환해서 다른사람이라도 잡게해서 퀘스트 깨고
3티어 영웅을 등장 시킵시다. 나무 아끼고 모았으면 히어로 알타 건설에 드는 나무 100 + 150나무 테크업 3티어 영웅2개 나무40=290나무
이정도는 들고 역변을 꾀합시다. 어설프게 50키 돌리는 것보다 이게 낫습니다. 나무를 아껴야 하는 이유중에 하나입니다.
만약 이게 안된다고 한다면 모든 플레이어가 망한 경우가 되겠네요.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만약에 10라운드 피전트까지 다른 플레이어들에 비해 골드의 수급량이 적다고 경쟁 심리에 굳이 무리해서 리롤을 하려고 하지말고
피전트 직전 챔피언 몹을 놓치지 않고 잡을수 있는 정도로만 라인을 유지해 줍니다.
또한 가장 중요한 점은 50키를 한번 한번 돌릴때 나오는 2티어 영웅을 그냥 지나치지 말라는 겁니다.
어차피 우리의 목표는 발키리 500만딜이잖아요? 그래서 이 공략보는 거잖아요?
여튼 위에서 말한대로 주요 영웅들의 만렙을 빠르게 찍게 되면 나무가 남아서 헌트를 통해 금으로 치환하든 몬스터 소울로 치환하든 하는 부분을 노릴수 있습니다.
금이 충분하다면 방깍템이나 필요한 9000원 템을 좀더 높은 확률로 확보할수 있고
몬스터 소울이 충분하면 원하는 전용템과 원하는 보석을 얻거나 스텟작을위한 레버넌트를 소환할수 있습니다.
초반에 망하면 망할수록 250업과 300업을 빠르게 해주세요. 라인은 거듭말하지만 챔피언 몹만 놓치지 않으면 됩니다+거기에 더해서 드래곤까지.
메인 딜링을 하는 3티어 영웅의 주요 시너지만 5키를 돌려서 조심스럽게 맞추어 줍시다.
망하지 않았다면 천천히 5키나 20키 돌려가면서 소서, 사이렌, 필요한 2티어 시너지 영웅 확보하여 방깍과 필수 시너지 높여서
피전트 딜을하는데 좀더 높은 골드를 수급하게 할수도 있고 도박성으로 50키를 돌릴수도 있습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망했을수록 인구업하고 5키20키 50키 돌릴 나무 아껴서 550업을 꼭 빠르게 해주세요.
250업을 하려면 3티어 3명이 필요한데 히어로 알타로만 3티어를 2개 올렸다면 인페르날 잡고 파이어에그 얻어서 파이어로드 등장하게 하는것도 방법입니다.
어차피 라바하고 파이어로드 시너지가 방깍을 주니까 끝까지 가져갈수 있겠네요. 파이어에그는 인구업 없이 가능하니까 인구업도 필요없구요.
드래곤이 주는 매직키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이부분을 활용해서 나무 300업을 최대한 빨리 해주고 키를 돌리도록 합니다.
300업을 해주고 키를 돌리면 3성 영웅이 잘뜨니 이부분은 더이상 설명이 필요하다 하지 않겠습니다.
그렇다면 일반적인 경우에 250업에서 300업 타이밍은 보통 언제 몇라운드 쯤이 되느냐?
오크 그롬 빌드처럼 헌트를 필수적으로 소환하는 빌드가 아니라면 보통
15~18라운드에 250업
18~22라운드에 300업을 하는게 좋습니다.
20라운드 전에 300업을 했고 50키를 뒤지게 돌렸는데 주요 3티어 영웅들의 만렙을 못찍었다 한다면 재수가 드럽게 없다고 봐야 합니다.
정상적인 경우라면 28라쯤에는 주요 3티어 2~3개정도는 만렙이 됩니다.
그런데 AP/카일 빌드를 하겠다고 그린드래곤을 소환해둔 상태에서 300테크업을하고 50키를 돌렸는데
마킹만 나와서 마킹5렙으로 라인업을 했다라고 하신다면... 게임 클리어 자체는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발키리 500만은 안나옵니다
그런경우엔 마킹 나와도 과감히 버리세요. 다른 유저에게 쉐어하시구요.
그리폰 라이더 많이나온다고 쓸데없이 5엡 할필요 없습니다. 앵크를 얻을 목적이 아닌이상
마킹 5렙이면 키 돌린 비용은 그렇다치고 건물 건설 4개에만 20*4=80나무가 쓰입니다. 그 나무조차도 발키리 500만을 바라본다면 아까운겁니다.
300키 업을 하고 돌리면 1티어 영웅들이 상대적으로 찾기 힘들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만약에 내가 나엘을 하는데 마린을 주딜로 하고 우서 캡틴 시너지가 꼭 필요하다 라고 한다면
300키 업을 하고 키를 돌리는 중에 캡틴이 나왔다면 3티어 이상의 우선순위로 최우선적으로 건설해 줍니다. 기본적인 센스죠?
타종족의 2티어도 아니고 1티어 하나 부족해서 시너지를 못채웠다고 한다면 그만큼 슬픈일이 없습니다. 타종족 1티어를 너무 쉽게 본거라고 봐야죠.
그렇게 해서 최대한 빠른 주요 영웅 만렙달성을 해서 남는 나무로 그동안 못찾은 방깍템등 찾아주도록 합시다.
계속 거듭해서 말하지만 나무를 아껴쓰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영타디의 매력은 20키를 돌렸는데도 3티어 주요영웅이 똭하고 나온다거나 할때 기분이 참 좋죠.
그런데 그런 경우 뿐만이 아니라 나무 200을 써도 3티어가 안뜨는 최악의 경우는 항상 있습니다.
제발 2티어 타 종족의 영웅이라도 소홀히 넘기지 마시고 써보세요. 엔간해선 안망합니다.
특히 초반에 1라운드부터~15라운드까지 300업 하기전에
20키 50키 한번 한번 돌려서 나온 영웅을 활용해줄 생각을 하시고
지금 운에 기대면서 의미없이 소모되는 나무가 고점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는 점을 알고 나무를 잘 아껴서 플레이 하신다면
더욱 높은 발키리 딜을 뽑아낼수 있으실거라 강력히 말씀드립니다.
New players will often encounter mana issues. It worth keeping an eye out for towers or items that increase the mana regeneration of towers.
It is also worth nothing that ,with early tower synergies, players can sometimes disable the towers autocast ability and micromanage mana that way.
The quicker the Transaction quest can be completed, the better. It not only increases the wood income of all players but also lets players share tier 2 and tier 3 towers. Since new players are very much vulnerable to the game’s RNG, sharing towers with your teammates is essential to beating the game.
Do not send Dragons during a Giant wave or Gold Wave, unless you are 100% certain to kill it quickly. Dragon can easily turn a very peaceful game into a loss.
Do not send Pandas, Illidan, or Pit Lord. You will most likely not be able to kill them. Also, the odds of finding these towers are quite low as a new player. Moreover, Pandas and Pit Lord leaks to other players and can also mess up a game.
Unlocking the Hero altar as a new player is not easy. It requires good knowledge of towers, good timing and a total of 25 Monster Souls.
Players can farm Monster Souls by summoning Spirit Beats with the boat. Greater Spirit Beats are not that easy to kill so new players should probably avoid summoning those.
Once you have enough Monster Souls, summoning and killing the revenant of the Depths (Necropolis) requires adequate preparation. Players need a way to reveal invisible units for a good duration.
It is recommended to summon the Revenant of the Depths when most your towers abilities are off cooldown.
It is also worth nothing that Revenants have a spell shield which allows them to ignore stuns/immobilizing effects. Once the spell shield has been used it goes on cooldown. Therefore, it is advised to wait for that spell shield to be procced, then use the builder’s Shackle on the revenant (you can hear when spell shield is procced).
Items like Orb of Lightning or Wand of Lightning can also help kill the revenant.
(Check out the Unlocking the Hero Altar before wave 10 section for more tips on killing the Revenant of the Depths).
Your very first meta-item that you unlock should be an impactful one. Players should generally choose either Flame Rod, Treant Wisp, or Thor rod. The Goblin and Wagon wisps are also powerful options, but to make good use of them requires a bit of game knowledge.
The flame rod is noticeably impactful as it has quite a low cooldown and solves mana issues.
Once you have purchased both a Wisp and a Weapon, you can choose to either work on your Robe progression or save up for Race Upgrades sold at the Ancient of Galaxy. Note that getting both upgrades for a chosen race will considerably affect the way you play the game. These upgrades are pretty much a prerequisite to consistently beating the game on higher difficulties.
Players should also keep in mind that they can easily purchase a dragon egg and lvl up a dragon of the color of their choice quite easily.
Once a player has unlocked two race upgrades, getting started on a Revenant and the Raven is a good idea.
New players will find that some tier 2 towers like Tinker, Shadow Hunter, Necromancer or Warden can clear waves. Players should not feel obligated to lvl tier 3 towers, especially when playing on Easy or Normal difficul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