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은 사람들에게 낯설고 난해하여 좀처럼 접근하기 힘든 것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특히 그 실체를 이해할 수 없는 비구상회와는 더욱이 본질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없어 보는 사람들에게 답답함을 안겨주기도 한다. 자칫 난해함으로 이해되곤 하는 이러한 비구상회화의 약점이 이도선작가의 화면에서는 보완되어있다. 적절한 해석과 표현, 그리고 적당한 구상성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야 말로 그의 작품이 갖고 있는 소탈한 매력이다. 그의 작품에는 구상과 추상이 동등한 수준에서 나타나며 이 모두가 자유롭게 수용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점은 그의 작품의 형식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감성이 본질을 이루어 형태화된 묘사는 그의 그림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받아 들이게 함으로서 동시에 작가의 의도가 계산되지 않은 무의식으로부터 출발된 것임을 깨닫게 한다. 이러한 점은 작가의 작업일지에서도 나타난다. '의도된 형태와 계산된 작업은 나에게 흥미를 잃게하고 실망과 권태만 줄 뿐이다' - 김설류기자 글에서 -
Contemporary art is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access because it is strange and difficult to people. In particular, the non-governmental society, which cannot understand its substance, can not understand its essential meaning, which makes viewers frustrated. The weakness of this non-figurative painting, which is often understood as being difficult, is complemented by the artist Do-Sun Lee. This is because proper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and proper figuration are included. This is the modest charm of his work. In his works, conception and abstraction appear on an equal level, and both are freely accepted and appear. This point is also a formal characteristic of his work. The portrayal of the sensibility as its essence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and accept his paintings, and at the same time realize that the artist's intentions originated from uncalculated unconsciousness. This point also appears in the artist's work journal. 'The intended form and calculated work only give me disinterest and only disappointment and boredom'
-From art reviewer Kim Seolryu-
마음 속의 풍경 - 큰 산 / 486x130cm / mixed media on canvas /2005
마음 속의 풍경 - 큰 산 (1/3 부분)
마음 속의 풍경 - 큰 산 (2/3 부분)
마음 속의 풍경 - 큰 산 ( 3/3 부분)
마음 속의 풍경-마중가는 길 / 72X52cm / mixed media on canvas /2003
마음 속의 풍경 - 가을 들녘(1) / 91X46cm / mixed media on canvas /2003
마음 속의 풍경 - 가을 들녘(2) /91X46cm / mixed media on canvas /2003
마음 속의 풍경 - 뚝방 / 72X52cm / mixed media on canvas /2003
마음 속의 풍경 - 강마을 / 91X46cm / mixed media on canvas /2002
마음 속의 풍경 - 언덕(1) / 136X60cm / mixed media on canvas /2003
마음 속의 풍경 - 언덕(2) / 136X60cm / mixed media on canvas /2003
마음 속의 풍경 - 겨울 강 / 91X46cm / mixed media on canvas /2002
나는어린 시절을 서울의 변두리에서 보냈다. 다닥다닥 붙어있는 이웃의 작은 집들, 미로 같은 골목길, 원목과 석탄을 가득 쌓아 논 야적장, 철길, 조금 더 나아가면 청계천변의 뚝방과 지금의 장한평과 면목동의 논밭이 보이고 맑은 중랑천의 물이 흐르는 곳이었다. 그 때만 해도 각종 오수로 더럽혀진 청계천이지만 뚝방에 올라서면 시원한 바람과 함께 코끝에 전해지는 싱그러운 풀매음, 멀리 보이는 아차산의 능선, 끝 간데 없이 이어지는 논둑 길, 고기 잡으러 가던 중랑천 뚝방 길의 마른 진흙 길. 맨 발에 와 닿는 고운 느낌은 지금도 나의 가슴을 설레게 한다. 이러한 나의 유년의 기억들은 그림 속에 정겨움과 그리움, 기다림으로 나타난다. 나의 그림 속에는 유년의 잔상들이 작은 조각이 되어 화면에 나타난다. 작은 조각들이 모여 어우러져서 하난의 그림이 완성된다. 많은 이야기들은 그림에서 서로 어우러지고 모여져서 상징과 기호, 색채로 표현되어 정리되어 나의 유년의 기억을 마음 속에 전해준다.
-2003. 작가의 노트 중에서-
I spent my childhood on the outskirts of Seoul. The neighborhood's small houses, labyrinth-like alleys, yards filled with wood and coal, railroad tracks, and a little further, you can see Tukbang along the Cheonggyecheon stream, and the rice fields of Janghanpyeong and Myeonmok-dong, where the clear water of Jungnangcheon flows. At that time, Cheonggyecheon was polluted with various kinds of sewage, but when you step up to the Tukbang, you can see the refreshing grass flowing to the tip of the nose with the cool breeze, the ridge of Mt. The fine feeling that touches my bare feet makes my heart flutter even now. These memories of my childhood appear in the paintings through affection, longing, and waiting. In my paintings, afterimages of childhood appear on the screen as small pieces. Small pieces are gathered together to complete the painting of Hanan. Many stories are harmonized and gathered in paintings, expressed in symbols, symbols, and colors, and organized to convey the memories of my childh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