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er for Digital Literacy
인류에게 드리는 편지
인류에게 드리는 편지,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미래 기술들이 연결되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일상을 빠르게 변화시키며, 미래 일자리에도 많은 대체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4차 산업혁명이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꿔나갈까요? '4차 산업혁명'이란 용어는 2016년 1월 세계경제포럼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세계경제포럼은 인류의 발전을 논의하는 곳이 아닙니다. 경제 발전을 논하는 곳입니다. 다시 말해서 4차 산업혁명은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혁명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기업의 발전이 인류의 발전과 분리될 수는 없으나, 이윤을 우선시 해야 하는 기업에게 있어 4차 산업혁명은 그렇게 나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은 인류에게 순기능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역기능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바로 지금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2016년 3월 인간이 만든 인공지능 알파고가 인류 최고의 인간을 이겼습니다. 인공지능과 미래 디지털 기술이 인류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도록 앞으로 우리가 만들어나갈 수 있을지, 인간이 만든 기술에 인류가 무릎을 꿇는 날이 오게 될지 지금 우리 손에 달려있습니다.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는 동시에 생겨날 것입니다. 디지털을 잘 활용할 줄 모르고 지혜롭지 못한 사람은 일자리에서 쫒겨나고 인공지능에 의해 부림을 당하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 반면 디지털을 잘 활용할 줄 알고 지혜로운 사람은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인공지능을 부리며 더욱 생산적으로 일을 해내겠죠. 역사가 말해주듯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미래는 암울하지만 적응하는 사람에게는 큰 기회가 주어질 것입니다. 보다 많은 사람이 기회를 얻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특정 기술은 일부 집단에 의해 독점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독점적 기술은 독점적 권력과 지위를 보장해주고, 심각한 사회 양극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류에게는 건강한 디지털 리더가 필요합니다. 구글은 "You can make money without doing evil."(악해지지 않고도 돈을 벌 수 있다.)을 강조합니다.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는 환경을 위해 전기차를 개발한 후 기술을 공개하고, 인공지능이 독점적 기술이 되지 않도록 비영리 연구기업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인류에게는 이러한 리더가 더 많이 필요합니다.
디지털 기술이 어떻게 개발되고 사용되는지 지켜보고, 필요할 때 행동할 수 있도록 집단지성을 지닌 디지털 시민도 필요합니다. 돈을 벌기 위해 악해지는 기업과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악해지는 정치 지도자가 있다면 이를 알아보고 행동할 수 있는 행동하는 디지털 시민이 필요합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 사회가 본격화되면서 사이버 세계에서의 체류 시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VR, AR, MR 등의 기술을 활용한 메타버스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교육, 게임,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등 새로운 경제가 생겨나며 인간의 삶의 방식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미래 세대는 이제 '메타버스 리터러시'도 갖추어야 합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이제는 디지털이 중심이 되는 세상입니다. 디지털을 어떻게 개발하고, 활용할지 우리에게 달려있습니다. 디지털은 칼과 같습니다. 강도에게 주면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무기가 되지만, 요리사에게 주면 사람에게 영양과 행복을 주는 도구가 됩니다. 디지털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사람의 문제입니다.
디지털 교육이 이제 디지털 기술과 함께 사람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오히려 기술보다 사람에게 더 집중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산업혁명 이후 인류는 큰 발전을 이루었지만 동시에 많은 실수도 저질렀습니다. 물질 중심 사회를 만들었고 승자독식 사회를 부추겼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서 이 기조를 유지한다면, 인류는 공멸의 길로 접어들지도 모릅니다. 지금 보이는 위기가 바로 기회입니다. 엄청난 변화의 시기가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미래를 준비할 디지털 인재를 키우는 동시에, 미래 문제들을 해결하고 대비할 디지털 홍익인간을 키우는 일에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가 모두 디지털 어벤저스가 되어야 합니다.
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
CDL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협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여
디지털 인재와 디지털 홍익인간을 양성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입니다.
설립목적
기술의 발전은 인간 사회와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농업 기술은 인구의 폭발적 성장으로 이어졌고, 산업 기술은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고 대규모 자본을 만들어냈습니다.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기술은 인류가 아직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기술 변화로 인간의 노동 가치는 재조명되고,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는 동시에 생겨날 것입니다. 디지털을 잘 활용할 줄 모르고 지혜롭지 못한 사람은 일자리에서 쫒겨나고 인공지능에 의해 부림을 당하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 반면 디지털을 잘 활용할 줄 알고 지혜로운 사람은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인공지능을 부리며 더욱 생산적으로 일을 해내겠죠. 역사가 말해주듯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미래는 암울하지만 적응하는 사람에게는 큰 기회가 주어질 것입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기회를 갖기 위해서는 교육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교육 발전을 위해 많은 분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디지털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입니다. 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는 기술 발전 속도와 교육 발전 속도의 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입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존 역량인 디지털 활용 능력과 소양을 향상시켜 개인의 더 나은 삶을 돕고, 모두를 위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Mission & Vision
Core Value
연혁
2023년
2023 학부모를 위한 미래 교육 세미나 개최
T1과 MOU 체결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MOU 체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메타버스 윤리원칙 및 실천윤리 연구 계약 체결
유니키코리아 업무 협약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새내기 예비대학 메타캠버스 운영
2022 YouTube Awards 진행
서울예술대학교 MOU 체결
2023 Meta Vision Summit 개최
2022년
'Digital Literacy Conference 2022' '디지털 건강, 안녕하십니까?' 진행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새내기 예비대학 메타버스 운영
대상그룹, AK그룹디지털 리터러시 원격 연수
서울교육연수원 학습연구년 교사 위탁 연수
세계 청소년 평화운동가(Global Youth Peacemaker) 교육 - 뉴욕 데모크라시 프렙(Democracy Prep) 학생과 한국 학생
서울시교육청 '디벗' 기기 지원 맞춤형 프로그램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학부모 봉사단 운영
서울시교육청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의 교육적 효과 분석 연구'
2022년 여성가족부 청소년프로그램 운영
한국물리학회 2022 봄 학술대회 메타버스 운영
NEUTRINO 2022 Seoul 메타버스 운영
NHN에듀 MOU 체결
2021년
서울시교육청 '메타버스 활용 교육정책 연구'
2021 디지털 리터러시 국제 컨퍼런스(Digital Literacy Global Conference) 개최
2021 디지털 리터러시 국제 심포지움(Digital Literacy Global Symposium) 개최
서울시교육청 MOU 체결
스테이지파이브(카카오 계열사) MOU 체결
폴란드 한국문화원 MOU 체결 및 디지털 문화예술 교육
우송대학교 MOU 체결
서울교육연수원 학습연구년 교사 위탁 연수
대상그룹, AK그룹, 삼성SDS 디지털 리터러시 원격 연수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공무원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원격 연수
지방공기업평가원 지방공기업 임직원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원격 연수
연세대, 고려대, 동국대, 상명대, 경희대 등 대학 및 대학생, 교수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워크숍 진행
대구 국제고등학교 MOU 체결 및 디지털 리터러시 효과 측정 연구
대구미래교육연구원 '미래역량교육을 위한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숭실대학교 스파르탄SW교육원 MOU 체결 및 디지털 교육 콘텐츠 개발
2020 청소년, 교사가 선정한 유튜브 채널 어워드
'Digital Literacy Conference 2021' '거인의 어깨 위에서 지식을 나누다' 진행
2020년
국립중앙도서관 MOU 체결 및 디지털 교육 콘텐츠 개발
구글 아트앤컬쳐 이응노 미술관 학습 지도안 프로젝트 참여(한국 최초)
광주평생교육진흥원 MOU 체결 및 디지털 교육 콘텐츠 개발
Edu MASK(Education Make A Safe Korea!) 원격 수업 공익캠페인 추진-'On꿈' 프로젝트 교육
코로나19 에 대응하는 원격 프로젝트 '화상에서 ON 선생님' 수업 진행
중부교육지원청 MOU 체결 및 디지털 교육 콘텐츠 개발
공교육 교사 지원 프로젝트 원격 교육 진행
서울 중구청 MOU 체결 및 중구교육지원센터 콘텐츠 개발
서울역사박물관 MOU 체결 및 학예사 연수, 디지털 교육 콘텐츠 개발
이화여대 교육학과 MOU체결 및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MOU 체결 및 인공지능교육정책대학원 콘텐츠 개발 및 연구
한국만화박물관 MOU 체결 및 어린이 만화가 양성 디지털 교육 콘텐츠 개발
서울혁신파크 MOU 체결 및 사회혁신가, 소셜벤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2019년
제3회 교육자 세미나 구글닷오알지와 공동 개최
디지털로 풀어보는 어린이 성교육, 어린이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70개 학교지원
디지털 & 미디어 리터러시 도서 출간
질병관리본부와 VR 활용 자전거 안전교육 콘텐츠 개발 및 연구
페이스북 코리아와 청소년의 건강한 SNS 활용을 위한 '우리 생애 첫 소셜미디어’ 교육
국립중앙박물관 MOU 체결 및 청소년 디지털 문화예술 교육 진행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아름다운 디지털 세상’ 컨퍼런스 공동 개최
중앙교육연수원 정책공무원 빅데이터 활용 역량 강화 교육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과 전국 32개 지역아동센터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디지털 문화예술교육 베트남 라오까이 교사 연수 및 무엉끄엉 다민족 학교 디지털 문화예술 놀이터 운영
2019 Global Media Literacy Summit(London) 한국 사례 발표
DQ(Digital Quotient) 모델의 학문적 검증
중앙교육연수원 ‘빅데이터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원격 강의 제공
서울교육연수원, 경기교육연수원, 인천교육연수원, 대전교육연수원 등 전국 교육연수원 ‘디지털 리터러시’ 교사 연수
2018년
다큐멘터리 알파고 시사회 & 전문가 패널 토의
써모피셔코리아(Thermo Fisher Korea) 디지털 패러다임 컨설팅
지역아동센터, 범죄청소년, 건강취약청소년, 장애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시
한불 청소년 교류 화상 원격 교육 및 토론회
한국노벨리스(Novelis) 임직원 자녀 및 지역사회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사회공헌
한국알테어 MOU 체결 및 디지털트윈 교육 연수 및 콘텐츠 공동 개발
프랑스, 미국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 원격 연수 실시
디지털 문화예술교육 베트남 라오까이 교육 ODA 및 디지털 문화예술 놀이터 운영
베트남 하오니 디지털 리터러시 전시 및 워크숍 진행
서울산업진흥원(SBA) MOU 체결 및 유튜브 크리에이터 교육
아산나눔재단과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미래학교 설립 타당성 연구
제1회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국회 컨퍼런스 진행
한국NPO공동회의와 국제기부문화 선진화 컨퍼런스 공동 개최
제2회 교육자 세미나 부산시교육청과 공동
이화여대 학교폭력예방연구소 MOU 체결 및 디지털 활용 학교폭력예방교육 콘텐츠 개발 및 연구
2017년
DQ(Digital Quotient) 모델 및 자가진단지 개발
디지털 리터러시 전문 마스터 20명, 전문코치 126명 육성
중학교 교사 및 학생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재 발간
구글닷오알지 후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 및 3,500명 16차시 청소년 교육
전국 초중고 공교육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 연수 개시
제2회 르노삼성 후원 서울국립어린이도서관 교통안전 코딩로봇 캠프
제3회 르노삼성 후원 부산시 초등학교 교통안전 코딩로봇 캠프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적용방안 연구
제 1회 ‘교육, 어디로 가나? 공부, 어떻게 하나?’ 교육자 세미나
2016년
세계 최초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법론과 콘텐츠를 개발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
서울시 교육공동체 프로젝트 : 학교와 마을이 만나는 사업, 로봇까페 운영
국민대통합위원회와 자녀가 써주는 아빠, 엄마의 인생이야기, ‘빠마이야기’ 진행\구글코리아 후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콘텐츠 개발
4차 학교혁명, 중학생 3,500명 & 학부모 1,000명 특강
청소년 톡톡 토론회 “자유학기제, 우리가 만들자!’ 기획 및 진행
제1회 르노삼성 후원 부산시 초등학교 교통안전 코딩로봇 캠프
사업영역
① 기업/기관 교육
첫째, 임직원의 디지털 활용 능력 향상 교육
둘째, 디지털 데이터 리터러시 활용 전략/정책 교육
셋째, 기업/기관 디지털 활용 마케팅 역량 강화 교육
넷째, 벤처 창업가 디지털 활용 교육
② 공교육 혁신지원 사업
첫째, 디지털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제공
둘째, 연수를 통한 교사 디지털 교육 역량 강화
셋째, 디지털 코치 파견 학생 직접 교육
넷째, 학부모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③ 정보 격차 및 디지털 불평등 해소
첫째, 디지털 정보 및 미디어 소외, 격차 해소 교육
둘째, 학교 밖 청소년, 장애, 탈북 청소년 디지털 교육
셋째, 시니어 디지털 라이프 & 금융 교육
넷째, 청소년 디지털 기업가정신 교육
④ 해외 교류 및 캠페인
첫째, 미국, 프랑스, 중국, 베트남 등 해외 청소년 교육
둘째, 현지 교사 연수를 통한 교사 디지털 교육 역량 강화
셋째, 청소년 국제 교류 캠페인
넷째, DQ 국제 협력 연구
조직
경영진
박 일 준 공동대표 회장
KCMG 한국갈등관리본부 대표
공익마케팅협동조합 PUB23 이사장
EBS 사회공헌 전문위원
전 사단법인 라이프 대표
전 인컴브로더 대표이사
전 플레시먼힐러드코리아 부사장
전 도모커뮤니케이션컨설팅 대표이사
전 금강기획 광고기획팀
UCLA Extension, Film & Television
연세대학교 사회사업
김 묘 은 공동대표 부회장
(사)한국과학문화교육단체연합 부회장
(사)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이사
EBS 시청자위원
전 (주)나무온 공동대표
전 SK재단법인 행복한웹&미디어 상임이사
전 퍼블리시스모뎀 IMC사업부장
홍익대학교 미술학 석사
이사회
이 람 (주)TBT 대표
전 NHN 포털전략팀 이사
전 캠프모바일 대표
전 싸이월드 기획자
조 윤 상 (주)스톤비 대표이사
전 한국거래소 홍보기획팀장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국민의정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연대 사회사업학과
이 지 윤 풀무원 사외이사
전 서울시설공단 이사장
전 플레시먼힐러드코리아 부사장
서울대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 수료
권 찬 아름다운재단 사무총장
전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이사
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부회장
김 도 훈 (주)아르스 프락시아 대표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런던정경대(LES) 석사
서섹스 과학정책대학원(SPRU) 박사
문 성 수 알테어코리아 총괄
전 기아자동차 중앙연구소
홍익대학교 기계공학과 석사
방 정 환 법무법인 인화 대표
경희대학교 법학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
사법시험 제 40회 합격, 사법연수원 제 30기 수료
경희대학교 로스쿨 겸임교수
사이버청년단 법률고문 변호사
서울특별시 의회법률 고문
세무사, 변리사 자격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회원
오 영 환 시니어금융교육협의회 사무총장
서울시일자리위원회 위원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정책위원
대한노인회 중앙회 정책이사
서울시교육청 교육감 평생교육특보
노인자원봉사센터 운위원
시니어감성복지네트워크 대표
대한노인회 서울시연합회 기획위원
한국사회연구소 수석연구원
감사
신 천 수 법무사
국민대학교 법과대학
전 한국표준협회 전문위원
한국생산성본부 전문위원
서울중앙지방법무사회 교육위원
중앙법률사무교육원 교수
자문위원
진 정 일 고려대학교 KU-KIST 융합대학원 석좌교수
고려대학교 KU-KIST 융합대학원 원장
한국과학문화교육단체연합 이사장
한국과학문화진흥회 회장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연맹 회장
한국과학재단 부이사장
노벨과학상 심사위원
뉴욕시티대학교 대학원 고분자화학 박사
서울대학교 유기화학 석사
신 호 창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중앙정부 및 주요 기업 자문위원
미국PR협회 공인 PR전문인
공공외교학회장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ICA), Public Relations Division, Vice Chair (2003-2005), Chair(2005-2007)
오하이오대학교 PR전공/언론학 박사
켄터키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신 용 태 숭실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교수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 특성화 대학원 원장
한국정보처리학회 회장
숭실대학교 스파르탄SW교육원 원장
한국인터넷윤리학회 회장
아이오와대학교 컴퓨터공학 박사
이 유 택 우송대 미래대학 및 엔티컷 칼리지 학장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 경영학과 교수
뱁슨칼리지(Babson College) 교수
엠마누엘 칼리지(Emmanuel College) 교수
미국 식스시그마 블랙벨트 & 말콤볼드리지상 심사위원
삼성전자
최 연 혁 스웨덴 린네대학 정치학과 교수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Linnaeus University
Scandinavi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Södertörn University
Visiting Scholar, Social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Visiting Researcher,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Visiting Professor, Quality of Government Institute, Göteborg University
정 제 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AI융합교육연구지원센터장
이화여자대학교 학교폭력예방연구소 부소장
교육과학기술부 서기관
한국교육개발원 전문연구원
서울대학교 교육행정 박사
Location
전화번호 : (02)2062-3001
이메일 : request@cdledu.org
홈페이지 : http://www.cdledu.org
네이버 카페 : https://cafe.naver.com/cdledu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cdledu
[사무국]
[06343]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35
[연구소]
[13449]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대왕판교로 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