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목표 & 'ENTER ESD'
: 전세계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유엔과 국제사회가 달성해야 할 목표
:17개의 목표와 169개의 세부목표로 구성
: 사회적 포용, 경제 설장, 지속가능한 환경의 3대 분야를 아우르며 '인간 중심'의 가치 지향을 최우선시
"ENTER ESD" 체인지메이커 활동은, SDGs 중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라기보다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알림으로써
예비교원이 이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한 활동입니다 :)
✨체인지메이커 활동 과정
< 1. 문제 발견하기 >
기존 대학생 중 예비교원의 인식 설문조사 결과 요약
-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들어본 예비교원 20%
- 국내 교육현장 또는 해외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사례를 접한 예비교원 0%
- ESD의 정의를 파악한 뒤, 이에 대한 참여에 긍정적인 예비교원 90%
구체화 과정
- 무엇이 문제이고, 왜 문제일까?
- 내가 신경쓰이는 문제들
최종 구체화
목표 예비교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인식 향상
자료 조사
1.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적용 사례
2. 교육현장에서의 필요성, 요구 정도
3. 예비교원이 ESD에 관해 알더라도 관심과 참여 의사가 저조한 이유
< 2. 솔루션 찾기 >
자료 조사
1) 유튜브 영상
- 교사연구회, 교원 대상 연수 영상
- ESD 관련 프로그램/채널
- 중고등학교 수업 사례
2) 연구 및 논문 자료
- ESD 관련 교사 인식의 필요성 / 중요성
- ESD의 교육현장 적용의 한계
5WHY 활동
최종 활동 아이디어 : ESD 필요성 인식 / 간략화 및 정리 / 실제 사례 / 기회 제공
자료 출처: 고등학교 고육학 교과서 (강현석)
< 3. 행동하기 >
포스터 제작
- 설정한 목표 고려
- '예비교원'을 표현할 수 있는 시각요소
>> 칠판과 '학습목표'
- 진행하려는 체인지메이커 활동 내용을 고려
1) 다양한 교과의 ESD 사례 공유
2) '함께 채우기' 페이지 구성 :
단순 정보 습득이 아니라, 예비교원으로서
아이디어 및 사례 탐색의 기회 제공
>> 검색창과 'ENTER' 키 활용
: 온라인 활동임을 표현
: 직접 찾아보고 참가하는 (입력하는) ESD
사이트 제작 : ENTER ESD
- 구상했던 페이지/목차 적용
- 자료 조사 및 수집한 영상, 논문 추가
- 'ENTER ESD : 함께 채우기' 구성
< 4. 퍼뜨리기 >
"ENTER ESD" 사이트 공유 (우측 로고 클릭 시 이동)
'함께 채우기' 페이지를 다른 예비교원들과 함께 채워나가기
[ ENTER ESD : 함께 채우기 ] 공간의 구성
(자신이 아는 교육현장이나 교과별 다양한 사례가 있다면 추가하기)
(자신의 교과에 적용할 아이디어가 있다면 추가하기)
(교과별 ‘지속가능발전’ 연계를 공유하기)
(사이트에 대한 추가 의견 제안하기)
<실제 [ENTER ESD : 함께 채우기] 페이지에 참가한 예비교원의 활동을 기록한 사진 >
< 5. 활동소감 >
평소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심이 많았는데 단순히 이 개념과 사례를 알아보고 끝내는 게 아니라, 이번 활동을 통해 나를 포함한 예비교원이 ESD에 대한 (조금이라도) 거리감을 줄이고 직접 행동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어서 의미 있었다. 물론 이 활동이 아직 모든 교과, 그리고 좀 더 많은 사례나 완전한 ESD 적용을 아우르진 못하지만, 앞으로 예비교원에게 필요한 교육이자 지식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알려지고 적용을 하기 위한 계기가 되었다면 좋겠다. 몇 가지 아쉬움으로는, 사이트에 넣을 수 있는 영상이나 자료가 생각한 것만큼 많지는 않고, 'ENTER ESD : 함께 채우기'를 완벽하고 안정적으로 시행하기엔 익명의 환경이라 발생하는 단점들이 있다는 점이 있다. 기회가 된다면 좀 더 전문적이고 안정적인 사이트나 관련 기획이 있으면 참여할 수 있으면 좋겠다 :)
*개인 체인지메이커 활동 과정: 슬라이드 참고
✨"ENTER ESD" 사이트
- 가정교육과 서유진 (20201168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