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로 발전되는 디지털 시대의 문제를 주제로 다양한 문제점을 열거한 뒤 그 내용을 각각 생활,허영,용량부족,프라이버시,재사회화,범죄로 범주화하였고 이 중 우리들이 신경쓰이는 프라이버시와 범죄 영역을 선택하여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디지털 범죄"로 결정하였다.
왼쪽 상단의 그림: 해결되지 않았을 때는 난리(?)가 나는 그림, 해결되었을 때는 범죄자가 잡히는 그림
왼쪽하단의 그림:해결된다면 안전한 나라가 될 것이라는 그림
오른쪽 상단의 그림:해결되지 않는다면 사이버범죄 학교(?)가 생길것이라는 그림, 해결되었을 때는 대구경찰청의 축제(?)
오른쪽하단의 그림:해결되지 않았을 때는 각종 사기로 계좌가 0원, 해결되었을 때는 계좌가 멀쩡함(?)
관련기사를 찾아서 새롭게 알게 된사실을 정리하고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다시 팩트 체크하는 과정을 거쳤다.
팩트체크를 할 때에 기사에서 근거를 찾지 않고 그 기사가 인용한 논문, 통계등의 출처를 찾아서 검증하였다.
더 알고 싶은 점은??
더 궁금한 점을 자체적으로 자료조사를 해야할 질문, 설문조사가 필요한 질문으로 분류!!
실제로 할 조사의 비율을 설정
자료조사 결과
사이버 범죄의 현황과 종류 그리고 사이버 범죄 예방 실태 교육 내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사이버 범죄의 종류
사이버 범죄의 현황
사이버 범죄 예방 실태 교육 내용
사이버수사국 공식채널 속 영상들
자료조사 중 중요한 포인트를 살펴보면 피싱관련 조사에서 피해자 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피해액이 증가하고 있고 코로나 이후 피싱범죄가 증가하고 인터넷사기가 증가하였다.
또, 여러 사이버 범죄들이 전략이 고도화되어 가고 있었다. 심지어 어떤 사례에서는 바이러스를 통해서 육안으로는 전혀 의심할 수 없는 가짜 사이트로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빼내는 등의 수법이 쓰이기도 하였다.
사이버 범죄 관련 예방교육에서는 사이버 수사국에서 이미 활발히 교육을 하는 중이였다. 하지만 의무교육으로 지정된 것은 아니여서 의무교육으로 지정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다수 있었다.
실제 설문조사의 주요 문항의 응답 결과
설문조사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중장년층과 노년층이 가장 취약하고 시각적 자료를 통해 예방방법을 홍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피싱의 경로를 생각했을 때 금융기관을 가장한 이메일 발송이나 웹사이트 사칭을 통한 피싱을 주변에서 많이 볼수 있다.
이해-재정의-관념화-시각화-공유-검토 총 6단계로 구성된 크리에이티브 사이클을 활용
5why를 통해서 근본적인 원인을 찾았는데
1.사람들이 사이버범죄 예방교육을 어디서 하는 지 잘 모른다.
2.자신은 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함
3.노인세대들에게 홍보물이 전달되지 못함
4.고도화된 전략으로 인한 무지
등의 다발적인 원인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