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교육과 2020112262 사승연
가정교육과 2020112262 사승연
-코로나 19 마스크 주제 선정 이유-
✔️코로나로 인한 마스크 사용량 증가
✔️SNS를 통해 우연히 본 마스크로 인해 피해 받고 있는 동물들의 사진
-->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마스크와 관련된 정보를 사람들에게 공유하고 마스크 제대로 버리는 방법에 대해 알리기
💚지속가능발전목표💚
: 전세계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유엔과 국제사회가
달성해야할 목표입니다.
기후변화와 그 영향에 대처하는 긴급활동을 시행한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양, 바다, 해양 자원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하게 이용한다.
육상 생태계를 보호, 복원 및 지속 가능하게 이용하고, 산림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며, 사막화와 토지 황폐화를 방지 및 복원하고, 생물 다양성 손실을 방지한다.
기후변화 완화 및 조기경보에 관한 인적, 제도적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목표🔻
모든 종류의 해양오염 예방 및 감소를 목표로 합니다.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산림 생태계 보존을 목표로 합니다.
내가 신경쓰이는 문제??
->마스크 사용 증가로 인해 버려지는 마스크 양과 그로인한 환경오염
->제대로 버려지지 않은 마스크들로 인한 동물들의 피해
코로나 폐마스크의 환경오염
✔️국내에서 매일 버려지는 일회용 마스크 2,000만개
✔️마스크1개 무게가 4g, 매일 버려지는 마스크 80t
✔️마스크 한 장이 썩는데 페트병보다 약 36%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
쏟아지는 폐마스크, 재활용 방안이 없다.
✔️일회용 마스크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재활용이 어렵다. 매립이나 소각 외에는 대책이 없다.
✔️코 부분엔 아주 얇은 철사가 들어 있어 분리배출이 어렵다.
✔️주원료가 폴리프로필렌인 폐마스크가 버려지거나 매립되는 경우 완전히 썩는데 450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스크는 감염의 우려가 있다 보니 섣불리 재활용하기 어렵다.
✔️플라스틱 오염 때문에 해마다 130억달러, 우리 돈 14조원이 넘는 피해가 예상되고 있는데 그 중 마스크로 인한 오염량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새롭게 알게 된 사실과 근거
✔️폐마스크 재활용 방법이 없다
✔️마스크 1개가 썩는데 450년이 걸린다.
1.폐마스크 재활용 방법이 없다
-마스크를 세탁해서 재사용 가능?
마스크를 세탁하게 되면 필터가 손상되어 바이러스 차단 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마스크가 변형되기 때문에 얼굴과 밀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다만 필터 교체형 마스크는 필터를 분리하고 마스크를 세척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 소독으로 재사용 가능?
알코올이 마스크에 묻어 있는 균을 살균할 수는 있다. 그러나 마스크 필터는 부직포로 구성돼 있는데 알코올이 부직포 조직을 변형시켜 필터를 손상시키게 된다.
-전자레인지나 헤어드라이기로 소독이 가능?
전자레인지로 살균이 될 수 있다고는 하지만 마스크 구조가 파괴될 수 있다. 또한 80도까지 올라가는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면 바이러스가 죽는다는 소문도 사실이 아니다.
2. 마스크 1개가 썩는데 450년이 걸린다
-문제는 코로나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필터를 여러 겹 더한 마스크의 주요 재질이 플라스틱 일종인 ‘폴리프로필렌(PP)’이란 점이다. 소재 특성상 땅에서도 잘 썩지 않는다. 김주식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는 “마스크의 주 재료인 폴리프로필렌이 땅속 미생물을 통해 완전히 썩는 데 걸리는 시간은 450년 정도로 추정된다”고 했다.
-소각도 마찬가지다. 폴리프로필렌 1t(톤)을 소각할 경우, 그 3배가 넘는 3.07t의 온실가스가 발생한다. 환경운동연합 백나윤 활동가는 “마스크를 매일 써야 하는 상황에서 배출 온실가스는 누적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 자체로 ‘플라스틱 덩어리’인 일회용 마스크 매립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
①폐마스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시대 필수품인 마스크는 방역 1등 공신이다. 한때는 정해진 날에 줄을 서야 구매할 수 있었던 귀한 존재였지만, 어느덧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골칫거리가 됐다. 코로나19 장기화에 감염자가 폭증하면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돼 매일 쓰고 버려지는 일회용 마스크가 엄청나다.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하루 평균 2천만개, 연간 73억개 이상의 폐마스크가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민 인구 수 대비 도내에서만 하루 520만개의 마스크가 버려지고 있다.
폐마스크는 70%는 소각되고, 나머지 30%는 매립된다. 두 방법 모두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 환경부 지침상 폐마스크는 종량제 봉투에 배출하는게 원칙이다. 문제는 마스크 소재다.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필터를 겹친 마스크의 주요 재질은 폴리프로필렌으로,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소각할 때 다이옥신 같은 유해물질이 배출된다. 다이옥신은 온실가스를 만드는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매립도 문제가 크다. 주원료인 폴리프로필렌은 썩는데 450년이나 걸린다. 미처 수거하지 못한 폐마스크, 아무데나 버린 마스크는 수백년간 토양을 오염시킨다. 폐마스크는 필터와 부직포, 철심, 끈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돼 있어 분리 배출도 어렵다. 지방자치단체의 자원순환센터에는 폐마스크가 섞여 들어오지만 수거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실정이다.
②마스크로 인해 위협받는 생명
폐마스크로 인해 동물들도 수난을 겪고 있다. 갈매기 몸통에 마스크 줄이 엉켜 고통받는 모습이 제주에서 포착됐다. 동물들에게 목숨을 위협하는 흉기가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제대로 폐기하지 않고 방치한 일회용 마스크는 바다로 흘러들어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해 해양동물과 생태계를 위협한다. 그 피해는 결국 인간에게 돌아간다.
③마스크 종류별 사용법
1. KF 등급 마스크
KF는 Korea Filter(코리아 필터)의 약자이다. KF 표시가 있는 마스크는 입자 차단율이 높아 황사,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을 막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KF94와 KF99 마스크는 황사, 미세먼지와 같은 입자성 유해물질뿐만 아니라 평균 입자크기 0.4㎛의 감염원을 94~99% 이상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입자차단 기능이 있는 KF80, KF94, KF99 마스크는 의약외품 ‘보건용 마스크’로 허가되었다. 결론적으로 KF 등급 마스크는 평균 0.4~0.6㎛ 크기의 미세입자를 차단해야 하는 경우, 또는 병원과 같이 감염원을 철저히 차단해야 하는 경우 필요한 마스크라고 할 수 있다.
2. 일회용 마스크
덴탈 마스크로 불리기도 하는 일회용 마스크는 KF 등급 마스크와 달리 필터 원단이 아닌 부직포로 제작되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서 실시한 분진포집효율 시험에 따르면 평균입자크기가 0.6㎛인 분진에 대해 KF80 마스크는 80%, 일회용 마스크는 66~70%의 차단율을 보였다. 코로나바이러스의 크기가 120㎚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이와 같은 시험을 통해 감염 예방 효과를 확인했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던 보건용 마스크 착용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회용 마스크를 적절히, 또 안전히 사용하면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회용 마스크는 KF 등급 마스크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5단 중앙접이식 구조로 제작되어 착용하기 편안하며, 코 지지대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3. 면 마스크
면 마스크는 그간 KF 등급 마스크와 일회용 마스크보다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는 이유로 착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김성한·중앙대병원 감염내과 김민철·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성민기 교수팀이 미국내과학회지에 게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의 경우 면 마스크를 착용한 후 기침을 하였을 때 비말(침방울)이 빠져나가 바이러스를 전파할 우려가 있지만, 확진자가 아닌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막는 데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면 마스크에 정전기 필터를 부착하면 KF80 마스크와 비슷한 수준으로 비말 입자를 차단할 수 있다.
④마스크 올바르게 버리는 방법
1. 귀걸이 끈 자르기
마스크 귀걸이 부분을 가위로 잘라주세요. 끈을 잘라야 동물들의 발에 걸리지 않아요.
2. 돌돌 말기
귀걸이 부분을 자르고 마스크 면을 돌돌 말아 주세요. 그리고 잘린 끈들로 묶어서 고정시켜주세요.
3. 일반쓰레기에 버리기
마스크는 일반쓰레기로 버려야해요. 버린 후에는 반드시 일반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꼭 잘 잠궈 마스크가 날아가지 않도록 해주세요.
4. 버리고 손 씻기
일반 쓰레기로 잘 버린 후에는 손을 잘 씻어주어야 합니다.
✔️폐마스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마스크로 인해 위협받는 생명
✔️마스크 종류별 사용법
✔️마스크 올바르게 버리는 방법
멘트:
✔️매일 쓰는 마스크 어디까지 알고있니?
✔️마스크 1개가 썩는 시간 450년!
목표:
마스크 1개가 썩는 시간이 450년이라는 멘트를 사용해 코로나로 인해 증가된 마스크 사용량과 마스크를 제대로 버리지 않는 것에 대한 경각심 전달하기
S
W
제작하는 것을 좋아한다.
영상제작 카드뉴스 제작이 가능하다.
찾아보는 것을 좋아한다.
시간의 제한이 없다.
계획을 제대로 안세우면 시작하지 않는다.
몰아서 한번에 한다.
게으르다.
O
T
챌린지를 쉽게 할 수 있다.
주제가 쉽다.
홍보할 수 있는 곳이 많다. 인스타, 페이스북 등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다.
홍보하기에는 시간이 별로 없다.
나의 SWOT 전략
SO
ST
카드 뉴스 영상을 만들어 인스타그램에 홍보할 수 있다.
홍보하기에는 시간이 별로 없지만 홍보할 때 시간의 제한이 없어 시간날 때 항상 할 수 있다.
WO
WT
몰아서 한번에 하지만 주제자체가 쉬워 쉽게 할 수 있다.
시간이 없고 일을 몰아서 한번에 하지만 챌린지는 다른 사람들이 참여해주는 활동이여서 괜찮다.
SMART 목표 세우기
실행 계획 세우기
인스타그램 첫 소개 게시글
-코로나19 마스크 포스터 게시-
마스크 종류별 사용법
✔️KF등급 마스크
✔️일회용 마스크
✔️면 마스크
🤍좋아요 수 10개🤍
① KF 등급 마스크
KF 표시가 있는 마스크는 입자 차단율이 높아 황사,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을 막는 데 효과적입니다.
KF94와 KF99 마스크는 황사, 미세먼지와 같은 입자성 유해물질뿐만 아니라 평균 입자크기 특히 KF94와 KF99 마스크는 황사, 미세먼지와 같은 입자성 유해물질뿐만 아니라 평균 입자크기 0.4㎛의 감염원을 94~99% 이상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입자차단 기능이 있는 KF80, KF94, KF99 마스크는 의약외품 ‘보건용 마스크’로 허가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KF 등급 마스크는 평균 0.4~0.6㎛ 크기의 미세입자를 차단해야 하는 경우, 또는 병원과 같이 감염원을 철저히 차단해야 하는 경우 필요한 마스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② 일회용 마스크
덴탈 마스크로 불리기도 하는 일회용 마스크는 KF 등급 마스크와 달리 필터 원단이 아닌 부직포로 제작되었습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서 실시한 분진포집효율 시험에 따르면 평균입자크기가 0.6㎛인 분진에 대해 KF80 마스크는 80%, 일회용 마스크는 66~70%의 차단율을 보였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크기가 120㎚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이와 같은 시험을 통해 감염 예방 효과를 확인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하였던 보건용 마스크 착용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회용 마스크를 적절히, 또 안전히 사용하면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일회용 마스크는 KF 등급 마스크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5단 중앙접이식 구조로 제작되어 착용하기 편안하며, 코 지지대를 눌러 고정할 수 있습니다.
③ 면 마스크
면 마스크는 그간 KF 등급 마스크와 일회용 마스크보다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는 이유로 착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김성한·중앙대병원 감염내과 김민철·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성민기 교수팀이 미국내과학회지에 게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의 경우 면 마스크를 착용한 후 기침을 하였을 때 비말(침방울)이 빠져나가 바이러스를 전파할 우려가 있지만, 확진자가 아닌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막는 데 효과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면 마스크에 정전기 필터를 부착하면 KF80 마스크와 비슷한 수준으로 비말 입자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좋아요 수 7개 / 조회수 49회🤍
🤍좋아요 수 7개 / 조회수 24회🤍
1. 마스크를 만지기 전에 손을 깨끗하게 씻어주세요.
2.마스크의 날개를 펼치고 날개 끝을 잡아 오므려 주세요.
3.고정심 부분을 위로하여 잡고 턱 쪽에서 시작하여 코 쪽으로 코와 입을 완전히 가리도록 착용하세요.
4.마스크 끈을 귀에 걸어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끈을 머리 뒤쪽으로 당긴 후 마스크 연결고리에 양쪽 끝을 걸어주세요.
5.고정심을 코에 밀착되도록 눌러주세요.
6.양 손으로 마스크 전체를 감싸고 공기 누설을 체크하여 안면에 밀착되도록 조정하세요.
1.귀걸이 끈 자르기
마스크 귀걸이 부분을 가위로 잘라주세요. 끈을 잘라야 동물들의 발에 걸리지 않아요.
2.돌돌 말기
귀걸이 부분을 자르고 마스크 면을 돌돌 말아 주세요. 그리고 잘린 끈들로 묶어서 고정시켜주세요.
3.일반쓰레기에 버리기
마스크는 일반쓰레기로 버려야해요. 버린 후에는 반드시 일반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꼭 잠궈 마스크가 날아가지 않도록 해주세요.
4.버리고 손 씻기
일반 쓰레기로 잘 버린 후에는 손을 잘 씻어주어야 합니다.
마스크로 위협받는 생명
폐마스크로 인해 동물들이 수난을 겪고 있다. 갈매기 몸통에 마스크 줄이 엉켜 고통받는 모습이 제주에서 포착됐다. 동물들에게 목숨을 위협하는 흉기가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제대로 폐기하지 않고 방치한 일회용 마스크는 바다로 흘러들어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해 해양동물과 생태계를 위협하고 그 피해는 결국 인간에게 돌아간다.
🤍좋아요 수 9개🤍
마스크 정보 알리미
✔️마스크 썩는데 걸리는 시간 450년!
✔️연간 73억개 이상의 폐마스크가 배출!
🤍좋아요 수 9개🤍
① 마스크 썩는데 걸리는 시간 450년
-마스크 필터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소각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며 썩는데 걸리는 기간은 450년이다.
-마스크 코편은 철사로 소각이 불가능하며 썩는데 걸리는 시간은 100년이다.
-마스크 끈은 폴리우레탄으로 소각시 질소화합물을 배출하며 썩는데 300년이 걸린다.
② 연간 73억개 이상의 폐마스크가 배출
-코로나 19 시대 필수품인 마스크는 방역 1등 공신이다.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돼 매일 쓰고 버려지는 일회용 마스크가 엄청나다.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하루 평균 2천만개, 연간 73억개 이상의 폐마스크가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폐마스크의 70%는 소각되고, 나머지 30%는 매립된다. 두 방법 모두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
💚마스크 버리기 챌린지💚
💚마스크 버리기 참여 인증💚
@chaehyun_hyun2
@sor_hwistle
@s_.yeon621
@binsu_uuu
@health_meat_project
@s_.yummy
@prin52529
@cyj_0311
@its_seo0ee
@jeongeunim01
@_min_ggi_
동물들 발에 묶여있던 사진을 보고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우리 사회와 환경은 많은 피해를 받고 있다. 한 사람이 하루에 마스크를 1개씩 사용한다고 해도 수백 명, 수천 명이 쓴다고 하면 그만큼 폐기해야 하는 마스크 양은 셀 수 없이 많아지게 된다. 그래서 시작한 이 프로젝트의 가장 큰 활동이 바로 마스크 버리기 챌린지이다. 동물들이 피해 받는 이유가 바로 마스크를 정확한 방법으로 버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스크를 버릴 때는 코 부분의 철사는 빼고 귀걸이 부분은 잘라서 버려야 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 사실을 모르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환경과 동물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고 이전에는 생각해 보지도 않았던 마스크로 인해 피해 받는 환경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
한 사람이라도 마스크 버리기 챌린지에 동참했다면 이는 더 많은 사람들의 동참으로 이어지고 이는 이 프로젝트의 성공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이번 프로젝트에 만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