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선정하기
아이디어 분류
큰 주제 → 세부 주제
동물권 보호를 거시적인 주제로 잡았습니다. 이는 공장식 사육과 동물 학대 등과 같은 동물에 대한 비인간적 처우와 인식을 개선하여 인간과 동물이 함께하는 사회를 지향하기 위해서입니다.
이후 동물권 보호에 대한 세부 주제를 [반려동물 문제, 인간 만족을 위한 소비, 야생 동물 문제, 가축 관련 문제, 동물원 및 수족관 문제, 동물 실험 등]으로 나누었습니다.
주제와 관련해 자유로운 의견들이 나왔으며, 특히 각 주제 별로 동물권이 보호되지 않는 이유를 많이 작성했습니다.
문제 자세히 살펴보기
대략적인 주제를 채택한 후 각 항목에서 동물권이 보호되지 않는 현 실태를 자세히 조사했습니다.
동물권이 보호되지 않는 경우는 위 사진들과 같이 다양한 사례가 존재합니다. 이 중 SDGs 교육에서 지향하는 [시민 환경 교육, 지속 가능한 소비, 온실가스 감소]와 결부가 가능한 동물권 보호방법을 생각했습니다.
최종 주제 선택
1)동물 학대 제품 소비 지양
2)반려 동물 책임 의식으로 주제를 좁혔습니다.
최종적으로 인간 만족을 위한 동물 학대 제품 소비 지양의 목적 달성을 위해
'비건'을 떠올렸습니다.
10년 뒤의 미래
10년 뒤 저희 조의 목표를 달성했을 때와 달성하지 못했을 때의 예상되는 두 가지 결과를 그림으로 나타냈습니다.
1) 목표 달성 시, 인간과 동물이 공존하는 행복한 사회를 꾸려갈 수 있습니다.
2) 달성하지 못했을 시에는 동물 학대나 공장식 사육 등의 문제가 유지 혹은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문제 구체화 하기
조사 계획 세우기
사진 1. 햄스터 동물학대 기사
사진 2. 대체육 현황
사진 3. 대선주자의 동물 복지정책 언급
먼저, 선정한 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실은 기사를 찾아 조원들과 공유했습니다.
그리고 조사를 바탕으로 새롭게 알게 된 사실과 근거를 찾고, 그 과정에서 생긴 궁금한 점으로 질문 목록을 만들어 설문과 자료 조사 계획을 세웠습니다.
자료 조사
계획에 따라 비건에 대한 비건 식품, 비건 가죽, 비건 화장품 등 자료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설문 조사
정리한 질문을 바탕으로 2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설문 조사 결과 비건에 대해 '아무 생각이 없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약 40%에 달했고, 고기 안 먹는 월요일에 대해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80%가 넘었으며, 비건 제품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비건 제품이 무엇인지 잘 몰라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45.5%로 가장 높았습니다.
5Why?
5Why 활동을 통해 비건 실행의 어려움의 원인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주된 원인으로 '인식의 고착화', '대중화가 되지 않아서', '낮은 접근성' 등으로 정리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비건에 대한 관심과 정보 부족이
비건 실천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희 '지켜봐요 동물의 숲' 팀은 비건 홍보를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로 설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