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마인드셋 연구소는 가상 팀 환경에서 리더와 팀원이 당면한 과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탐구합니다.
Our lab aims to explore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virtual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Please see our example work:
이 논문은 가상 팀 리더가 팀 창의성을 위한 맥락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당면하는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탐구하고, 팀원 간의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장려하기 위하여 '팀 규범'과 가이드라인을 구축하는 것이 팀 창의성을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This paper explores how virtual team leaders cope with the process challenges in developing a context for team creativity and shows that building ‘team norms’ and guidelines to encourag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eam members can facilitate team creativity.
Han, S. J., Chae, C, Macko, P., Park, W., & Beyerlein, M. (2017). How virtual team leaders cope with creativity challenges. 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41(3), 261-276. https://doi.org/10.1108/EJTD-10-2016-0073
이 연구는 가상 환경에서 일하는 국가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 다양한 팀의 프로세스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합니다. MNVT의 중요한 요인에 집중하였고, 결과로 나타난 프레임워크는 팀 리더가 집중해야 할 4가지 사회정서적 과제와 4가지 과업관련 과제를 보여주었습니다. 사회정서적 요인과 과업관련 요인 중 동적 상호의존성이 MNVT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This study identifies factors that affect the processes and performance of nationally and culturally diverse teams working in a virtual environment. We concentrated on the critical factors regarding processes and outcomes in MNVTs. The resulting framework included four socioemotional and four task-related challenges for team leaders to focus on. We found that dynamic interdependency among socioemotional and task process factors affects MNVT performance.
Han, S. J., & Beyerlein, M. (2016). Framing the effects of multinational cultural diversity on virtual team processes. Small Group Research, 47(4), 351-383. https://doi.org/10.1177/1046496416653480
이 장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팀을 관리하는 리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글로벌 가상팀 프로세스를 저해하는 요인을 제시하고, 글로벌 가상팀 리더가 팀을 개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확인했습니다.
This chapter provides the guideline for leaders who manage globally dispersed teams. We presented the process factors that inhibit global virtual team processes and identified the strategies that global virtual team leaders can use to develop their teams.
Han, S. J., Jeong S., & Beyerlein, M. (2017). Talent development of global virtual team leadership: Challenges and strategies. In Dirani, K. M., Nafukho, F. & Irby, B. (Eds.), Global issues and talent development (pp. 93-126).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cations.
다양한 조직의 44개 가상 팀을 연구하여 리더십 역할 효과성, 팀 훈련 및 팀 국가 다양성이 가상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했습니다. 리더십 역할 효과성이 훈련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러나 팀 구성원의 국가 다양성은 리더십 역할에서 팀 성과로 조절 효과가 없었습니다.
Using 44 virtual teams in diverse organizations, we explored the effects of leadership role effectiveness, team training, and team national diversity on virtual team performance. We found that leadership role effectiv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team performance. However, the national diversity of team members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from leadership role to team performance.
Han, S. J., Kim, M., Beyerlein, M., & DeRosa, D. (2016). Virtual team leadership and training. Proceedings of the 2016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Research Conference in the Americas. Jacksonville, FL,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