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Skip to main content
Skip to navigation
최성수 Seongsoo CHOI
Home
research
dem_2020
Research_English
asr_2020
kjs_2019
kp_2019
es2020
kjs_2020
kjs_2018
sp_2020
kspr_2020
teaching
data
ieo_trend
cv
최성수 Seongsoo CHOI
Home
research
dem_2020
Research_English
asr_2020
kjs_2019
kp_2019
es2020
kjs_2020
kjs_2018
sp_2020
kspr_2020
teaching
data
ieo_trend
cv
More
Home
research
dem_2020
Research_English
asr_2020
kjs_2019
kp_2019
es2020
kjs_2020
kjs_2018
sp_2020
kspr_2020
teaching
data
ieo_trend
cv
한국의 교육기회불평등 코호트 추세 (한국사회학 52집 4호, 2018년 11월)
최성수, 이수빈 (2018) "
한국에서 교육 기회는 점점 더 불평등해져 왔는가? 부모 학력에 따른 자녀 최종학력 격차의 출생 코호트 추세
," [한국사회학]
부모 학력에 따른 자녀 학력 격차의 코호트 표본 추정치 데이터 (STATA dta 포맷)
부모 4년제 대졸 여부에 따른 자녀 최종 교육년수 격차
부모 4년제 대졸 여부에 따른 자녀 고교 졸업 격차
부모 4년제 대졸 여부에 따른 자녀 전문대+4년대졸 격차
부모 4년제 대졸 여부에 따른 자녀 4년대졸 격차
부모 4년제 대졸 여부에 따른 자녀 상위권 4년대졸 격차
(전문대 이상 졸업자만 대상)
부모 학력 (5개범주)에 따른 자녀 전문대+4년제대졸 격차
부모 학력 (5개범주)에 따른 자녀 4년대졸 격차
부모 학력 (5개범주)에 따른 자녀 상위권 4년대졸 격차
(전문대 이상 졸업자만 대상)
부모 상위 20백분위와 하위 20백분위 간 자녀 최종 교육년수 격차
부모 상위 20백분위와 하위 20백분위 간 자녀 고교 졸업 격차
부모 상위 20백분위와 하위 20백분위 간 자녀 전문대+4년대졸 격차
부모 상위 20백분위와 하위 20백분위 간 자녀 4년대졸 격차
부모 상위 20백분위와 하위 20백분위 간 자녀 상위권 4년대졸 격차
(전문대 이상 졸업자만 대상)
표본 조사 자료별 사후 층화 가중치 구성 방법
첨부 파일 참조 (pdf)
노령 코호트 및 한국노동패널 (KLIPS) 자료의 포함 여부에 따른 결과의 민감성 검정 결과
첫번째 줄은 자녀 전문대+4년제대 졸에서의 격차, 두번째 줄은 자녀 4년제 대졸에서의 격차
첫번째, 두번째 줄 공히 (a)는 노령 코호트 (1940년 이전 출생자) 제외, (b)는 KLIPS만 제외, (c)는 노령 코호트와 KLIPS 모두 제외 했을 경우의 추세임
(d)는 부모 학력 수준에 따른 상위권 4년대 졸 여부 격차, (e)는 부모 학력 상위 20백분위와 하위 20백분위 간 상위권 4년대 졸 여부 격차를 노령 코호트를 제외하고 1950년대 이후 출생자만 분석했을 경우 추세를 각각 보여줌 (모두 전문대 이상 졸업자만 대상)
맨 앞으로 Home
연구 Research
강의 Teaching
자료 Data
CV
Google Sites
Report abuse
Google Sites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