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각계
다음으로 연각緣覺을 밝히는데 독각獨覺이라고도 한다.
이 세상에 나오신 부처님을 뵙고 십이인연교十二因緣敎를 받는다.
이른바 첫째 무명無明 (번뇌장煩惱障·번뇌도煩惱道)이고,
둘째는 행行(업장業障·업도業道인데 이 둘은 과거過去에 속함)이며,
셋째는 식識 (모태胎에 의탁하는 수명一分氣息)이고,
넷째는 명색名色 (명名은 마음心이고 색色은 몸質이다)이며,
다섯째는 육입六入 (육근六根은 이 태胎 속에서 이루어짐)이고,
여섯째는 촉觸 (태胎에서 나옴)이며,
일곱째는 수受 (앞의 대상前境에 대하여 좋거나 나쁘다는 느낌을 일으키는 것이다. 식識에서 수受에 이르기 까지를 현재의 다섯 가지 결과五果라고 함)이고,
여덟째는 애愛 (남녀男女의 색色과 금은金銀, 돈錢, 물건物 등을 좋아하는 것)이며,
아홉째는 취取 (무릇 모든 대상一切境을 보고 집착하는 마음取著心을 내는 것이다. 이 두 가지는 미래의 원인未來因이고 모두 번뇌煩惱에 속하며 과거의 무명過去無明과 같다)이고,
열째 유有 (업業이 이미 이루어졌으므로 미래의 원인未來因이고 업도業道에 속하며 과거의 행過去行과 같다)이며,
열하나째 생生 (미래未來에 생生을 받는 것이다)이며,
열두째 노사老死이다.
이것은 곧 없애야 할 대상所滅之境이다.
앞의 사제四諦와는 열고 닫는 차이開合之異가 있을 뿐이다.
어떻게 열고 닫는가開合? 무명無明·행行·애愛·취取·유有의 다섯 가지五支가 합하여 집제集諦가 되고 나머지 일곱 가지七支는 고제苦諦가 된다.
이름名은 다르더라도 뜻義은 같은데 어째서 거듭 말하는가?
그것은 근기機가 같지 않기 때문이다.
연각의 사람緣覺之人은 먼저 집제集諦를 관찰한다.
이른바 무명無明은 행行을 인연緣하고 행은 식識을 인연緣하며 나아가 생生은 노사老死를 인연緣하는데 이것이 곧 일어나는 것生起이다.
또 멸제滅를 관찰하면 무명無明이 없어지면 행行이 없어지고 나아가 생生이 없어지면 노사老死가 없어진다.
십이인연十二因緣을 관찰함으로써 진제의 이치眞諦理를 깨달으므로 연각緣覺이라고 한다.
연각緣覺이란 부처님이 안 계신 세상에 나와서 홀로 외로운 봉우리孤峰에 머물면서 만물物이 변화하는 것變易을 관찰하여 스스로 생사가 없는 것無生을 깨달으므로 독각獨覺이라고 한다.
두 이름이 같지 않아도 수행계위行位는 다르지 않다.
이 수행인은 삼계三界의 견혹見惑·사혹思惑을 끊는 것이 성문聲聞과 같지만,
다시 습기習氣를 없애므로 성문聲聞보다 위上에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