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귀계
三餓鬼道, 梵語闍黎哆, 此道亦遍諸趣, 有福德者, 作山林塚廟神; 無福德者, 居不淨處, 不得飮食, 常受鞭打, 塡河塞海, 受苦無量.
셋째는 아귀의 세계인데 범어로는 사려치이다. 이 세계도 여러 곳에 두루 있는데 복덕이 있는 것은 산림이나 무덤가에 신이 되고 복덕이 없는 것은 정결치 못한 곳에서 있게 되거나 음식을 얻어먹지 못하고 항상 두들겨 맞으며 강을 메우고 바다를 막게 되는 등 괴로움을 한량없이 받는다.
諂誑心意, 作下品五逆十惡, 感此道身.
아첨하며 속이는 마음으로 낮은 정도의 오역죄와 십악죄를 지으면 이 세계의 몸을 받게 된다.
아귀의 세계 [餓鬼道] : 육도 가운데 삼악도의 하나로서 전생에 악한 일을 많이 하였거나 탐욕스런 성질을 가진 자가 아귀로 태어나서 항상 허기지고 갈증나는 괴로움을 받는다고 한다. 아귀는 세 가지가 있다고 한다. 첫째 전혀 아무 것도 먹을 수 없는 무재(無財)아귀, 둘째 고름 피같은 것을 먹을 수 있는 소재(少財)아귀, 셋째 사람이 남긴 것 같은 것을 먹을 수 있는 다재(多財)아귀 등이다. 위덕이 없는 아귀는 기갈의 괴로움을 받는다고 하지만 위덕이 있는 아귀는 하늘과 같은 복덕을 누리는 자도 있다고 한다. 이것을 가리켜 전자는 아귀라 하고, 후자는 폐귀(弊鬼)라 한다.
복덕이 있는 것 [有福德者] : 아귀의 세 종류 가운데 다재(多財)아귀를 가리킨다. 염마왕계에 거처하는 아귀를 비롯하여 과일이 있는 숲속에 살거나 산 속의 무덤가에 거주하는 아귀들로서 음식을 얻어먹는 데에는 지장이 없는 것들이다.
복덕이 없는 것 [無福德者] : 아귀 가운데 소재(少財)아귀와 무재(無財)아귀를 가리킨다. 소재(少財)아귀는 인분이 있는 깨끗하지 못한 곳에서 살면서 이것을 먹는 귀신이며, 무재(無財)아귀는 전혀 먹고 마실 수 없는 최하의 아귀이다. 여기에는 1. 거구(炬口)라고하여 배에 열이 있어서 항상 입으로 불을 내뿜는 아귀, 2. 취구(臭口)라고하여 입안이 부패하여 냄새가 심하여 먹고자 하면 곧 구역질이 나서 먹을 수 없는 아귀, 침인(針咽)이라고 하여 목구멍이 바늘처럼 작고 배는 산처럼 크며 식욕은 왕성하지만 음식이 목구멍에 들어갈 수 없는 아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