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M/AAM 고신뢰성 통신 시스템 개발 -경기도R&D사업 연구
As Is: 통신 기능의 완성
To Be: 안전 보안 위협요소 식별 및 대응 통신 기술 개발
전략: 디지털 트윈기반 안전 보안 위협요소 식별 및 대응 결함감내기능 개발
고신뢰성 통신 시스템 개발
To Do: baseline, redundant 통신 채널 구축 및 동일 모델 개발
결과물 : 이중화 통신 시스템 + 결함(주입된) & Model/SW/HW in the Loop Simulation 검증
항공전자시스템 고장 진단 및 예지 기술 개발-연구재단
As is: 항전장비 정비=고장발생 후 진단 -> 정비비용 가동률x
To be: 항전장비 고장 예지기능 추가 ->정비비용 가동률 개선
전략: 항전장비 Condition Based Maintenance + 기술 개발 (PHM)
To Do: Built-in-test (BIT) 분석, 고장예지기술 PHM(w/ Simulink), 타겟 수명시험 및 자료분석
결과물: 항전시스템 잔여수명추정
디지털 트윈 기반 항공시스템 안전설계 기술-국가보안연구소
As is: 항전장비 개발기간 3-4년 소요(ARP4754 -> 4761 -> DO178C -> DO254)
To be: 모델기반 안전분석 + 모텔기반 개발 -> 2년 이하로 단축
전략: 모델기반 FMECA, FTA + Simulink MBD = 모델기반 안전시스템 설계기술개발 -> 전장장비 개발에 적용
To Do: 안전인증 (보안인증) - 타겟HWSW 에 적용
결과물: 안전 and/or 보안 검증된 항공/우주/차량 전장장비 개발
안전 및 보안 위협요소 식별 및 대응 기술
디지털 트윈기반 안전 보안 위협요소 개발
Virtual트윈: 후보 위협요소 개발 -> Physical 트윈: 위협요소 검증
Simulation 결함주입으로 원인 분석 -> EMI Laser Radiation 결함주입으로 고장 입증
상용제품의 HW, SW의 안전 보안 취약점을 식별해서 사업자에게 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