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기능안전 (functional safety) 기술은 새로운 먹거리 융합IT 및 국방 필수요소기술
선진국 이전 기피기술로 선정하여 관련부품 전량 수입의존 --> 국산 항공기 고속철 자동차 선박 사업성 악화
자주독립 및 융합산업분야로 확장을 위해 국내 자체개발이 시급
역사적 배경:
교훈: 스위스 모델; 자주국방 유일한 정답!
산업 현황:
정부+재벌 fast follower전략으로 반도체 자동차 등 전통산업은 발전
그러나 중국 맹추격으로 국내 산업 위기 상황 (차이나 리스크 부상)
결론
Fast Follower 산업은 한계에 도달
재벌 주도 산업은 특정 제품의 매출 부진 (예 반도체 산업 수익성 악화) 국가 경제 적신호
Leader 역할의 신 산업/신제품 창출 시급 --> 융합IT 가 유력 후보 산업
차세대 Leader 융합IT 산업
융합IT 제품 이란?
기계/전자/의료/항공/조선+ IT(AI) 기술 --> 신 산업
사례: 자율 주행 전기 차, 드론 배송 서비스
융합IT 발전을 위해 국가 정책 수립
융합IT 개발의 문제점: 기능 안전(functional safety) 기술 부재
융합IT 제품 특징: 사고 발생 시 인명 재산 피해 발생
물리적 (속도, 전력, 용량) 문제가 아닌 기능 문제
원인:
소프트웨어 비중 증가
Soft error 결함으로 고장이 발생
자동차: 도요타 급발진 사고 개요-위키 , 급발진 분석자료, 추가자료2
이런 문제를 방지하려면 신뢰성을 측정하여 통제하는 방법이 있음
그런데 융합IT 제품의 신뢰성 기술이 시작단계이므로 국제적으로도 신뢰성 측정기술부재
신뢰성 평가 지표는 아직 연구 중!
대안으로 설계보증역할의 기능안전기술의 인증을 국제적으로 채택
기능안전기술 현황
국내 기능안전기술: 시작 단계 & 90% 이상 해외 도입
원인) 관+재벌 경제 체제 >> 실적/매출 위주 산업 구조 및 R&D >> 기반/과학기술 개발 외면
해외 기능 안전 원천 기술 수출 제한 품목으로 도입 불가능:
원인) 이전 반도체/가전/자동차 기술이전으로 자국 산업 쇄퇴한 경험 학습
결론
기능 안전 기술은 융합IT 제품 핵심 기술로서 현재 전량 수입; 융합IT 제품 수익성 감소
자체 개발 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