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25 과학실
인천승학초등학교: 고민준, 유현진, 조승욱, 홍류안
인천승학초등학교: 고민준, 유현진, 조승욱, 홍류안
공간 소개: 25팀은 로블록스를 이용해여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과학실을 리디자인하였습니다. 다양한 ICT 기술을 활용하여 최대한 기존의 과학실의 단점을 보완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여러 차례의 토론 끝에 학생들이 최대한 자유롭게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것 같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결과적으로 ICT 기술들을 기반으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실험과 탐구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해부를 위한 수술실과 실험 보관함으로 방을 꾸밈
VR 헤드셋을 이용한 기술을 통해 해부 실습 실험 진행
3D 모델로복잡한 형태의 내부 기관을 시각화
나무, 꽃, 나비 등을 이용하여 공간을 꾸밈
포털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환경 조성
MR을 이용하여 실제로 가볼 수 없는 장소들의 생태계 구경
친구들과 토의를 하며 협업을 할 수 있는 공간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구현하여 질문이 있으면 에이전트와 소통하며 능동적으로 교육을 진행함
[ 멘토의 Rationale ]
해부실과 실험실에서 학생들이 인공지능 에이전트와 소통하며 직접 설계한 실험을 탐구하며, 다양한 ICT 기술들을 활용하여 직접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메타버스의 6가지 가치 중에서 작가의식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로블록스의 포탈이라는 기능을 활용하여 외부 환경과 소통하며 학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5팀이 구현한 과학실은 실시간으로 외부와 교류하며 경험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메타버스의 6가지 가치 중에서 상호연계성을 실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