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소개: 저희 화살표 팀은 "선생님 공간"을 구글 슬라이드와 룸 플래너를 이용해 디자인 해 보았습니다. 모든 멘티들이 각자 "선생님 공간"을 떠올렸을 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주제와 공간을 정해서 공간을 새롭게 디자인하였습니다. 체온을 재는 공간,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공간, 상담하는 공간, 숙제 및 알림장 검사하는 공간, 학습지를 준비하며 오프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공간으로 주제를 구체화하여 디자인하였습니다. 공간을 디자인하기 전에, 더욱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이끌어낼 수 있는 마인드맵을 해보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멘티친구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마음껏 펼치며 디자인한 공간들입니다.
발표 ppt: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vFXZx8ndV6Xu-kh-ZHKFmYhnvCx9tsQLm1fqITdWDyA/edit#slide=id.p
체온을 재는 공간:
벽지를 은하 모양으로 하고, 바닥은 달표면으로 디자인. 실제로 우주에 있는 모습을 느껴서 우주에 관한 공부가 더욱 이해가 잘 가도록 이런 모양으로 바닥과 벽지를 도배했습니다.
체온을 재는 방법: 발자국 모양에 발을 대면 AI가 체온을 측정해 바닥에 표시해준다.
오프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공간:
학생들이 앉을 책상, 의자 배치했습니다. 자료를 조사할 수 있는 컴퓨터와 책을 책상위에 배치, 학습지를 인쇄할 수 있는 인쇄기(프린터)도 배치하였습니다.
편하게 상담할 수 있는 공간:
상호연계성 가치를 반영해, 여러 명이 함께 상담해도 편하게 이야기를 다 들을 수 있도록 의자를 둥글게 놓았습니다. 익명 상담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화기를 설치하고, 검은색 작은 우체통도 마련했습니다.
바닥이 더러워지는 걸 막기 위해 슬리퍼를 두었으며 부피가 큰 외투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옷걸이도 준비했습니다. 또한, 상담을 하다 보면 목이 아플 수 있을 것 같아 물과 음료수 기계도 준비했습니다.
숙제 및 알림장 검사하는 공간:
학생들의 각자 자리에는 주인의식을 바탕으로 책, 책상들을 배치했습니다.
상호연계성 가치를 바탕으로 하여 선생님이 숙제를 검사하는 동안 학생들이 지루해하지 않게 벽지를 노란색과 파란색으로 섞어놔서 밝은 색으로 벽 무늬를 만들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줌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공간:
줌수업은 상호연계성가치를 반영해 듣는 사람을 고려해서 학교에서 처럼 즐겁게 수업할 수 있도록 컴퓨터와 관련된 용품들과 거치대를 만들었고 줌에서도 최대한 직접 만나는 것처럼 실감나게 수업할 수 있도록 나머지 용품들 물건들은 공동체성을 이용해 교실과 비슷하게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