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소개: 저희 ONE팀은 마인크래프트를 이용하여 교무실을 리디자인하였습니다. 대부분의 교무실은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공간안에서 자신만의 자리를 제공받은 다수의 선생님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업무를 합니다. 하지만, 저희는 교무실을 더 세분화하고, 넓혀서 선생님들이 더 나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리디자인한 공간 소개
저희는 교무실을 선생님들의 개인공간, 상담공간, 공동업무공간, 휴식처, 회의실로 나누었습니다.
첫 번째 공간은 회의실입니다.
선생님들은 수업이나 학생들 관련하여 다양한 회의를 합니다. 또한, 한 두명이 아닌 여러명의 선생님이 다같이 회의를 하기 때문에 공간을 더 넓혔습니다. 많은 의자, 큰 책장과 많은 서류들을 정리할 수 있는 서랍장을 설치하여 회의 내용을 한 번에 찾거나 정리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두 번째 공간은 상담 공간입니다.
상담공간은 프라이빗한 느낌을 가져올 수 있도록 다른 공간과는 다르게 작게 제작하였습니다. 개인적인 상담을 하는 경우에 학생들이 편안하게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 할 수 있고, 큰 벽으로 칸막이를 제작하여 옆의 상담내용이 세어나가지 않도록 노력하였습니다.
세 번째 공간은 공동 업무 공간입니다.
이 공간은 모든 선생님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프린트를 하거나 급한 업무를 끝낼 수 있는 공간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이 공간에는 가정통신문과 같은 전교생에게 전달해야하는 자료들을 각 반별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도록 서랍장을 설치하여 학생들이나 선생님들이 쉽게 자료를 찾아갈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네 번째 공간은 휴식 공간입니다.
휴식 공간에는 선생님들이 업무를 하면서 여러 간식을 즐길 수 있도록 간식 창고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선생님들이 개개인으로 챙겨온 간식들을 넣어놓을 수 있는 냉장고를 설치하였습니다. 여러 책상과 의자를 놓아 선생님들이 여럿이 또는 혼자 편히 쉴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마지막 공간은 개인 공간입니다.
이 공간은 선생님들이 각자 자신만의 자리를 제공받아 쉬거나 업무를 하는 등 자신이 필요한 일을 하는 곳입니다. 자세히 보면 의자와 책상 위치가 다 다른 방향을 보고있습니다. 또한, 컴퓨터가 없는 책상도 있습니다. 개인 공간이라고 해서 꼭 업무를 하는 공간이 아니라는 것이 이 공간의 포인트입니다.
저희 팀의 공간 제작자인 권하준 학생이 직접 제작한 미래 학교의 외부모습입니다. 공중에 학교를 띄워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저녁에는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멘토의 Rationale
메타버스의 교육가치 6개 중
공동체성을 기반으로 교무실 안에 있는 회의실
주인의식, 작가의식을 기반으로 교무실의 상담공간, 휴식공간, 개인공간
주인의식, 상호관계를 기반으로 교무실의 공동업무공간을 제작하였습니다.
회의실은 모든 선생님들이 모여서 의견을 공유하고 결정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다른 공간에 비해 매우 넓게 제작하였고, 모두가 동등한 위치에서 의견을 주장할 수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상담공간은 공간을 이용하는 자가 그 공간이 자신만의 공간인 것 처럼 편하게 느껴서 자신의 이야기를 꺼낼 수 있도록
휴식공간은 그 공간안에서 선생님들이 아무 생각 없이 편히 쉬고,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지 않고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개인공간은 선생님들이 각자 자기만의 개인 공간에서 자기 마음대로 자리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공동업무공간은 선생님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선생님들이 그 공간의 주인이 되고, 그 안에서 서로 배려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습니다.
저희 팀 30이 리디자인한 교무실 소개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는 ONE 팀의 김수빈, 김지우, 권하준, 정유나, 최성연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