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19: 과학실
인천용학초등학교 임동혁, 김태원, 김도언, 김재영, 박찬원, 이상민, 안도현
인천용학초등학교 임동혁, 김태원, 김도언, 김재영, 박찬원, 이상민, 안도현
공간 소개: 19팀은 게더타운을 이용하여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과학실을 재구성하였습니다. VR, AR과 같은 다양한 ICT 기술들을 기반으로 기존의 과학실의 지리적, 시간적 단점을 보완하여 학생들의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어 최대한 많은 정보에 노출될 수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여러 차례의 토론 끝에 학생들이 최대한 다양한 경험에 노출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것 같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결과적으로 ICT 기술들을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탐구하며 학교 외부와도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다양한 생각과 가치관에 노출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게더타운 주소]
https://gather.town/app/fxFV8I56n3gFsijC/leesangmin
[발표 ppt]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XBvwb4Pg_eyXl0o5a0I9yoxoZ2CfaX1nkOTSw5nK2dw/edit#slide=id.p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
(동영상, 사진, PDF, Word, ....)
서로 다른 위치, 조건,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공유하며 탐구
과학실을 외부와 연결하여 다양한 환경의 생태계에 대해 경험하고 공부할 수 있음
VR을 활용하여 생생하게 각 계절별 생태계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고 탐구할 수 있음
게더타운의 '포털'이라는 요소를 활용하여 원하는 생태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함
다른 지역의 학생들과 교류할 수 있는 공간
MR을 활용하여 국내외에 있는 다른 학생들과 같은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 수 있음
외부 학생들과 공동으로 탐구활동을 하며 각 지역의 데이터를 공유하며 넓은 범위로 연구를 진행하며 협업할 수 있음
지능형 과학실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설치함
에이전트와 소통하며 모르는 부분을 실시간으로 질문을 할 수 있어, 학생들이 보다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며 참여율을 높일 수 있음
학생들이 직접 탐구 과정을 설계하고 데이터를 해석하는 경험이 가능해짐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STEAM통합 교육’을 한 문장으로 표현
앞으로 교육의 방향성
본 프로그램을 통한 생각 또는 태도의 변화
다양한 코딩활동을 경험함
수업을 하면서 모르는 부분을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게 됨
친구들과 친해지고 소통을 하며 협업하는 방법을 배움
팀 전체가 가장 즐거웠던 수업 활동
코딩을 이용하여 미로게임을 만드는 활동
STEAM을 소개한다면?
친구들과 협업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고 공부를 좀 더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
[ 멘토의 Rationale ]
메타버스는 시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점을 활용하여 외부 학생들과 교류하며 탐구활동을 함께 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19팀은 팀 구성의 기준을 학교 내부로만 한정하지 않고 다른 지역의 학생들과 협업하고자 한다는 면에서 메타버스의 6가지 가치 중에서 협업정신을 실현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19팀은 게더타운의 '포탈'이라는 기능을 활용하여 외부 환경을 탐구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실시간으로 외부와 교류하며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메타버스의 6가지 가치 중에서 상호연계성을 실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