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 (solid)는 저마다의 특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구조라는 것은,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들이 주기적으로 배열되어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즉 고체를 정의하는 가장 좋은 표현은 '3차원적으로 넓은 범위에 걸친 규칙성 (3D long ranged ordering)을 가지는 것' 입니다.
이러한 고체를 기술하기 위한 "방법" 을 먼저 배워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1) 결정 구조
이 원자들의 주기성을 바탕으로 우리는 결정 구조 (crystal structure)를 정의합니다.
*결정구조: Cubic, Hexagonal, Rohmbohedral, Tetragonal, orthorhombic, monoclinic, triclinic
모든 고체들은 7가지의 결정 구조 중 하나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결정 구조는 세부적으로 다시 14가지의 격자 구조로 분류 됩니다. 이를 브라베 격자 (혹은 결정계, Bravais Lattice)라고 합니다.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Bravais_lattice)
즉, 고체 내에는 특정한 결정구조가 계속해서 반복되어 있습니다.
2) Unit cell / primitive cell
이 두가지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Unit cell은 하나의 결정 구조로 정의되는 최소의 단위 입니다.
Primitive cell 은 고체에서 반복되는 최소 반복 구조 (minimum volume cell) 입니다.
이것은 Bravais 결정 구조중 Face centered cubic (FCC) 구조를 보시면 두가지가 명확히 구분됩니다.
원시세포는 하나의 격자점 만을 포함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차이가 나옵니다.
Primitive cell이 unit cell에 비해 좀더 정확한 표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수학적인 기술이 가능합니다.)
쉽게 말하면,
Unit cell로 기술하면 현재 우리가 표현해야하는 원자는 총 14개 입니다.
Primitive cell로 기술하면, 우리가 표현해야하는 원자는 총 8개 이죠.
우리는 Primitive cell을 통해서 고체의 주기성을 표현하기 위해, primitive cell을 기술하기 가장 간편한 좌표계를 설정합니다.
이 좌표계를 primitive translation vector 라고 정의 합니다.
이러한 경우, hexagonal 구조를 표현하기에 매우 편하게 되지요. (120˚ 틀어진 육각형을 표현하기 어려우니..)
위의 FCC 구조에서 보면
NaCl (소금)을 예로 들어볼게요.
NaCl의 unit cell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지만 Primitive cell은 다음과 같이 되지요.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lmQlxbU9CEI)
즉, 이 primitive cell이 하나의 격자를 포함하게 됩니다. 이 격자가 결국 최소한의 반복되는 구조가 되는 것입니다.
YouTube 동영상 참고 (Unit cell)
https://www.youtube.com/watch?v=CsnNbuqxGTk
19세기에 뢴트겐에 의해 X-ray가 발견되고, 라우에 (Laue)가 x-ray를 통해서 고체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19 세기.
X-ray diffraction
Laue – x-ray 로 고체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고온초전도체의 발견, 1년 만에 노벨상 받았어. 1986년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 카를 알렉산더 뮐러, Ba-La-Cu-O, 35 K)
고체의 기본
Long ranged ordering – X-ray와 interaction
(파장이 중요함, 이걸 볼 수 있는 파장, 뢴트겐)
r = r0 +u1a1 + u2a2 + u3a3
결정구조 – Lattice의 이해 (반복되는 구조) + Basis (각 lattice를 구성하는) à X-ray diffraction을 통해 알 수 있다!
Basis의 기술. 0 <- x, y, z <- 1
Primitive cell (반복되는 최소 크기의 cell). Wigner–Seitz cell가장 가까운 놈들의 반/반/반/반.
점으로 (좌표 기술)
이제는 면이지!
왜 역수로 표현하느냐? 무한대 평면을 0로 표현하기 위해.
Diamond 결정 구조? (FCC + (¼, ¼, 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