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맵을 통해 표시한 과거 고구려의 수도들
1.졸본
2.국내성
3.평양
4.장안
고구려 (高句麗)
고구려는 서기전 1세기부터 668년까지 존속한 고대 왕국이다.
압록강 중류 지역에서 초기 성읍국가로 출발하여 주변의 예·맥족은 물론 옥저·동예·부여·조선 등 여러 종족들을 융합하여
보다 확대된 고구려인을 형성하면서 강대한 국가로 발전했다. 중국 한나라의 침입을 받아 한의 군현이 설치되는 등 위축된 시기도 있었으나
이들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국력이 더욱 강해졌고 중국의 통일 왕조인 수와 당의 침략도 물리치며 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존재했다.
그러나 후기에 성립한 귀족연립정권의 내부분열로 국력이 약화되어, 당나라와 연합한 신라의 공격으로 멸망했다.
>한국 측의 주요 주장들
한국 측의 주요 주장은 크게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여러 역사서에 고구려는 중원에서 건너온 민족이 아닌, 요동과 한반도 중북부 일대의 토착족인 예맥족이 세운 나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예맥은 중국 북방에서 활동했던 맥족(貊族)과는 별개의 존재로서, 삼한의 한족(韓族)과 같은 동이족에 속한다.
▪️그리고 민족의 기원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고구려인들이 누구와 역사적 경험을 같이했고, 어느 나라에서 계승의식을 가지고 있었는가 하는 점이다. 같은 종족이라해도 동족 의식을 갖지 않고, 후세 사람들이 선조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그 역사는 계승되지 않는다. 고구려 사람들은 스스로 중국인들과 별개의 존재라 여겼고, 신라인·백제인·동부여인은 자기들과 같은 천하에 사는 속민이라고 생각했다.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은 서로 투쟁하고 교류하면서 역사적 경험을 공유했고 마침내 통합의 길로 나아갔다. 신라의 통일의식, 발해, 후삼국, 고려의 성립은 고구려사가 한국사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
▪️고구려는 현도군 경내에서 건국된 것이 아니라, 현도군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건국하였고, 나라를 세운 이후 한 번도
중국의 영토 안에 속했던 적이 없었다.
>이를 증명하는 역사적 사료들:
『삼국지(三國志)』 : 현도군의 동쪽 경계에 작은 성을 쌓아 그 가운데 조복과 의책을 놓아두면 세시(歲時)에 와서 가져감
→ 현도군과 고구려 사이에 경계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복과 책을 놓아두면 와서 가져갔다는 것은 정치적 지배관계가 아니었으며,
고구려가 중국 영토 밖의 독립국이었음을 보여준다.
•『삼국사기』 : 고구려와 중국과의 전쟁기록들
→ 고구려가 한사군의 영역 밖에 있음을 보여준다.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했음을 국호로 나타냈고, 건국 초부터 고구려의 수도였던 서경(평양)을 중시하면서 북진정책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고려 사람들은 고구려 후손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서희 장군이 거란장수 소손녕을 만나, 거란이 고려의 선조인 고구려 땅을 차지하고 있다고 조목조목 비판함으로써
거란군을 물리쳤던 일화는 고려 사람들의 고구려 계승의식을 잘 보여준다.
고려는 전왕조의 역사로서 고구려·백제·신라의 역사를 정리한 『삼국사기』를 펴냈다.
고려 사람들에게는 고구려사가 고려의 선대 역사라는 것이 기본 상식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역대 중국 역사학자들도 가지고 있어서, 1345년에 편찬된 『송사』에 고구려-고려로 계승관계를 서술하였고,
이후 역사서에서도 이를 따랐다.
그리고 중국 정사에서는 고구려사를 시종 외국열전에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