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회차 : 8th wall A-Frame 예제 응용 실습
8회차 : 8th wall A-Frame 예제 응용 실습
일시 : 2023.8.30.(수) 오후 2시 ~ 5시
장소 : 온라인 줌 (Zoom)
강사 : 정수봉 / 보조강사 : 김지연, 박민정, 윤정원, 이현수
실습 1 : 이미지 타겟 인식
실습 2 : 영상 크로마키 합성
Game module 예제 살펴보기(Shared AR : Hot pot)
팀별 아이디어 공유 발표
1) 실습 1 : 이미지 타겟 인식 (Image target video sound)
AR환경에서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특정 이미지를 마커로 인식시키면 이후 AR로 그 이미지를 인식할 때마다 원하는 영상이나 사진, 소리가 나타나게 만들 수 있는 예제를 테스트해보았다. 이때 마커로 사용한 이미지가 음영이나 빛 반사 등의 영향으로 인해 AR에서 마커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마커로 사용하기 좋은 이미지 조건을 확인하고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etsee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이미지를 마커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 점검해보는 것이 가능했다. (developer.letsee.io)
2) 실습 2 : 영상 크로마키 합성 (Green Screen Video)
영상에서 특정 컬러값을 선택하면 크로마키처럼 없애주는 예제를 사용해 실시간으로 AR로 보이는 환경에 영상을 합성해보는 테스트를 했다. 원하는 비디오를 에셋에 올리고, 코드에서 원하는 컬러값을 선택하는 과정을 거쳤다. 3D 모델링이 아니더라도 2D 이미지나 영상을 사용해 충분히 흥미로운 연출이 가능했는데, 3D 모델링은 파일의 용량이 무거워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면 용량이 조금 더 가벼운 2D를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점을 배웠다.
3) Game module 예제 살펴보기(Gamekit & UIKit Modules Sample)
저번 수업에서 같이 알아보기로 했던 Game module 예제를 살펴보았다. 여러 예제를 본 결과 코드가 꽤 복잡하고 어려워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부를 많이 해야하기 때문에, 모듈을 사용해 만들어진 게임 예제의 틀과 룰을 그대로 사용하되 모델링을 수정하는 정도의 방식으로 활용한다면 조금 더 수월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게임 예제인 ‘Shared AR : Hot pot’을 함께 플레이해보았는데, 온라인의 사람들끼리 증강현실로 멀티게임을 할 수 있는 모듈을 사용해 만들어진 게임이었다. 이번 워크숍에서 활용하기에는 난이도가 높고 복잡한 코드로 구성되어 있어 당장의 활용은 어렵겠지만, 이러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증강현실 기술이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팀별 아이디어 공유 발표
팀별로 작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만한 레퍼런스나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팀별로 아이디어 및 진행상황을 공유하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짭심이 : 이야기가 쌓이면서 형성되는 도시의 개념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석관동’을 소재로 각자 재밌게 본 이야기를 선택해 진행할 예정이다. 참여자가 텍스트를 읽어볼 수 있게 AR화면에 텍스트들이 뜨거나, 글을 낭송하는 음원을 넣거나 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지 알고 싶다.
Untitled : 도시의 이면, 슬픔, 찌꺼기같은 감정을 AR을 활용해 해소하고자 한다. ‘클럽’을 소재로 AR을 통해 클럽에서 생기는 일들을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 예정이다. 8th wall에서 자이로센서 값을 쓰는 방법이 궁금하다. 8th wall에서 개개인의 GPS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을지 궁금하다.
브레이킹 : 몸을 공간으로 인식하고 장소화하는 ‘문신’을 소재로 선택했다. 몸과 도시의 개념을 어떻게 연결짓고 맥락을 잡을지 고민 중이다. 아이디어를 세부적으로 정해보고 적합한 기술을 찾을 예정이다. 트와인 같은 무료 툴 활용시 사용 범주가 어느정도일지 궁금하다.
RGB : 주제는 ‘함께 만드는 빛의 숲’ 이다. 장소는 ACC의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빛, 숲, 물 3가지 자연요소를 활용하는 배경과 캐릭터를 수집하는 내용이다. 장소에 따라 수집 가능한 캐릭터가 바뀐다. 캐릭터 모션을 모션캡쳐 장비로 만들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