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 아트콜라이더랩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전문인 콘텐츠 발굴 사업에 협력하여 <웹 AR(증강현실) 콘텐츠 연계 과정> 프로그램을 공동 기획/운영하였습니다. 이번 과정은 '얼굴들의 도시, 도시의 얼굴들'이라는 주제로 문화예술 콘텐츠 기획자와 창작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PART 1. 강연' , 'PART 2. 워크숍', 'PART 3. 발표' 라는 총 세 파트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해당 웹페이지는 이번 <웹 AR(증강현실) 콘텐츠 연계 과정> 교육 전반의 과정과 참여자 결과 콘텐츠 소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독일어와 일본어로 글을 쓰는 소설가 다와다 요코(多和田葉子, 1960~)는 전통적으로 ‘얼굴’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인간의 것으로만 다루어진 점에 대해서 비판하며, 발터 벤야민의 사상을 발전시켜 “얼굴은 가시적이 된 어떤 것”이라 재정의하였습니다. 그에 따르면 얼굴은 인간이나 동물만이 가지는 것이 아니라 어떤 대상이나 건축물, 또는 도시나 꿈 역시 얼굴을 지닐 수 있습니다.
또한, 다와다 요코는 "얼굴은 그 자체로부터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읽어낼 때 비로서 나타나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얼굴은 도처에 있지만, 어떤 흔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알아차리기가 힘든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일종의 텍스트로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얼굴을 읽어내기 위해서는 그것을 읽어내는 존재와 다른 사물과의 관계(배치)를 읽어낼 수 있어야 하죠.
이번 교육 과정에서는 다와다 요코의 개념을 근간으로 '도시의 얼굴'에 주목하였습니다. 인간의 삶의 터전이라는 한 편의 텍스트를 넘어 중심부로 드러나지 않았던 다양한 존재들과의 관계를 통해 도시를 다층적으로 바라보고, 이를 통해 우리가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도시의 새로운 얼굴을 발견해보고자 하였습니다.
<웹 AR 콘텐츠 연계 과정> 교육은 'PART 1. 강연' , 'PART 2. 워크숍', 'PART 3. 발표' 과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PART 1. 강연'에서는 다양한 분야와 관점에서 도시를 읽어보고자 했습니다. 1회차 최윤영 교수님의 강연 <다와다 요코의 ‘얼굴’, ‘가시화되는 것’>에서는 '얼굴'의 어원과 의미 그리고 다와다 요코의 '얼굴' 개념을 살펴보았고, 2회차 류재한 교수님의 <도시-텍스트의 읽기와 쓰기의 주체, 플라뇌르>에서는 시민으로서 우리는 어떻게 도시의 텍스트를 읽을 수 있을지 '플라뇌르'라는 개념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3회차 이소요 작가님의 <쓰레기 매립지의 생태적 틈새>에서는 쓰레기 매립지에서 존재하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생태계를, 4회차 정재은 감독님의 <도시 생태계의 협업과 갈등>에서는 인간의 의지에 따라 결정되는 환경에서 동물과의 관계성을 통해 갈등이 드러나는 방식을 살펴보았습니다. 마지막 5회차 지강일 교수님의 <환경으로서의 건축>에서는 건축이 환경으로서 개인과 사회, 생태계 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스케일의 관점으로 살펴보았습니다.
'PART 2. 워크숍'은 앞선 강연에서 나왔던 다양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참여자들의 작업 주제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웹 AR 기술을 활용하여 콘텐츠로 구현하는 파트로 진행되었습니다. 먼저, 룹앤테일 김영주 개발자와 3회의 워크숍 동안 '얼굴들의 도시, 도시의 얼굴들'이라는 주제에 대해 브레인 스토밍하고, 이를 게임적 메커니즘에 접목하여 어떻게 효과적인 규칙과 놀이를 만들 수 있는지 연구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후 9회차 동안 플링커 정수봉 대표의 웹 AR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추가 멘토링 4회를 거쳐 총 4팀의 AR 활용 콘텐츠 결과물을 선보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브레이킹(김상숙,배우형)의 <디에이큐큐(daqq)>, 짭심이(한수현, 류송이, 위은혜)의 <보이지 않는 도시들>, Untitled-1(황상아, 이혜지, 박진희)의 <The Clubbing Monster>, RGB(박지은, 김나라연, 지수연)의 <The Legend of RGB> 이 네 가지 콘텐츠 결과물 소개는 'PART 3. 발표'에서 자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최/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교육과
협약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수행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 아트콜라이더랩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교육과
사업 담당자 기영준(학예연구관), 채문정(학예연구사)
운영 강사 조아애,이채린, 유현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 아트콜라이더랩
책임 연구원 남화연(아트콜라이더랩 소장)
참여 연구원 이다영, 임명연
보조 연구원 진영민
프로그램 참여 강사진
PART 1 연사 최윤영, 류재한, 이소요, 정재은, 지강일
PART 2~3 교육 강사 김영주, 정수봉
PART 2~3 교육 보조강사 박민정, 윤정원, 김지연, 이현수
PART 2 ~ 3 교육 참여자
김나라연, 김상숙, 류송이, 박지은, 박진희, 배우형, 위은혜, 윤지영, 이혜지, 지수연, 한수현, 황상아
PART 1 촬영 및 중계 세븐클라우드
타이포그래피 아르동(남기륭)
*웹페이지 관련 문의 : karts.ac@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