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습활동 진행
가. 과학 학습은 1주일에 4시간이다.
나. 예습하기(등교하기 전 집에서) 집에서 못하는 경우 수업시작 직전 쉬는 시간에 한다. - 디딤영상 시청
- 디지털교과서(DT)의 소단원에 제시된 개념영상을 시청한다.
다. 수업 시작 전에 학습할 교과서와 활동지 쪽수를 펴고 준비한다.
라. 학습 후에는 모든 내용에 대해서 동료에게 말로 설명한다.
설명은 이해의 수단이며 자신의 이해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마. 수업은 구글 사이트 도구를 읽고 팀별로 학습 활동을 수행한다.
사이트 주소: https://url.kr/3rfuya
2. 행동으로 읽기: 교과서 또는 활동지를 읽을 때는 아래의 3가지 방법으로 읽는다.
가. 밑줄 긋기(underline) : 핵심적인 내용 부분에만 밑줄을 긋는다.
나. 형광펜으로 표시하기(highlight) : 형광펜으로 중요 표시를 한다.
다. 쓰기(writing) : 읽은 내용에 관해서 교과서나 활동지에 자기 생각을 쓴다.
3. 질문하는 순서
가. 질문하기 전에 먼저 교과서 또는 인터넷에서 궁금한 것을 알아본다.
나. 짝 및 팀원에게 묻는다.(최소 3명에게 묻기)
다. 팀원이 모르는 경우 가이드에게 묻는다.
4. 반응하는 방법 5가지 : 음!, 아! 그래!, 맞아!, 이제 알았네!
5. 과학실 수업과 준비
가. 과학 학습은 1층 과학실(Ⅰ)에서 진행된다.
나. 과학실로 이동할 때는 태블릿 또는 휴대전화기를 가져온다.
다. 교실에서 수업이 끝나면 곧바로 과학실로 이동 후 과학실에서 수업시작을 기다린다.
라. 과학실로 이동할 때는 필기구를 필통에 넣어서 교과서와 활동지를 함께 가져온다.
마. 자리 배치
1) 자리 배치는 4명(2명+2명)이 1개 팀으로 구성됩니다. 실험은 팀활동으로 한다.
2) 자신이 소속된 팀 번호와 팀내 번호를 기억한다.
3) 과학실에서는 옆과 앞에 같은 성별(性別)이 앉지 않는다.
4) 테이블의 팀번호가 매시간 바뀐다. 칠판거리, 시야 확보를 공평하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