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준비
제1조 4단계 예습하기 : 내용 구조 읽기 -> 교과서 읽기 -> 구글 사이트 활동 순서 읽기 -> 활동지 예습하기
제2조 수업 준비하기 : 수업 시작 전에 (1) 활동지 및 교과서 쪽수 펴기, (2) DT의 배울 쪽수 활성화, (3) 펜 잡고 있기
제3조 볼펜 잡고 있기 : 수업이 시작 끝날 때까지 언제든지 쓸 수 있도록 볼펜을 잡고 있기
제4조 학습도구 탐색하기 : 실험실에 도착 후 실험실 뒤쪽에 놓여 있는 실험도구를 만지면서 배울 내용 상상하기
제5조 먼저 찾아보기 : 화장지, 의자, 준비물 등 찾고자 하는 물건이 없을 때 선생님 또는 동료에게 먼저 묻지 않고 먼저
주변에서 찾기
제6조 내 앞에 활동지 : 테이블 위에 활동지는 내 몸 앞에, 교과서는 그 위쪽에 놓기
적극적 학습
제7조 생각-짝-나누기 : 혼자 생각하기→짝에게 설명하기→발표하기 과정으로 학습한다는 것을 예상하기
제8조 행동으로 읽기 : 교과서/활동지를 읽을 때는 밑줄 긋기, 하이라이트 하기, 쓰기
제9조 모두 각자 읽기 : 교과서/활동지/활동목표를 읽을 때 한 명도 빠짐이 없이 소리 내어 읽기
제10조 손가락 설명 : 짝에게 설명할 때 ①짝을 보고 몸을 45° 돌려서 ② 활동지/교과서를 자신의 책상을 넘겨서 보여주고
③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설명하기
제11조 동료 바라보기 : 발표할 때 발표자를 바라보기. 선생님 바라보지 않기
제12조 모두 손들기 : 선생님이 발표 기회를 안내할 때 모두가 손들어 자원하기
제13조 8m 목소리 발표 : 발표할 때는 8m까지 들릴 수 있도록 큰 목소리로 설명하기, 짝에게 설명할 때는 30cm 목소리로
말하기, 옆 팀에 들리지 않기
제14조 반응하기 : 동료 또는 가이드의 안내나 설명이 있을 때 30cm 목소리로 반응 반응 5가지 : 음!, 아! 그래!, 맞아!, 이제 알았네!)
제15조 내가 다가가기 : 안보이거나 들리지 않으면 칠판/설명하는 동료나 선생님께 내가 다가가기(‘안보여요’, ‘안 들려요’라는 말 않기)
제16조 시그널 쓰기 : 선생님이 다음의 행동을 1가지 이상할 때 활동지에 쓰기
①개념/용어를 3번 이상 반복하며 말할 때
②발로 교실 바닥을 치면서 말할 때
③‘중요하다’라고 말할 때
제17조 일어서서 실험하기 : 실험할 때는 자리에서 일어나서 참여
제18조 긍정적 수용하기 : 동료 또는 선생님의 설명이나 안내의 깊은 의미를 거듭거듭 생각하고 분석하기,
비판이나 평가는 3일 이후에 하기
제19조 TTTT로 묻기 : 질문이 있을 때 교과서→태블릿→팀원→선생님 순으로 묻기 (Textbook→Tablet→Teammate→Teacher)
조용한 활동
제20조 팀원과만 말하기 : 별도 안내가 없으면 짝꿍 및 팀원과만 토의/설명하기
제21조 팀별로 이동하기 : 교실에서 이동하여 학습할 때 팀원/짝 단위로 이동하기
제22조 팔걸이 활동지 : 과학실에서 이동할 때 왼팔 위에 활동지, 오른손은 볼펜잡기
제23조 묻는 것만 말하기 : 동료의 행동에 대해서 요청하지 않은 것은 말하지 않기. 즉, 다른 동료에게 불필요한 지시, 명령, 안내하지 않기
(이렇게 해!, 조용히 해!, 저기에 있어!, 이쪽으로 와! 등 하지 않기)
제24조 목소리 낮추기 : 목소리 카드를 보면 검지손가락을 입에 대면서 동료에게 ‘쉿’이라고 말하면서 목소리 낮추기
제25조 팀번호 찾아가기 : 자리가 바뀔 때 교실 칠판에 제시된 자리배치표를 보고 과학실의 팀번호 위치를 확인하고 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