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Way Table
신학기 무료레벨테스트를 신청하세요(선착순 10명)
Two Way Table
일반적으로 자료는 quantitative data(수치형)와 categorical data(범주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수치형은 일반적인 확률문제로 범주형은 two way table형태로 출제되고 있습니다.
특히나 two way table형태의 문제에서는 확률(probability)인지 조건부확률(conditional probability)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둘의 구분이 명확한 경우가 있고 문맥상으로 판단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장 일반적으로는 if / of / given that이라는 단어가 나오면 조건부확률로 판단을 하며
that / who 라는 단어가 나오면 조건부확률일 수도 있고 교집합일수도 있으므로 문맥상으로 판단을 합니다.
언제나 문제를 풀어나가는 순서는 RUAD에 입각해서 풀어갑니다.
1) Reading / Key Point에 Underline (유형파악 단계)
two way table를 확인
가로, 세로축이 categorical data인지 확인하고 체크
if / of / given that / that / who의 단어에 밑줄
확률인지 조건부확률인지 유형 결정
2) Annotation (방법 결정)
확률은 A/P
조건부확률은 (A∩B)/A
3) Discipline (풀이)
해당되는 문자에 값들을 대입
다음은 SAT에 기출된 문제입니다.
1) Reading / Key Point에 Underline (유형파악 단계)
two way table를 확인
가로, 세로축이 categorical data인지 확인하고 체크 → Gender & Course
19 percent of all the survey respondents → 확률
2) Annotation (방법 결정)
확률은 A/P
3) Discipline (풀이)
(a) Females taking Geometry → 53/310=0.17
(b) Females thking Alge2 → 62/310=0.2
(c) Males taking Geometry → 59/310=0.19
(d) Males taking Alge1 → 44/310=0.14
1) Reading / Key Point에 Underline (유형파악 단계)
two way table를 확인
가로, 세로축이 categorical data인지 확인하고 체크 → group & 가로축은 class형태이므로 범주형에 해당
if / of / given that / that / who의 단어에 밑줄 → if
조건부확률 유형 결정
2) Annotation (방법 결정)
조건부확률은 (A∩B)/A
A : recalled at least 1 dream
B : belonged to Group Y
3) Discipline (풀이)
해당되는 문자에 값들을 대입
79/164
1) Reading / Key Point에 Underline (유형파악 단계)
two way table를 확인
가로, 세로축이 categorical data인지 확인하고 체크 → Topping & Flavor
if / of / given that / that / who의 단어에 밑줄 → Of
확률인지 조건부확률인지 유형 결정 → 조건부확률
2) Annotation (방법 결정)
조건부확률은 (A∩B)/A
A : vanilla
B : hot fudge
3) Discipline (풀이)
8/13
이상으로 SAT에서 출제빈도수가 높은 편인 Two Way Table 형태의 문제를 살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