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학과는 너무 다른 Geometry
한국수학에서는 중학교 각학년 1학기때 대수학과 함수를 2학기때 기하와 확률을 배웁니다.
반면에 국제학교에서는 pre-alge → alge1 → geo → alge2 순서로 배웁니다.
우선 진도를 다음 표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신학기 무료레벨테스트를 신청하세요(선착순 10명)
한국수학과는 너무 다른 Geometry
한국수학에서는 중학교 각학년 1학기때 대수학과 함수를 2학기때 기하와 확률을 배웁니다.
반면에 국제학교에서는 pre-alge → alge1 → geo → alge2 순서로 배웁니다.
우선 진도를 다음 표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한국수학으로 선행도 하고 완성도도 괜찮다고 생각했고 8학년 (alge1)때까지 큰 문제없이 잘해왔는데 갑자기 9학년 geo에서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같은 문제라 할지라도 서로 접근방법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다음의 문제를 풀어보면서 직접 비교해 보겠습니다.
(출처 : KIS 9학년 Unit 2-5 연습문제)
다음과 같은 방식이 전형적인 한국수학식 접근입니다.
다음은 국제학교에서 취하고 있는 CRE 차트 방식으로 접근하겠습니다.
즉, 국제학교수학은 풀이 과정과정에서 적용되는 정의, 성질 그리고 연산조건 등을 정확히 이해했는지를 확인하고 이 과정을 CRE차트로 표현해야만 점수로 반영됩니다. 이것이 한국수학과의 큰 차이라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