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1일(월화) 공부할 과목
국어 사회 체육 도덕 창체
국어 사회 체육 도덕 창체
[4/10차시] 한글을 만든 과정 이해하기(국252-257쪽)
[학습 내용]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게 된 까닭과 과정에 대해 정리해봅시다. 한글을 만든 목적과 배경을 생각하며 훈민정음을 소개하는 글을 써보세요.
[활동 자료]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문자, 훈민정음 – https://www.ebs.co.kr/tv/show?prodId=10000&lectId=10393966
[과제]
자신이 세종대왕이라고 생각하고 백성들에게 훈민정음을 소개하는 글을 국어책 257쪽에 적어보세요.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넣으시오
(교과서 28쪽 참고)
지도에서 높이가 같은 곳을 연결하여 땅의 높낮이를 나타낸 선을 ( )이라고 합니다.
땅의 높이가 높을수록 색이 ( ) 집니다.
(교과서 36~38쪽 참고)
군청이나 구청, 시장, 버스 터미널 등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 ( )라고 합니다.
중심지의 특징은 ( )이 편리하고, ( )이 많다.
영상을 보면서 리듬 놀이를 해 봅시다
[1/4] 첫 번째 과제 실행하기 <나의 재능 찾기>
누구에게나 잘하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재능이라고 부르지요. 재능은 우리가 자신감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는 데에도 도움을 주지만, 누군가에게 재능을 나눔으로서 더욱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내가 가지고 있는 재능을 발견하고, 그 재능으로 더욱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봅시다.
[참고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0dkXaItUiyA (유리상자 - 아름다운 세상)
https://www.youtube.com/watch?v=tq56MSqtMDU (재능 찾는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D9TuERn7Uu4 (재능 기부란 무엇일까?)
[과제]
자신이 가진 재능과 그 재능으로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적어봅시다.
[학교폭력 예방 1차시] 욕에 대하여
여러분은 화가 나면 어떤 말들이 나오나요? 혹시 쉽게 욕을 하고 있지는 않나요? 그런데 욕을 사용하면 제일 먼저 그 욕을 듣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아래 영상을 보면서 욕에 대해 알아보세요.
[영상 자료]
욕의 반격 https://youtu.be/xrX7aM-dpYQ
[과제]
욕이 왜 나쁜지 적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