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DB 庫佛祥
  • Home
  • about
  • moment
  • index
    • 가나다라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근차판상운
      • 고산지원
      • 구결
      • 경허집발간취지서
      • 가야산해인사지-지관스님 1992
      • 국일암
      • 고려불화
      • 광불사
      • 건봉사
      • 금강산장안사설계대회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효승엽 南湖勝曄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나반신통세소희
      • 내불익시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대둔사약지
      • 대돈황
      • 대비주
      • 담앤북스
      • 동광당명진대선사비명
      • 동래군금정산범어사계명암창설선사기
      • 다비계안
      • 도비산부석사선묘탱화
      • 석림회 명단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무럭무럭
      • 무오갑보사단비
      • 만수향
      • 미래사사천왕탱
      • 무허당규필대선사탑
      • 무오독립선언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변기 辯機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전 등 드라마의 구조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불조역대통재
      • 부석사(서산)
      • 부석사(영주)
      • 비목
      • 불화기
      • 방함
      • 해인사수월관음도
      • 병자갑계보사단비
      • 불은상기게
      • 불교인명데이터
      • 백련암
      • 방함록 수덕사 1910
      • 보덕사불화기
      • 백양사
      • 백화사목련경변상도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목록
      • 석지통
      • 석씨회요
      • 석전유해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신종송
      • 석보상절
      • 석문의식집출판에동참해주신분들
      • 선원방함록
      • 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도사
      • 석림회
      • 삼각산안양암산신탱
      • 선운사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영랑사
      • 아유일포대
      • 아유일발랑
      • 아집념주법계관
      • 약인욕요지
      • 예념미타도량참법
      • 용생구자
      • 약인정좌일수유
      • 안거
      • 영송
      • 원당암진영목록
      • 일용작법발문
      • 영각추원방
      • 방유명조선국미지산용문사시정지국사비명
      • 예산수덕사괘불탱화
      • 오송경당물종전장기
      • 영봉암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지장대성위신력
      • 주련 DB
      • 전등사서
      • 지월록
      • 자비
      • 중흥사계비구문
      • 제사신라국사자장율사지진
    • 차
      • 치성광여래
      • 천태원법사발원문
      • 천장사 칠성탱
      • 천장사 지장보살도
      • 청주불자봉사단
    • 타
      • 탁효정
      • 통도사
      • 통록촬요
      • 통정대부참서관장호진영세불망비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표충설립유공록
      • 표원원장선생안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희랑대 독성탱
      • 희랑대
      • 해인사대향로전중건기
      • 해인사법보전비로자나후불탱
      • 환희대원통전후불탱
      • 해인사사천왕탱
      • 해인사극락전진영목록
      • 홍제암영자전진영목록
      • 해인사해행당진영목록
      • 해남대흥사사법당황촉계안
      • 형통사
      • 향천사
      • 해동율맥
      • 한국고승비문총집
      • 향림사
      • 향산대비보살전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Narayan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Takht-i-Bahi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Vessantara-jataka
    • W
    • X
    • Y
    • Z
    • Num
      • 법수 1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과거7불
      • 8금강
      • 10왕
      • 극락세계 10종장엄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3선지식
    • Untitled page
  • images
    • temples
    • stupas - kmg
    • Museum Catalogue
    • Bud.Tres.
  • sangha
    • 승전
    • 법랑
    • 요오순지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62-1649 소요태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Copy of 1544-1610 사명유정
      • 테스트
    • 1600
      • 1603-1690 환적의천
      • 1622-1684 취여삼우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40-1708 풍계명찰
      • 1651-1706 설암추붕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76-1750 설송연초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68-1754 영해약탄
      • 1691-1770 함월해원
      • 1687-1767 상월새봉
    • 1700
      • 1700년대 풍계현정
      • 1700년대 목암선정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14-1770 완월궤홍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879 설허지연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3 침교법훈
    • ?-1777 태허남붕
    • 원담내원
    • 1800s
      • 하은응상
      • 대연정첨
      • 관허천일
      • ?-1864 화운은철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민욱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맹윤
    • ?-1853 포운윤경
    • 화운관진
    • 금우필기
    • 1830
      • 1831-1877 우담유정
    • 1840
      • 1846-1928 금호약효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940-2019 연담종진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0-1940 고산축연
      • 1851-1917 석옹철유
      • 1852-1936 경운원기
      • 1854-1927 성해남거
      • 1855-1928 수월음관
      • 1856-1935 만허경화
      • 1858-1903 설유처명
      • 1858-1934 월초거연
      • 1858-1922 취운도진
      • 1856-? 원응계정
    • 혼해찬윤
    • 1860
      • 1860-1933 담해덕기
      • 1867-1954 보응문성
      • 1869-1915 금봉병연
      • 1869-1933 완호낙현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5-1958 석우보화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풍곡신원
    • 1880
      • 1880-1936 단재
      • 1887-1978 봉하장조
      • 1889-1966 원허효선
      • 불국사
      • 1882-1954 호은정연
      • 19-20 예운상규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1-1969 만우병헌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태현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898-1978 추담 순
      • 1898-1983 취봉창섭
      • 1898-1968 설곡도윤
      • 1898-1982 운기성원
    • 1900
      • 1900-1961 초부적음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76 동광혜두
      • 1901-1983 향봉향눌
      • 1901-1974 해안봉수
      • 1901-1987 벽안법인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76 상봉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1989 철운종현
      • 1904-2000 운경기홍
      • 1905-1998 일옹혜각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7-1987 영월상기
      • 1908-1991 제봉동률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09-2006 만봉자성
      • 1909-1975 봉암대희
      • 백하청호
      • 옛날샘플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 석영제선
      • 1912-2003 서옹석호
      • 1912-1971 청우경운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05 영공도성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5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5 애산송월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28-2019 범일보성
      • 1922-2012 수산지종
    • 1930
      • 1930-2000 진공탄성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2025 도연법흥
      • 1931-2003 고봉혜웅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04 남산정일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03 월암정대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22 미룡월탄
      • 1937-2025 봉안효경
      • 1937 정진
      • 1938-2020 망우봉주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31-2018 호암인환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2016 포산혜인
      • 1943 달하우송
      • 1941 보광성주
      • 1943 무봉성우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벽산원각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46 학봉지선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운정묵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3 비산주경
      • 1964-2025 취암만당
      • 1967-2014 성안
    • 혜원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삭제
    • 원타
    • 경선응석
    • 수룡기전
    • 화적두일
DB 庫佛祥
  • Home
  • about
  • moment
  • index
    • 가나다라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근차판상운
      • 고산지원
      • 구결
      • 경허집발간취지서
      • 가야산해인사지-지관스님 1992
      • 국일암
      • 고려불화
      • 광불사
      • 건봉사
      • 금강산장안사설계대회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효승엽 南湖勝曄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나반신통세소희
      • 내불익시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대둔사약지
      • 대돈황
      • 대비주
      • 담앤북스
      • 동광당명진대선사비명
      • 동래군금정산범어사계명암창설선사기
      • 다비계안
      • 도비산부석사선묘탱화
      • 석림회 명단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무럭무럭
      • 무오갑보사단비
      • 만수향
      • 미래사사천왕탱
      • 무허당규필대선사탑
      • 무오독립선언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변기 辯機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전 등 드라마의 구조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불조역대통재
      • 부석사(서산)
      • 부석사(영주)
      • 비목
      • 불화기
      • 방함
      • 해인사수월관음도
      • 병자갑계보사단비
      • 불은상기게
      • 불교인명데이터
      • 백련암
      • 방함록 수덕사 1910
      • 보덕사불화기
      • 백양사
      • 백화사목련경변상도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목록
      • 석지통
      • 석씨회요
      • 석전유해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신종송
      • 석보상절
      • 석문의식집출판에동참해주신분들
      • 선원방함록
      • 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도사
      • 석림회
      • 삼각산안양암산신탱
      • 선운사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영랑사
      • 아유일포대
      • 아유일발랑
      • 아집념주법계관
      • 약인욕요지
      • 예념미타도량참법
      • 용생구자
      • 약인정좌일수유
      • 안거
      • 영송
      • 원당암진영목록
      • 일용작법발문
      • 영각추원방
      • 방유명조선국미지산용문사시정지국사비명
      • 예산수덕사괘불탱화
      • 오송경당물종전장기
      • 영봉암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지장대성위신력
      • 주련 DB
      • 전등사서
      • 지월록
      • 자비
      • 중흥사계비구문
      • 제사신라국사자장율사지진
    • 차
      • 치성광여래
      • 천태원법사발원문
      • 천장사 칠성탱
      • 천장사 지장보살도
      • 청주불자봉사단
    • 타
      • 탁효정
      • 통도사
      • 통록촬요
      • 통정대부참서관장호진영세불망비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표충설립유공록
      • 표원원장선생안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희랑대 독성탱
      • 희랑대
      • 해인사대향로전중건기
      • 해인사법보전비로자나후불탱
      • 환희대원통전후불탱
      • 해인사사천왕탱
      • 해인사극락전진영목록
      • 홍제암영자전진영목록
      • 해인사해행당진영목록
      • 해남대흥사사법당황촉계안
      • 형통사
      • 향천사
      • 해동율맥
      • 한국고승비문총집
      • 향림사
      • 향산대비보살전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Narayan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Takht-i-Bahi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Vessantara-jataka
    • W
    • X
    • Y
    • Z
    • Num
      • 법수 1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과거7불
      • 8금강
      • 10왕
      • 극락세계 10종장엄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3선지식
    • Untitled page
  • images
    • temples
    • stupas - kmg
    • Museum Catalogue
    • Bud.Tres.
  • sangha
    • 승전
    • 법랑
    • 요오순지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62-1649 소요태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Copy of 1544-1610 사명유정
      • 테스트
    • 1600
      • 1603-1690 환적의천
      • 1622-1684 취여삼우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40-1708 풍계명찰
      • 1651-1706 설암추붕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76-1750 설송연초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68-1754 영해약탄
      • 1691-1770 함월해원
      • 1687-1767 상월새봉
    • 1700
      • 1700년대 풍계현정
      • 1700년대 목암선정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14-1770 완월궤홍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879 설허지연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3 침교법훈
    • ?-1777 태허남붕
    • 원담내원
    • 1800s
      • 하은응상
      • 대연정첨
      • 관허천일
      • ?-1864 화운은철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민욱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맹윤
    • ?-1853 포운윤경
    • 화운관진
    • 금우필기
    • 1830
      • 1831-1877 우담유정
    • 1840
      • 1846-1928 금호약효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940-2019 연담종진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0-1940 고산축연
      • 1851-1917 석옹철유
      • 1852-1936 경운원기
      • 1854-1927 성해남거
      • 1855-1928 수월음관
      • 1856-1935 만허경화
      • 1858-1903 설유처명
      • 1858-1934 월초거연
      • 1858-1922 취운도진
      • 1856-? 원응계정
    • 혼해찬윤
    • 1860
      • 1860-1933 담해덕기
      • 1867-1954 보응문성
      • 1869-1915 금봉병연
      • 1869-1933 완호낙현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5-1958 석우보화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풍곡신원
    • 1880
      • 1880-1936 단재
      • 1887-1978 봉하장조
      • 1889-1966 원허효선
      • 불국사
      • 1882-1954 호은정연
      • 19-20 예운상규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1-1969 만우병헌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태현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898-1978 추담 순
      • 1898-1983 취봉창섭
      • 1898-1968 설곡도윤
      • 1898-1982 운기성원
    • 1900
      • 1900-1961 초부적음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76 동광혜두
      • 1901-1983 향봉향눌
      • 1901-1974 해안봉수
      • 1901-1987 벽안법인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76 상봉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1989 철운종현
      • 1904-2000 운경기홍
      • 1905-1998 일옹혜각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7-1987 영월상기
      • 1908-1991 제봉동률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09-2006 만봉자성
      • 1909-1975 봉암대희
      • 백하청호
      • 옛날샘플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 석영제선
      • 1912-2003 서옹석호
      • 1912-1971 청우경운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05 영공도성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5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5 애산송월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28-2019 범일보성
      • 1922-2012 수산지종
    • 1930
      • 1930-2000 진공탄성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2025 도연법흥
      • 1931-2003 고봉혜웅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04 남산정일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03 월암정대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22 미룡월탄
      • 1937-2025 봉안효경
      • 1937 정진
      • 1938-2020 망우봉주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31-2018 호암인환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2016 포산혜인
      • 1943 달하우송
      • 1941 보광성주
      • 1943 무봉성우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벽산원각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46 학봉지선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운정묵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3 비산주경
      • 1964-2025 취암만당
      • 1967-2014 성안
    • 혜원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삭제
    • 원타
    • 경선응석
    • 수룡기전
    • 화적두일
  • More
    • Home
    • about
    • moment
    • index
      • 가나다라
      • 가
        • 가범달마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간다리 단어
        • 갑계
        • 강성용
        • 강향숙
        • 게송사전
        • 경서원
        • 경주백탑
        • 고려발음
        • 고승 高僧
        • 공양문 빨리어
        • 관촉사
        • 괄지
        • 구국위승 항일독립운동 승려목록 135위
        • 구미진
        • 규궁 虯宮
        • 근대불교학
        • 근역성보관
        • 금석문
        • 기도
        • 기미독립선언서
        • 김백설
        • 김자현
        • 김해명월사사적비
        • 갑사
        • 골리수
        • 거사
        • 견삭
        • 관음사
        • 김현중(현주)
        • 계수서방안락찰
        • 결집
        • 거불
        • 근차판상운
        • 고산지원
        • 구결
        • 경허집발간취지서
        • 가야산해인사지-지관스님 1992
        • 국일암
        • 고려불화
        • 광불사
        • 건봉사
        • 금강산장안사설계대회
      • 나
        • 나반존자찬
        •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노자화호설
        • 남효승엽 南湖勝曄
        • 남섬부주고려국서주지부석사당주관음주성결연문
        • 내소사
        • 나반신통세소희
        • 내불익시
      • 다
        • 다송시고
        • 당간지주
        • 대길상천녀
        • 대당삼장성교서자초
        • 대당서역기
        • 대동영선
        • 대세지보살
        • 대승계
        • 대웅전
        • 대장경목록
        • 대한불교조계종
        •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
        • 대흥사
        • 도량 道場
        • 독성청
        • 동국승니록
        • 동국역경원
        • 동북아미술연구소
        • 동사변화 한역
        • 동사열전
        • 동화사
        • 등신불
        • 디지털 불교네트워크
        • 대승백복장엄상경
        • 대총상법문도
        • 대둔사약지
        • 대돈황
        • 대비주
        • 담앤북스
        • 동광당명진대선사비명
        • 동래군금정산범어사계명암창설선사기
        • 다비계안
        • 도비산부석사선묘탱화
        • 석림회 명단
      • 마
        • 명정학교
        • 문현공
        • 문화재연구소
        • 명당수
        • 마하연
        • 미황사
        • 마곡사
        • 문광
        • 무럭무럭
        • 무오갑보사단비
        • 만수향
        • 미래사사천왕탱
        • 무허당규필대선사탑
        • 무오독립선언
      • 바
        • 바라지
        • 범어천자문
        • 법화경약찬게
        • 변기 辯機
        • 보제 普濟
        • 보현행원
        • 보협인다라니
        • 본업경
        • 부처님 오신날
        • 북조불교
        • 분노존
        • 불교사전
        • 불교잡지
        • 불복장
        • 불식
        • 불전 등 드라마의 구조
        • 불교영화
        • 불교인물
        • 보회향진언
        • 봉은사판전신중도
        • 범패
        • 불교인명사전
        • 붓다의 인물들
        • 불교속어사전
        • 불이회
        • 범어사사적비명
        • 범천권청
        • 범어사총섭방함록
        • 불교문화연구원
        • 불교학술원
        • 봉은사
        • 범어사
        • 법주사
        • 비산주경
        • 봉려관문화연구소
        • 불신보변시방중
        • 법장
        • 법진
        • 불교IN
        • 불이회
        • 북두칠성
        • 불교음악
        • 비취
        • 불조역대통재
        • 부석사(서산)
        • 부석사(영주)
        • 비목
        • 불화기
        • 방함
        • 해인사수월관음도
        • 병자갑계보사단비
        • 불은상기게
        • 불교인명데이터
        • 백련암
        • 방함록 수덕사 1910
        • 보덕사불화기
        • 백양사
        • 백화사목련경변상도
      • 사
        • 삼론종 三論宗
        • 석씨원류
        • 사성례
        • 삼도천
        • 상좌
        • 석경 石經
        • 사자상승 師資相承
        • 사문유관 四門遊觀
        • 소심경 小心經
        • 소예참례
        • 수행본기경
        • 소복소복 마음개발
        •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
        • 세계의 옛 절터, 寺址
        • 서울국제불교박람회
        • 순치황제출가시
        • 삭발
        • 쌍계사
        • 송광사
        • 신흥사
        • 선우공제회취지서
        • 수덕사
        • 색불이공
        • 삼봉집
        • 삼현문도
        • 선문수경
        • 석두하삼봉
        • 사찰목록
        • 석지통
        • 석씨회요
        • 석전유해
        • 심재관
        • 심우선원
        • 서울 보문사 상량문
        • 석문의범
        • 석씨육첩
        • 선문염송
        • 설법
        • 성불도놀이
        • 신종송
        • 석보상절
        • 석문의식집출판에동참해주신분들
        • 선원방함록
        • 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도사
        • 석림회
        • 삼각산안양암산신탱
        • 선운사
      • 아
        • 아미타경
        • 아유일권경
        • 약인욕식불경계
        • 양현모
        • 언해불전
        • 역장 譯場
        • 염불작법
        • 영가전에
        • 영락북장
        • 영명성각묘난사
        • 영산재
        • 예불 禮佛
        • 완인 完人
        • 오용석
        • 요나라 불교
        • 용상방 龍象榜
        • 용탑선원창건상량기
        • 우리도 부처님같이
        • 우화동지방신광
        • 원문텍스트 - 부처님생애
        • 원적계 圓寂界
        • 위축소 爲祝所
        • 유재상
        • 은해사
        • 이성수
        • 이승혜
        • 이자랑
        • 이진구
        • 양
        • 유가사 부도군
        • 우비고뇌
        • 영산석일여래촉
        • 영랑사
        • 아유일포대
        • 아유일발랑
        • 아집념주법계관
        • 약인욕요지
        • 예념미타도량참법
        • 용생구자
        • 약인정좌일수유
        • 안거
        • 영송
        • 원당암진영목록
        • 일용작법발문
        • 영각추원방
        • 방유명조선국미지산용문사시정지국사비명
        • 예산수덕사괘불탱화
        • 오송경당물종전장기
        • 영봉암
      • 자
        •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 중광
        • 정진희 (혜달)
        • 자운정묵
        • 전법보기
        • 조선불교일람표
        • 직지사
        • 조계사
        • 정주연
        • 진달래
        • 집착
        • 조선불교통사
        • 진산식
        • 제경회요
        • 지장대성위신력
        • 주련 DB
        • 전등사서
        • 지월록
        • 자비
        • 중흥사계비구문
        • 제사신라국사자장율사지진
      • 차
        • 치성광여래
        • 천태원법사발원문
        • 천장사 칠성탱
        • 천장사 지장보살도
        • 청주불자봉사단
      • 타
        • 탁효정
        • 통도사
        • 통록촬요
        • 통정대부참서관장호진영세불망비
      • 파
        • 파계사
        • 표충사
        • 평측
        • 표충설립유공록
        • 표원원장선생안
      • 하
        • 한재희
        • 한운진 (경완)
        • 현대불교
        • 학암성잠
        •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
        • 홍대선원
        • 해인사
        • 화엄사
        • 해인삼매론
        • 환우
        • 항마군
        • 희랑대 독성탱
        • 희랑대
        • 해인사대향로전중건기
        • 해인사법보전비로자나후불탱
        • 환희대원통전후불탱
        • 해인사사천왕탱
        • 해인사극락전진영목록
        • 홍제암영자전진영목록
        • 해인사해행당진영목록
        • 해남대흥사사법당황촉계안
        • 형통사
        • 향천사
        • 해동율맥
        • 한국고승비문총집
        • 향림사
        • 향산대비보살전
      • A
        • advaya
        • apatti
        • Acala
      • B
      • C
      • D
        • Devamantiya
      • E
      • F
      • G
        • gāthā
      • H
      • I
      • J
        • jhapita
      • K
        • kapota
        • kacchapa
      • L
      • M
        • matsya
      • N
        • nakkhatta
        • Narayana
      • O
        • The Open Buddhist University
      • P
      • Q
      • R
      • S
        • sitavana
        • symbols
        • Satavahana
        • sthama
      • T
        • Takht-i-Bahi
      • U
        • usabha
      • V
        • Vinaya-pitaka
        • Vessantara-jataka
      • W
      • X
      • Y
      • Z
      • Num
        • 법수 1
        • 5편7취
        • 5교9산
        • 6상
        • 6성취
        • 7종문제
        • 과거7불
        • 8금강
        • 10왕
        • 극락세계 10종장엄
        • 13강사
        • 28천
        • 31본산
        • 53선지식
      • Untitled page
    • images
      • temples
      • stupas - kmg
      • Museum Catalogue
      • Bud.Tres.
    • sangha
      • 승전
      • 법랑
      • 요오순지
      • 1100
        • 1158-1210 보조지눌
        • 1163-1245 원묘요세
        • 1178-1234 진각혜심
      • 1300
        • 1301-1382 태고보우
        • 1320-1392 환암혼수
        • 1320-1376 나옹혜근
        • 1327-1405 무학자초
        • 1351-1428 고봉법장
        • 1376-1433 함허기화
      • 1500
        • 1520-1604 청허휴정
        • 1543-1615 부휴선수
        • 1544-1610 사명유정
        • 1562-1633 진묵일옥
        • 1562-1649 소요태능
        • 1575-1660 벽암각성
        • 1581-1644 편양언기
        • 1590-1669 취미수초
        • 1592-1665 풍담의심
        • 1596-1675 송파각민
        • 만하승림
        • 인물종합
        • Copy of 1544-1610 사명유정
        • 테스트
      • 1600
        • 1603-1690 환적의천
        • 1622-1684 취여삼우
        • 1627-1709 상봉정원
        • 1631-1700 백암성총
        • 1640-1708 풍계명찰
        • 1651-1706 설암추붕
        • 1664-1729 환성지안
        • 1666-1737 낙암의눌
        • 1676-1750 설송연초
        • 1687-1748 호암체정
        • 1693-1764 기성쾌선
        • 1668-1754 영해약탄
        • 1691-1770 함월해원
        • 1687-1767 상월새봉
      • 1700
        • 1700년대 풍계현정
        • 1700년대 목암선정
        • 1707-1791 설파상언
        • 1710-1776 야운시성
        • 1714-1770 완월궤홍
        • 1720-1789 괄허취여
        • 1720-1799 연담유일
        • ?-1879 설허지연
        • 1738-1823 율봉청고
        • 1758-1826 완호윤우
        • 1767-1852 백파긍선
        • 1772-1811 아암혜장
        • 1783-1841 용암혜언
        • 1786-1866 초의의순
        • ?-1813 침교법훈
      • ?-1777 태허남붕
      • 원담내원
      • 1800s
        • 하은응상
        • 대연정첨
        • 관허천일
        • ?-1864 화운은철
      • 1810
        • 1813-1883 보운석일
        • 1814-1890 서룡
        • 1815-1899 취은민욱
      • 1820
        • 1820-1896 범해각안
        • 1822-1881 우담홍기
        • 1824-1902 함명태선
        • 1826-1921 성주
        • 1827-1899 용은맹윤
      • ?-1853 포운윤경
      • 화운관진
      • 금우필기
      • 1830
        • 1831-1877 우담유정
      • 1840
        • 1846-1928 금호약효
        • 1846-1902 용명각민
        • 1849-1881 천호 이동인
        • 1849-1912 경허성우
        • 1940-2019 연담종진
      • 1850
        • 1850-1918 호은문성
        • 1850-1919 만화관준
        • 1850-1940 고산축연
        • 1851-1917 석옹철유
        • 1852-1936 경운원기
        • 1854-1927 성해남거
        • 1855-1928 수월음관
        • 1856-1935 만허경화
        • 1858-1903 설유처명
        • 1858-1934 월초거연
        • 1858-1922 취운도진
        • 1856-? 원응계정
      • 혼해찬윤
      • 1860
        • 1860-1933 담해덕기
        • 1867-1954 보응문성
        • 1869-1915 금봉병연
        • 1869-1933 완호낙현
      • 1870
        • 1870-1948 석전정호
        • 1871-1946 만공월면
        • 1872-1951 인월상근
        • 1872-1965 구하천보
        • 1873-1941 진응혜찬
        • 1874-1956 혜봉용하
        • 1875-1934 청호학밀
        • 1875-1942 금허보영
        • 1875-1958 석우보화
        • 1876-1949 원종
        • 1876-1951 한암중원
        • 1876-1956 만암종헌
        • 1877-? 법경
        • 1878-1944 초월동조
        • 1879-1944 만해용운
        • 1879-1965 퇴경몽찬
      • 풍곡신원
      • 1880
        • 1880-1936 단재
        • 1887-1978 봉하장조
        • 1889-1966 원허효선
        • 불국사
        • 1882-1954 호은정연
        • 19-20 예운상규
      • 1890
        • 1890-1947 탄옹정혜
        • 1890-1961 고봉경욱
        • 1891-1969 만우병헌
        • 1890-1965 동산혜일
        • 1890-1917 형관
        • 1890-1969 설봉학몽
        • 1891-1977 춘성춘성
        • 1892-1982 경봉정석
        • 1892-1968 기산석진
        • 1892-1965 월광금룡
        • 1892-1980 운허용하
        • 1895-1961 인곡창수
        • 1895-1979 철우태주
        • 1896-1921 남용
        • 1896-1971 일엽하엽
        • 1896-1968 금오태전
        • 1896-1983 동헌태현
        • 1897-1970 명허동근
        • 1897-1968 대응만우
        • 1897-1981 일곤 백성욱
        • 1897-1978 소천 신세순
        • 1898-1948 벽산금타
        • 1898-1969 운암태허
        • 1898-1974 전강영신
        • 1899-1964 범산법윤
        • 1899-1986 벽초경선
        • 1899-1988 고암상언
        • 1899-1989 소하대은
        • 1897- 1949 포월봉률
        • 1897-1975 만성
        • 1898-1978 추담 순
        • 1898-1983 취봉창섭
        • 1898-1968 설곡도윤
        • 1898-1982 운기성원
      • 1900
        • 1900-1961 초부적음
        • 1900-1968 고봉태수
        • 1900-1975 금용일섭
        • 1900-1976 동광혜두
        • 1901-1983 향봉향눌
        • 1901-1974 해안봉수
        • 1901-1987 벽안법인
        • 1902-1971 청담순호
        • 1902-1976 상봉
        • 1902-1966 화산수옥
        • 1903-1994 춘담병희
        • 1904-1989 철운종현
        • 1904-2000 운경기홍
        • 1905-1998 일옹혜각
        • 1906-2003 고송종협
        • 1907-1989 월하 김달진
        • 1907-1984 무불성관
        • 1907-1987 영암임성
        • 1907-1987 영월상기
        • 1908-1991 제봉동률
        • 1909-1983 구산수련
        • 1909-1989 성운지효
        • 1909-2004 석주정일
        • 1909-2006 만봉자성
        • 1909-1975 봉암대희
        • 백하청호
        • 옛날샘플
      • 1910
        • 1910-2011 도천도천
        • 1910-2004 관응지수
        • 자운성우 1911-1992
        • 도연 1911-
        • 1911-1973 지월병안
        • 1911-1987 석암혜수
        • 1912-1993 퇴옹성철
        • 1912-1971 포산혜천
        • 1912 석영제선
        • 1912-2003 서옹석호
        • 1912-1971 청우경운
        • 1913-1983 탄허택성
        • 1913-1997 성림월산
        • 1914-1996 일붕회암
        • 1915-1989 서산보경
        • 1915-2003 노천월하
        • 1916-1997 도림장일
        • 1917-1979 학월경산
        • 1917-2003 서암홍근
        • 1917-2004 신천경희
        • 1919-1998 혜춘
        • 1919-2005 영공도성
        • 1919-2015 지봉석산
      • 1920
        • 1920-2001 혜암성관
        • 1921-1997 진제도원
        • 1921-2012 효일범행
        • 1922-1983 만화희찬
        • 1922-1984 이산도광
        • 1922-1991 취담일현
        • 1923-1985 보봉대현
        • 1923-2003 무주청화
        • 1923-2012 활산성수
        • 1924-2001 덕진여환
        • 1924-2005 벽암동일
        • 1924-2004 덕산
        • 1925-2013 금성도견
        • 1925-2014 도림법전
        • 1925 애산송월
        • 1926-2008 원담진성
        • 1927-1999 금하광덕
        • 1927-2004 숭산행원
        • 1927-2004 법전
        • 1927 송담정은
        • 1928-1999 동곡일타
        • 1928-2012 해봉석정
        • 1928-2017 영허녹원
        • 1929-2007 무아상륜
        • 1929-2023 월운해룡
        • 1928-2019 범일보성
        • 1922-2012 수산지종
      • 1930
        • 1930-2000 진공탄성
        • 1931 경해법인
        • 1931-2008 금산지원
        • 1931-2025 도연법흥
        • 1931-2003 고봉혜웅
        • 1931 영상경희
        • 1932-2010 법정
        • 1932-2012 가산지관
        • 1932-1977 정호성준
        • 1932-2013 혜명무진장
        • 1932 우룡종한
        • 1932-2018 설악무산
        • 1933-2011 원파혜정
        • 1933-2021 고산혜원
        • 1934-2004 남산정일
        • 1934-2020 지흥백운
        • 1934 진제법원
        • 1934 부림밀운
        • 1935-2013 무지월성
        • 1935-2021 태공월주
        • 1935 불심도문
        • 1937-2003 월암정대
        • 1937-2021 은암고우
        • 1937-2022 미룡월탄
        • 1937-2025 봉안효경
        • 1937 정진
        • 1938-2020 망우봉주
        • 1939-1998 동광명진
        • 1939-2001 동주벽파
        • 1939 중봉성파
        • 1931-2018 호암인환
      • 1940
        • 1940-2013 제월통광
        • 1941-2005 인곡법장
        • 1941-2023 나가성타
        • 1941-2021 원경성진
        • 1943-2016 포산혜인
        • 1943 달하우송
        • 1941 보광성주
        • 1943 무봉성우
        • 1944 송원설정
        • 1944 증산혜거
        • 1945 수업
        • 1945 황산혜총
        • 1947 벽산원각
        • 1947 두산일면
        • 1948-2024 대궁종상
        • 1948 허허지명
        • 1949-2024 남은현봉
        • 1949-2019 승욱
        • 1946 학봉지선
      • 1950
        • 1950 명진
        • 1952 임대
        • 1953 수불
        • 1954-2023 해봉자승
        • 1957 지엄경성
      • 1960
        • 1961-2020 진효
        • 1962 자운정묵
        • 1962 자용
        • 1963-2017 원종
        • 1963 비산주경
        • 1964-2025 취암만당
        • 1967-2014 성안
      • 혜원
      • ?-1996 금담도광
      • 호산
      • 벽담학명
      • 삭제
      • 원타
      • 경선응석
      • 수룡기전
      • 화적두일
⟨⟨ 사
향산대비보살전香山大悲菩薩傳
INFORMATION
북송(원부, 元符 2년, 1099년)에 한림학사 장지기(蔣之奇)가 들은 것을 비석으로 남긴 것이다. 비석은 당대 남산종(南山宗) 조사인 도선율사(道宣律師, 596~667)의 구술을 기록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현재 보풍현에 있는 ‘향산시방대보문선사(香山十方大普門禪寺)’에 있다.

중국고전과 문학치유 ① 中 관음보살 “구제·자비의 여성” (불교신문 2019-02-15)
汝州香山大悲菩薩傳
汝州香山大悲菩薩傳通義大夫, 同知樞密院事, 戈陽郡 開國公, 食邑二千戶, 食實封 三百戶 蔣之奇가 撰하다.翰林學士, 承旨, 中大夫, 知制誥兼 侍讀, 修國史, 上柱國, 食邑 一千二百戶, 食實封 二百戶 蔡京이 쓰다.
如是我聞. 道宣律師在長安終南山靈感寺行道. 律師宿植德本淨修梵行, 感致天神, 給侍左右. 師一日問天神曰, "我聞觀音大士於此土有緣, 不審靈蹤顯發何地最勝.ˮ 天神曰, "觀音示現無方, 而肉身降跡, 惟香山因緣最爲勝妙.ˮ 師曰, "香山今在何所?”"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道宣律師는 長安 終南山 靈感寺에서 도를 닦았다. 율사는 평소 덕을 근본으로 세우고 불교의 범행을 닦아 천신을 감동시켜 좌우에서 봉양하였다. 
율사가 하루는 천신에게 물었다."내가 듣건대 관음대사께서 이 땅에 인연이 있다고 하는데, 그 신령한 모습을 어느 곳에서 가장 잘 발현하는지 알지 못하오.ˮ
천신이 말하였다."관음대사가 나타나는 곳은 정해진 바가 없으나, 육신의 종적으로는 향산에서의 인연이 가장 신묘합니다.ˮ
그러자 율사가 말하였다. "향산은 지금의 어디인가?ˮ
天神曰,"嵩嶽之南二百餘里, 有三山並列, 其中爲香山, 即菩薩成道之地. 山之東北, 乃往過去有國王名莊王, 有夫人名寶德, 王心信邪, 不重三寶. 王無太子, 惟有三女. 大者妙顏, 次者妙音, 小者妙善. 三女之中, 二女已嫁. 惟第三者, 資稟絶異, 方娠之夕, 夫人夢呑明月, 及將誕育, 六種震動, 異香滿宮, 光照內外. 國人駭異, 謂宮中有火. 是夕降生, 不洗而淨, 梵相端嚴, 五色祥雲覆蓋其上, 國人皆曰, "我國殆有聖人出世乎!ˮ 父王奇之, 名曰妙善. 及長, 進止容儀超然拔俗, 植性柔懿, 宅心慈惠, 常服垢衣, 不事華飾, 日止一食, 不茹葷辛, 非時不言, 言必勸戒, 多談因果, 無常幻妄. 宮中號爲佛心, 從其訓者皆獲迁(遷)善, 齋潔修行, 靡有退志.
천신이 말하였다.(이하는 천신의 구술)"숭악의 남쪽으로 이백 여리에 산 세 개가 늘어서 있는데, 그 가운데 있는 산이 향산입니다. 바로 관음보살께서 도를 이룬 곳입니다. 산의 동북쪽에 오랜 옛날 어떤 나라가 있었는데, 그 나라의 왕은 장왕이며, 부인의 이름은 보덕이었습니다. 왕은 사악한 것을 믿고 佛, 法, 僧의 三寶를 중시하지 않았습니다. 왕에게는 태자가 없고 딸만 셋을 두었는데, 첫째가 妙顔, 둘째가 妙音, 셋째가 妙善입니다. 세 딸 중에 둘은 일찍이 시집을 갔고, 셋째만 남았는데 천성이 남달랐습니다. 어머니 보덕이 임신한 날 밤, 부인은 꿈에서 밝은 달을 삼켰고, 셋째가 태어날 때에는 六種震動(상서로운 일이 있을 때 대지가 動ㆍ起ㆍ踊ㆍ振ㆍ吼ㆍ擊로 진동하는 것)이 일어났으며 기이한 향기가 궁을 가득 채우고 안팎으로 빛이 비추었습니다. 나라 사람들은 깜짝 놀라 이를 이상하게 여겨 궁궐에 불이 났다고 여겼습니다. 셋째가 바로 이날 저녁에 태어났는데 씻기지 않아도 깨끗하였고 불보살처럼 단정하고 장엄한 모습(梵相)이었으며, 오색의 상서로운 구름이 그 위를 덮었습니다. 그러자 백성들이 모두 "우리나라에 성인이 나신 것이 아닌가.ˮ라고 하였습니다. 부왕도 그를 기이하게 여겼고 이 셋째의 이름을 묘선이라 하였습니다.자라면서 행동거지와 의용이 출중하여 범속을 벗어났고, 타고난 품성이 깊고 온유하였으며, 마음가짐이 인자하고 온화하였습니다. 그리고 늘 해진 옷을 걸치고 화려하게 꾸미지 않았습니다. 하루에 한 끼만을 먹고 고기와 오신채를 먹지도 않았습니다. 때가 아니면 말하지 않고 말을 하면 반드시 권고하고 타이르는 말을 하였으며, 주로 인과와 무상과 환망에 대해 말하였으니, 궁중에서는 불심이라 불렀습니다. 그 가르침을 따르는 자는 모두 개과천선하여, 재계하고 정결하게 수행하여 조금도 물러서는 바가 없었습니다.
王聞之, 謂夫人曰,"小女好善, 在宮中教我嬪御皆修道行, 不事華飾, 頗近怪妄, 爲之奈何!ˮ 夫人曰, "大王何憂? 亟與嫁之, 令自擇婿.ˮ 王聞語已, 即謂女曰, "汝今已長, 當遵吾教, 毋在後宮惑亂嬪嬙. 汝父有國, 不喜此事, 我與汝母爲汝納婿. 汝自今已往, 當依正道, 勿學邪法, 壞吾國風.ˮ 妙善聞父王勑, 微笑答曰, "父王見愛河浪闊, 苦海波深, 富貴不能長久, 榮華殆如泡電, 無常忽至, 無以支捂, 豈貪一世之樂而沉萬劫之苦. 兒念此事, 深生厭離, 志求出家, 修行學道, 成佛菩提, 報父母恩, 拔衆生苦. 若令下嫁, 兒不敢從, 願垂哀察.ˮ 父王聞語, 謂夫人曰, "小女不聽吾言.ˮ 夫人曰, "王尙自寬.ˮ 即召女, 勉諭之. 女曰, "母何苦令兒出嫁, 若能免三種患者, 當從母命.ˮ 母曰. "何爲三患?ˮ
왕이 이를 듣고 부인에게 말했습니다."막내딸이 선행을 좋아하여 궁중에서 나의 비빈과 측근들이 모두 수행하게 가르치고, 그 아이는 화려한 장식도 하지 않고 있소. 자못 괴상하고 망측하니 이를 어찌해야 한단 말이오!ˮ
부인이 말했습니다."대왕께서는 무엇을 걱정하십니까? 서둘러 시집을 보내게, 스스로 낭군을 고르게 하시지요.ˮ
왕이 이 말을 듣고 딸에게 말했습니다."너도 이제 장성하였으니 내 가르침을 따라 후궁에서 비빈들을 미혹시키지 말아야 하느니라. 네 아비와 나라는, 이러한 일을 기뻐하지 않느니라. 나는 네 어미와 너를 위해 사위를 들이기로 하였다. 너는 오늘부터 마땅히 바른 도에 의지하고, 사법을 배워 내 나라의 풍속을 해쳐서는 안 되느니라.ˮ
묘선은 부왕의 칙명을 듣고 미소를 띠고 대답했습니다."부왕께서도 애욕의 강의 넓은 물결과 고해의 깊은 파도를 보셨을 것이옵니다. 부귀는 장구한 것이 아니며, 영화도 물거품이나 번개와 같아, 무상이 문득 닥치면, 지탱할 수 없으니, 어찌 한 생의 즐거움에 탐닉하여 만겁의 고통으로 빠지겠습니까! 소녀는 이 일을 생각하며, 싫어하고 버리고 싶은(厭離) 마음이 깊이 생겨나 내어, 출가하여 수행하고 도를 배워, 부처의 지혜를 이루어, 부모님의 은혜에 보답하며 중생들의 고를 벗어나게 하고자 합니다. 소녀에게 시집가라 명하셔도 감히 따르지 않을 것이오니, 원컨대 불쌍히 여기시고 살펴주시옵소서.ˮ
부왕은 이 말을 듣고 부인에게 말했습니다."막내딸이 내 말을 듣지 않소.ˮ
부인이 말했습니다."왕께서는 마음을 누그러뜨리십시오.ˮ
이에 부인은 묘선을 불러 타이르며 권유했습니다.딸은 말했습니다."어머니는 무엇 때문에 소녀를 시집가라 하명하십니까? 만약 세 가지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어머니의 명을 따를 것입니다.ˮ
어머니가 말했습니다."세 가지 재앙이 무엇이더냐?ˮ
女曰, "一者世人少時面如珂月, 及老且至(髮)白面皱, 行住坐臥, 百不如少. 二者世人支體康強(强), 步武若飛, 及一病至臥于床褥, 四大不遂, 無一可喜. 三者世人姻戚集會, 骨肉滿前, 一旦無常且至, 雖父子至親, 不能相代. 此三種患婿能爲免, 兒即嫁之, 若不能者, 兒誓不嫁. 兒愍世人墮於此苦, 若欲免者, 除有佛門志願出家 冀修行得果, 爲一切人免此過患, 是故發心, 兾從兒願!ˮ 夫人聞已, 遂以女言聞王. 王愈益怒, 擯女後園茅茨之下, 絕其膳飲, 宮中嬪御, 不令親近. 母夫人哀思, 乃密令宮人饋致飮食. 王曰, "吾見貶在後園, 猶不畏死, 遂不食. 可携妙顏妙音二姉往視之, 且(勸)其回心, 即父子相見. 不然, 即從餓死.ˮ 
딸이 말했습니다."첫째, 세상 사람들은 어렸을 때는 얼굴이 옥과 같이 밝았다가, 나이 들면 머리칼은 희어지고 얼굴에는 주름이 생기며, 다니고 머물고 앉고 눕는 것이 분명 어렸을 때보다 못한 것 것입니다. 둘째, 세상 사람들은 몸이 건강할 때는 나는 듯이 가볍게 걷다가 병에 걸려 요에 눕게 되면 四大(地水火風)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 기뻐할 일이 한 가지도 없다는 것입니다. 셋째, 세상 사람들은 인척이 모여 혈육들이 눈앞에 가득하다가도, 하루아침에 무상함에 이르게 되면, 비록 부자지간의 혈육 일지라도 대신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제 낭군 될 사람이 이 세 가지 재앙들을 피할 수 있다면 소녀는 그분께 시집갈 것입니다. 하지만 그럴 수 없다면 소녀는 맹세코 시집가지 않을 것입니다. 소녀는 세상 사람들이 이와 같은 고에 떨어지는 것을 가엾게 생각합니다. 이를 면하고자 한다면 佛門에 뜻을 두어 출가를 발원하는 것 외에 있겠습니까? 바라옵건대 수행하여 정과를 얻어서, 일체의 사람들이 이러한 과오와 환난을 면하게 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발심하였으니, 소녀의 원대로 따라주시기 바라옵니다.ˮ
부인이 듣고 나서 딸의 말을 왕에게 고하였습니다. 왕은 더욱 분노하여, 딸을 후원의 초가집 아래에 버렸습니다. 음식을 끊게 하고, 궁중의 비빈들에게 가까이가지 못하게 하였습니다. 어머니는 슬퍼하며 비밀리에 궁인을 시켜 음식을 가져다주었습니다.
왕이 말했습니다."내가 막내딸을 후원으로 내쳤음에도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먹지도 않는구료. 묘안과 묘음 두 언니들을 보내어 살피게 해주겠소. 그 아이가 마음을 돌린다면 서로 만나게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굶어 죽도록 두겠소.ˮ
夫人乃與二女及宮嬪御侍往至後園, 見彼妙善疑然端坐, 不顧其母. 夫人前抱持大哭曰, "自汝離宮, 我兩目將枯, 肝腸碎裂, 令母如此, 汝復何安? 汝父在宮, 爲汝憂撓(擾), 累日不朝, 國事不治, 令我與妙顏妙音俱來勸汝. 汝念汝父, 回思遷慮, 在家出家, 如此修行, 豈非善事?ˮ 女曰, "兒在此無苦, 父母何至如此, 一切世間恩情纏縛, 無有出期, 骨肉會合, 要必離散, 借使父母相守百歲, 無常且至, 要必一別. 母尙自寬, 幸有二姉虔侍, 須兒何益? 母自(歸)宮, 兒無退意.ˮ 妙顏妙音復前謂曰, "我妹居此, 甘忍艱辛, 欲求作佛, 汝(觀)今出家人作比丘尼者, 誰能放光動地, 成佛作祖, 上報親恩, 下度一切? 豈如以禮從人, 成其家室, 乃令父母憂惱如此!ˮ 
부인이 두 딸과 비빈 및 궁녀들과 함께 후원으로 갔으나 묘선은 의연하고 단정하게 앉아 모친을 돌아보지도 않았습니다. 
그러자 부인은 묘선을 부둥켜안고 대성통곡하며 말했습니다."네가 궁을 떠난 이후 어미는 두 눈이 마르고 애간장이 찢어지는구나. 어미를 이렇게 만들고 네가 또 어찌 편안할 수 있겠느냐? 네 아버지도 궁에 있으면서 너로 인해 마음이 어지러워 연일 정사를 돌보지 않고 국사를 다스리지 않으시고 어미와 네 언니들 묘안, 묘음이 모두에게 너를 타이르라 명령하셨느니라. 네가 부왕을 염려하여 마음을 돌리고 생각을 바꾸어 집에서 출가한 듯, 이와 같이 수행을 한다면, 이 어찌 좋은 일이 아니겠느냐?ˮ
딸이 말했습니다."소녀는 이곳에서 아무 고통이 없는데 부모님께서는 무엇 하러 이와 같이 하십니까? 일체 세간의 은혜와 정에 얽매이면, 헤어 나올 기약이 없고, 혈육이 모여 산다 해도 반드시 헤어지게 됩니다. 설령 부모님께서 백세토록 서로를 지킨다 한들 무상이 닥치면 반드시 이별하게 되옵니다. 어머니께는 그러므로 마음을 누그러뜨리시옵소서. 다행히도 두 언니가 공경하며 모시니 제가 무슨 도움이 되겠사옵니까? 어머니께서는 환궁하소서. 소녀는 물러날 뜻이 없습니다.ˮ
묘안과 묘음이 다시 묘선의 앞으로 와 말했습니다."우리 동생이 이곳에 머무르며 힘든 고생을 달게 인내하며, 도를 구하여 성불을 이루고자 하는구나. 너는 보아라, 지금 출가하여 비구니가 된 자들 중에 그 누가 빛을 내며 대지가 진동하게 성불하여 불조를 이루어, 위로는 부모의 은혜를 보답하고 아래로는 일체 중생을 제도하였느냐? 어찌 예법대로 순종하여 가정을 이루는 일로, 너는 이렇게 부모님을 힘들게 만드느냐?ˮ
妙善聞語, 謂二姉曰, "汝自貪著榮華, 恩愛纏縛, 趣目前之樂, 不知樂是苦因, 無常一到, 地獄門開, 從誰可免! 不可恃親辝(辭)之不去. 當此之時, 雖有夫婿, 能代汝乎? 二姉汝等各人有一生死, 且自省顧, 勿深(勸)我. 業證見前, 空悔無益, 汝(勸)夫人還宮, 爲奏父王, 虛空有盡, 我願無盡, 死生一決, 惟父王裁之.ˮ 妙顏妙音(歸)告其母曰, "妹不可(勸), 不若方便奏父, 聽其出家.ˮ夫人還, 具奏於王, 王益加怒. 爾時, 有比丘尼號曰惠眞, 王即召至, 謂曰, "朕小女妙善不循義禮, 堅祈出家, 無乃汝等謀誘我女, 朕將季女(權)寓汝舍, 期以七日, 諭(勸)吾女從吾教者, 朕當爲汝完飾精舍, 廣度尼衆. 不然將火汝居室, 滅汝徒衆, 靡有孑遺.ˮ 乃遣使將尼俱至後園, 令女隨尼往居尼舍, 尼衆五百迎女以入, 對像焚香.
묘선은 말을 듣고 두 언니에게 말했습니다."언니들은 부귀영화에 탐착하여, 은애에 얽매이며, 눈앞의 즐거움을 좇다보니 이 즐거움이 고통의 원인인 줄을 모르니, 무상함에 닥치면, 이별하고 가지 않을 거예요. 지옥문이 열릴 것이니, 누구를 좇아 피할 수 있겠어요! 혈육도 의지할 수 없으니 떠나버리고 가지 않을 거예요. 그때가 되면 남편이 있다한들 언니들을 대신할 수 있겠어요? 언니들도 각각 자신의 생사가 있으니 스스로를 돌아보고, 제게 이토록 깊이 타이르지 마세요. 業의 증거가 눈앞에 나타나면 부질없이 후회한들 아무 소용없을 거예요. 언니들은 어머니께 환궁하시라 말씀드리고 부왕께 아뢰어 주세요. 허공은 다함이 있으나 내 뜻은 끝이 없을 것이며, 저는 사생결단을 내렸으니, 부왕께서 판단하실 뿐이라고요.ˮ
묘안과 묘음이 돌아와 부인에게 고하였습니다."동생을 타이를 수 없었어요. 아버님께 아뢰어 출가하겠다는 묘선의 청을 들어주는 것이 좋겠어요.ˮ
부인이 환궁하여 부왕에게 모두 말하자, 왕이 더욱 노하였습니다. 그 때 惠眞이라는 비구니가 있었는데 왕이 그를 불러 말했습니다."짐에게 묘선이라는 막내딸이 있는데, 의례를 따르지 않고 출가하겠다는 뜻을 완강히 펼치고 있소. 그대가 내 여식을 회유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오. 짐이 막내딸을 그대의 거처에 7일 동안 머무르게 할 것이니, 내 여식이 내 가르침대로 따를 수 있게 타이르고 깨우쳐준다면, 짐이 그대의 절을 완벽하게 단장해주고 비구니들을 제도할 수 있게 해주겠소. 그렇지 않으면 그대의 거처에 불을 지르고 그대의 비구니 무리를 멸하여 한 명도 남지 않게 할 것이오.ˮ
그리고 사람을 보내 비구니를 함께 후원으로 가게 하여 묘선을 비구니를 따라 비구니의 거처로 가게하고, 비구니 오백 명이 여식을 맞이하여 들게 하고 불상을 마주하고 향을 피웠습니다. 
翌日, 尼衆謂妙善曰, "妙善生長王宮, 何苦自求寂寞, 不如還(歸)宮禁, 猶勝靜處伽藍.ˮ 妙善聞語, 微笑曰, "我本離內出家, 尋師訪道, 學修梵行, 望證佛果, 救度一切衆生. 今見汝輩如此智識, 令人輕賤, 汝是佛門弟子尙發此語, 何況俗士. 怪我父王憎惡汝輩, 不肯令我出家, 抑有由然. 豈不知圓頂方袍本爲何事? 夫出家者厭離榮華, 解脫情愛, 毁其形體, 壞其服色, 深惟病本, 自覺覺他, 方於出家有少分相應. 我佛世尊明有遺戒, 出家之人當自摩頂, 以捨飾好, 著壞色衣, 執持應器以乞自活. 如何汝輩皆事華靡, 舉止夭冶, 服飾華(鮮), 濫入佛門, 公破淨戒, 空受信施, 虛度光陰, 名曰出家, 身心染俗, 故我父王不敬三寶, 皆由汝等出家, 心不合道之所致也.ˮ
다음날, 비구니들이 묘선에게 말하였습니다."묘선은 왕궁에 태어나 자랐거늘 무엇 때문에 스스로 적막을 구하는지요? 궁으로 돌아가 갇히는 것보다 오히려 가람에 고요히 머무르는 것이 낫다고 여기는지요?ˮ
묘선이 이 말을 듣고 미소를 지으며 말했습니다."저는 본래 집을 떠나 출가하여, 스승을 찾아 도를 탐구하고 범행을 배우고 닦아 佛果를 證得하기를 바라고 모든 중생을 제도하기를 구하였습니다. 지금 스님들의 이와 같은 지식으로도, 사람을 가벼이 여기고, 여러분 같은 불문의 제자가 이와 같은 말씀을 하시니 하물며 俗人들은 어떻겠습니까! 이상하게도 제 부왕께서는 스님들을 증오하는 터라, 제가 출가하기를 바라지 않으시더니 이와 같은 연유가 있었습니다. 어찌하여 머리 깎고 가사를 입는 것이 본래 무슨 일인지를 어찌 모르십니까? 무릇 출가자들은 (부귀)영화를 떠나 정과 사랑을 해탈하여, 신체는 훼손하고(삭발하고), 복색을 허물고, 病本을 깊이 생각하여, 스스로 깨달고 타인을 깨닫게 해야, 무릇 출가에 조금이나마 상응하는 것이 있을 것입니다. 우리 부처님 세존께서 분명히 남기신 계가 있사오니, 출가한 사람들은 마땅히 스스로 정수리를 만져보고, 아름답게 꾸미는 일을 버리고, 색깔이 있는 옷을 입지 않고 바리때를 들고 걸식으로 살아가야 하는 것입니다. 어찌하여 스님들은 모두 화려한 것을 따르고, 행동거지가 요염하며, 복식은 화려하고, 불문에 함부로 들어가, 불법의 계율을 공공연히 타파하며, 신도들이 베푸는 헛된 재물을 받고, 부질없이 세월을 보내면서, 이를 출가라고 하며, 심신이 속세에 물들고 계십니까? 이런 연고로 부왕께서 삼보를 중히 여기지 않으신 것이니, 모두 그대들과 같은 이들이 출가하였기 때문이며, 마음이 도에 부합되지 않아 이러한 상황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ˮ
尼衆爲妙善訶責, 噤不能對. 爾時, 惠眞憂慮, 告妙善曰, "適尼衆諫妙善者, 稟王命也, 即叙王誡勑如前所陳, 控告妙善早爲回心, 救此尼衆, 免貽佛門禍難.ˮ 妙善曰, "汝豈不聞釋迦因地爲法忘軀, 甞(嘗)捨全身而求半偈. 萨埵太子投崖飼虎, 證無生果. 尸毗王割肉救鴿, 得超彼岸. 汝等既求出家, 當(觀)幻軀無常可厭, 四大假合本來非有. 念念離於輪廻, 心心求於解脫, 何得怖死愛生, 猶戀革囊腥穢! 豈不知障人出家, 萬劫受苦. 安違佛門利益, 甘受三途業報, 秖願王心, 兾脫一死. 汝但自安, 我得證果, 救汝輪廻, 勿用憂心.ˮ 尼衆聞言, 乃相與議曰, "妙善生於宮中, 不知外之艱難, 意謂出家快樂, 宜以勞辱苦之, 使知悔懼.ˮ
비구니들은 묘선의 책망을 듣고 입을 꾹 다물고 아무 말도 하지 못했습니다.
그때에 혜진은 근심 걱정으로 묘선에게 고하였습니다."이렇게 비구니 대중이 묘선에게 간하는 것은, 왕명을 받든 것입니다. 다시 말해 왕께서 명을 내리시어 방금 말씀드린 대로, 공주님을 타일러 묘선 공주님이 서둘러 마음을 돌리셨다 고하면, 이 비구니 대중을 구하고 불문의 禍亂을 면할 수 있다 하셨습니다.ˮ묘선이 말했습니다
"스님은 어찌 석가께서 전생에 과위에 따라 수행하셨을 때 爲法忘軀(법을 위해서는 몸을 잊는다) 하신 일을 듣지 못하셨습니까? 일찍이 온 몸을 돌보지 않고 반구의 偈誦을 구하셨고, 살타태자는 호랑이에게 먹이를 주고자 스스로 벼랑에서 몸을 던져 무생의 불과를 얻으셨습니다. 시비왕이 살을 떼어 비둘기를 구하셨기에 피안을 넘으신 것입니다. 스님들도 이미 출가하신 몸이시니, 마땅히 허망한 몸이 무상함을 관하여 싫어하며, 四大가 거짓으로 화합하여 본래 없는 것입니다. 윤회를 여읠 것을 생각하고 생각하며, 마음속으로는 해탈을 구해야 하온데, 어찌 죽음을 두려워하고 삶을 아끼면서, 오히려 가죽 주머니(신체)의 비린내에 연연하십니까! 어찌 출가하려는 자를 막으면 만겁의 고통을 겪는 다는 것을 모르신단 말입니까! 어찌 불문의 이익을 저버리고 三途(地獄ㆍ餓鬼ㆍ畜生)의 업보를 기꺼이 받으며, 다만 왕의 마음을 바라고, 한 번 죽음을 벗어나려만 하십니까! 여러분들 안심하세요. 제가 불과를 깨달아 그대들을 윤회에서 구해줄 것이니 근심하실 필요 없습니다.ˮ
비구니 대중은 말을 듣고 서로 의논하여 말했습니다."묘선이 궁중에서만 살아 세상살이의 어려움을 모르고, 출가의 즐거움을 말하고 있으니, 마땅히 수고롭고 욕되게 고생 하여,  나중에 후회하고 두려움을 알게 하여야겠습니다.ˮ
言已. 乃謂妙善曰, "既欲出家, 須辦得出家作務辛苦.ˮ 妙善曰, "諾二時齋供服勞. 先登庖廚作務, 他人不能者, 皆躬親之.ˮ 尼曰. "蔬圃無菜, 汝當供之, 計時必足, 不管闕供.ˮ 妙善入圃, 見菜蔬甚少, 乃念, ‘明日如何供衆得足?’ 方發念次, 伽藍龍神助以神力. 及旦, 園蔬靃靡,供用有餘. 尼衆又謂妙善曰, "供庖無水, 去寺西一二里, 取水甚勞, 奈何?ˮ 妙善神化, 於廚之左湧出一泉, 味甚甘美. 惠眞知其不凡, 能感龍神之助, 乃以奏王. 爾時, 父王乃大震怒, 謂左右曰, "朕之季女, 長習邪法, 斥置尼舍, 又爲妖妄, 禍亂於衆, 辱朕何多!ˮ (急)勑使臣, 擒往郊外, 斷頭以來. 使臣既至, 妙善聽命, 即謂尼衆, "汝等速避, 吾當受誅.ˮ
말을 마치고 묘선을 불러 말했습니다."이제 출가하기로 하였으니, 반드시 출가한 후에 일을 수고롭게 하셔야 합니다.ˮ
묘선이 말했습니다."하루 두 번 재식 공양을 모시며 힘써 일하고 있습니다. 먼저 부엌에 올라 일하고 있사오니 타인이 할 수 없는 것으로 직접 손에 익히고 있습니다.ˮ
비구니가 말했습니다."채소밭에 채소가 없지만, 공주님께서는 공양을 올려야 합니다. 시간을 맞추어 반드시 충족하여야 합니다. 공양하기에 부족한지는 상관하지 않겠습니다.ˮ
묘선이 채소밭에 가 채소가 매우 적은 것을 보고는 생각했지요.‘내일 어떻게 대중들 공양을 충족하지?’
이와 같은 생각을 내자마자 가람 용신이 신력으로 도움을 주었습니다. 아침이 되자 채소밭에 채소가 자라 공양에 쓰고도 남았습니다.
비구니 대중이 또 묘선을 불러 말했습니다."부엌 공양에 물이 없습니다. 절 서쪽으로 12리 떨어진 곳에서 물을 길어 와야 하니 몹시 힘들 것인데 어찌하시겠습니까?ˮ
묘선은 神化, 부엌 왼쪽에서 샘이 흘러나왔고, 그 맛이 매우 달고 좋았습니다. 비구니 혜진은 묘선이 범상치 않아, 용신이 감응하여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이를 왕에게 고하였습니다. 
이때 부왕은 크게 진노하여 좌우 신하들을 불러 말했습니다."짐의 막내딸이, 오래도록 삿된 법을 닦기에, 비구니 거처로 내쳤더니, 그곳에서 또 요망한 행동을 행하고,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니, 참으로 짐을 욕되게 하는구나!ˮ
급히 사신에게 명을 내려, 묘선을 잡아 교외로 가서, 머리를 베어 오라 하였습니다. 사신은 바로 묘선에게 갔고, 왕의 칙령을 들은 묘선은 비구니 대중에게 일렀습니다."스님들은 속히 피하시오. 내가 곧 참수될 것이니.ˮ
妙善乃出就死, 將嬰刃次, 龍山山神知妙善大(權)菩薩, 將證道果, 救度衆生, 無道父王誤將斬首. 以神通力天大暗冥, 暴風雷電, 攝取妙善置於山下. 使臣既失妙善所在, 馳奔奏王. 王復驚怒, 驅五百軍, 盡斬尼衆, 悉焚舍宇. 夫人王族莫不慟哭, 謂女已死, 欲救無及. 王謂夫人曰, "汝勿哀哭, 此少女者, 非我眷屬, 當是魔怪, 來生我家. 朕得除去妖魔, 甚可爲喜.ˮ 妙善既以神力攝至龍山之下, 環視無人, 即徐步登山. 忽聞腥穢, 又念山林幽寂, 安有斯氣? 山神化爲老人, 見妙善曰, "仁者欲往何所?ˮ 妙善曰, "我欲入此山修道.ˮ 老人曰, "此山之中乃(鱗介羽毛所居, 非仁者修行之地.ˮ 妙善曰, "此名何山?ˮ 曰, "龍山也. 龍居此山, 故以名之.ˮ "此去西嶺若何?ˮ 曰, "亦龍所居, 是故謂之小龍山. 惟二山之中有一小嶺, 號曰香山, 此處淸淨, 乃仁者修行之地.ˮ 妙善曰. "汝是何人, 指吾居處?ˮ 
묘선이 이에 죽으러 나가, 목을 매달고 칼로 베려할 때, 용산의 산신은 장차 묘선 대권보살이 道果(正果)를 證得해서, 중생을 구하고 제도할 자로, 무도한 부왕이 잘못 참수할 것을 알았습니다. 신통력으로 하늘을 어둡게 만들고 폭풍과 천둥 번개를 일으켜, 묘선을 용산 아래에 데려다 두었습니다. 관리들이 묘선의 소재지를 알 수 없게 되자 급히 달려가 장왕에게 아뢰었습니다. 왕이 다시 놀라 분노하여 오백 군사들을 이끌고 가, 비구니 무리를 모조리 참수하고, 도량을 모두 불태웠습니다. 부인과 왕족들 가운데 통곡하지 않는 자가 없었습니다. "딸이 이미 세상을 떠났으니 구하려 해도 어찌할 수가 없구나.ˮ라고 말하였습니다. 
왕이 부인에게 일러 말했습니다."그대는 통곡하지 마시오. 저 막내 여식은 우리 권속이 아니라, 마괴가 우리 집에 태어난 것일 뿐이오. 짐은 저 요마를 제거할 수 있어 매우 기쁘게 생각하오.ˮ
묘선은 신력의 도움으로 용산의 아래까지 와서, 주위를 둘러보았으나 사람이 없자, 걸어서 산에 올랐습니다. 그러다 문득 비릿한 냄새를 맡고 또 생각했습니다. ʻ산림이 이리 적막한데 어찌 이러한 기운이 있단 말인가?ʼ
산신이 노인으로 변하여 묘선을 보고 말했습니다."인자는 어디로 가려고 하시는가?ˮ
묘선이 말했습니다."저는 이 산에 들어와 수도하려 합니다.ˮ
그러자 노인이 말했습니다."이 산은 물고기와 털 짐승이 사는 곳이지, 그대 같은 이가 수행하는 곳이 아니라네.ˮ
묘선이 말했습니다."이 산의 이름이 어찌되옵니까?ˮ
노인이 말했습니다."용산이네. 용이 이 산에 머무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네.ˮ"여기에서 서쪽 고개를 넘으면 어떻습니까?ˮ
노인이 말했습니다."그 곳 또한 용이 머무는 곳이라 소용산이라 한다네. 소용산과 용산 가운데 향산이라는 작은 고개가 있는데, 청정한 지역이라 그대가 수행하기에 적합한 곳일 것이네.ˮ
그러자 묘선이 말했습니다."어르신께서는 누구시온데, 제게 머물 곳을 가르쳐 주시는 것이옵니까?ˮ
老人曰, "弟子非人也, 乃此山神. 仁者將證道果, 弟子誓當守護.ˮ 言訖不見. 妙善乃入香山, 登頂四望, (闃)無人蹤, 即自念言, "此處是吾化緣之地.ˮ 故就山頂葺宇修行, 草衣木食, 人莫知之, 已三年矣. 爾時, 父王以是罪業故, 感迦摩羅疾, 徧於膚體, 寢息無安, 竭國妙醫不能救療. 夫人王族夙夜憂念. 一日, 有異僧立於內前, 曰, "吾有神方, 可療王病.ˮ 左右聞語,(急)以奏王. 王聞, 召僧入內. 僧奏, "貧道有藥救王疾病.ˮ 王曰, "汝有何藥, 可治吾病?ˮ 僧曰, "貧道有方, 應用兩種大藥.ˮ 王曰. "如何?ˮ 僧曰, "用無(瞋)人手眼, 可成此藥.ˮ 王曰, "汝毋戱論, 取人手眼, 寧不瞋乎?ˮ 僧曰, "王國有之.ˮ 王曰, "今在何處?ˮ 僧曰, "王國西南有山, 號曰香山, 絕頂有仙人修行功著, 人無知者, 此人無瞋.ˮ 王曰, "如何可得其手眼?ˮ 僧曰, "他人莫求, 惟王可得. 此仙人者, 過去與王有大因緣, 得其手眼, 王之此疾立愈無疑.ˮ 王聞之, 乃焚香禱告曰, "朕之大病果獲痊平, 願此仙人施我手眼, 無所吝惜.ˮ 
노인이 말했다."저는 사람이 아닙니다. 이 산의 산신으로, 인자는 장차 불도와 불과를 깨닫게 될 분이니, 제자는 그대를 수호할 것을 서원합니다.ˮ
말을 마치자 어디론가 사라졌습니다.이에 묘선은 향산으로 들어가 정상에 올라 사방을 바라보고 고요한 가운데 인적이 없자 혼잣말을 했습니다.ʻ이곳이 바로 내가 중생을 교화할 인연이 있는 곳이로구나.ʼ
그리하여 산 정상에 집을 짓고 수행하며, 풀로 옷을 지어 입고 나무로 끼니를 때우며 살았습니다. 그렇게 사람들 모르게 지낸지 3년이 흘렀습니다. 이때에 부왕은 그간의 죄업으로 인해 가마라질이란 걸려, 온몸 피부에 퍼져, 쉬거나 잠을 잘 때도 편한 적이 없었으나, 온 나라의 신묘한 의사도 그 병을 낫게 할 수 없었습니다. 부인과 왕족들은 밤낮으로 걱정하였습니다. 
하루는 異僧이 대궐 앞에 서서 말하였습니다."내게 신묘한 방법이 있어 왕의 병을 낫게 할 수 있습니다.ˮ
이 말을 들은 신하들이 급히 왕에게 아뢰었고, 왕은 이 말을 듣고 궁궐 안으로 스님을 불러들였습니다. 
스님이 말했습니다."빈도에게 왕을 질병에서 구해드릴 약이 있사옵니다.ˮ
왕이 말했습니다."그대가 어떤 약을 가지고 있기에 짐의 병을 고칠 수 있단 말이오?ˮ
그러자 스님이 말했습니다."빈도에게 방법이 있습니다. 두 가지 약을 써야합니다.ˮ
왕이 말했습니다."무엇이오?ˮ
스님이 말했습니다."화를 낸 적이 없는 사람의 눈과 손으로 이 약을 만들 수 있습니다.ˮ
왕이 말했습니다."그대는 허튼 소리 마시오. 사람의 눈과 손을 취해야하고, 화를 내지 않은 것이라니?ˮ
스님이 말했습니다."왕국에 있사옵니다.ˮ
왕이 말했습니다. "이제 그럼 어디에 있소?ˮ
스님이 말했습니다."왕의 나라 서남쪽에 산이 하나 있는데, 이를 향산이라 부릅니다. 그 산 정상에 수행하여 공적을 이룬 선인이 하나 있습니다. 사람들 가운데 아는 자는 없지만, 이 사람은 화를 내지 않습니다.ˮ
그러자 왕이 말했습니다."어떻게 그의 손과 눈을 얻을 수 있겠소?ˮ
스님이 말했습니다."다른 사람은 구할 수 없지만 왕께서는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선인은 과거 왕과 깊은 인연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의 손과 눈을 얻으면 왕의 이 병은 틀림없이 곧바로 나아질 것입니다.ˮ
왕이 그 말을 듣고는, 곧바로 향을 피우고 기도를 올리며 고하였습니다."짐의 큰 병이 다 나아 회복하도록, 이 선인이 내게 손과 눈을 보시함에 전혀 아낌이 없게 해 주십시오.ˮ
禱已, 即令使臣持香入山. 使臣至, 已見茅庵中有一仙人, 身相端嚴. 跌坐而坐. 即焚妙香, 宣王勑命, 曰, "國王爲患迦摩羅疾, 及今三年, 竭國神醫妙藥, 莫能治者. 有僧進方, 用無瞋人手眼乃可成藥. 今者竊聞仙人修行功著, 諒必無瞋, 敢高仙人, 求乞手眼救王之病.ˮ 使臣再拜. 妙善思念, "我之父王, 不敬三寶, 毁滅佛法, 焚燒刹宇, 誅斬尼衆, 招此疾報, 吾將手眼以救王厄.ˮ 既致念已, 謂使臣曰, "汝之國王膺此惡疾, 當是不信三寶所致. 吾將手眼以充王藥, 惟願藥病相應, 除王惡疾, 王當發心(歸)向三寶, 乃得痊愈.ˮ 言訖, 以刀自抉兩眼, 復令使臣斷其兩手. 爾時, 遍山震動, 虛空有聲, 贊曰, "希有! 希有! 能救衆生, 行此世間難行之事.ˮ 使臣大怖, 仙人曰, "勿怖! 勿怖! 持我手眼還報於王, 記吾所言.ˮ 使臣受之, 還以奏王. 王得手眼深生慙愧, 令僧合藥, 王乃服之, 未及旬日, 王病悉愈. 王及夫人, 戚里臣庶, 下逮國人, 皆生歡喜.
기도를 마치고 나서 바로 사신에게 향을 들고 산에 들어가게 하였다. 사신이 산에 도착하자마자 초가집에 한 선인이 보였는데, 모습이 단정하고 엄숙하며, 결가부좌로 앉아 있었습니다. 즉시 妙香을 올리고 왕의 칙명을 밝히며 말하였습니다.
"국왕께서 迦摩羅疾이라는 병에 걸린 지 올해로 3년이 되었습니다. 온 나라의 신의나 묘약을 다 써 보아도 치료할 수가 없었습니다. 한 스님이 처방을 내었는데, 화를 낸 적이 없는 사람의 손과 눈으로 약을 만들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지금 듣기로 선인께서는 도를 닦아 공적을 이루셨다 하니 필시 화를 낸 적이 없는 분일 것이라 믿습니다. 감히 고귀하신 선인께 손과 눈을 구하여 왕의 병을 치료하고자 하나이다.ˮ
사신은 두 번 절을 올렸습니다. 묘선은 생각했습니다.ʻ나의 부왕께서 三寶(佛ㆍ法ㆍ僧)를 중히 여기지 않고, 불법을 훼멸하고, 절을 불태우고, 비구니 대중을 참수하여 이러한 질병을 초래하였구나. 내 이제 손과 눈으로 부왕의 재액을 구해야겠다.ʼ
이런 생각을 하고 나서, 사신에게 말했습니다."그대의 국왕이 이런 악질에 걸린 것은 분명 三寶를 중히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오. 내 손과 눈으로 왕께 약을 지어드릴 것이니, 원컨대 약이 병에 잘 맞아 악질을 제거하길 바라오. 왕께서 발심하여 삼보를 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지신다면 병이 완전히 나을 수 있을 것이오.ˮ
말을 마치고는 스스로 두 눈을 칼로 도려내고 사신에게 자신의 양 손을 자르게 하였습니다. 그때 온 산이 진동하더니 허공에서 贊하는 소리가 들려왔습니다."희유하도다! 희유하도다! 중생을 구하고자 이 세상에서 어려운 일을 행하였구나!ˮ
사신이 크게 두려워하자 선인이 말했습니다."두려워 마오! 두려워 마오! 내 눈과 손을 가지고 돌아가 왕께 보고할 때 내가 한 모든 말을 기억하시오.ˮ
사신이 선인의 눈과 손을 받들고 돌아가 왕에게 아뢰었습니다. 왕은 눈과 손을 얻고는 깊이 부끄러워 참회하며, 스님에게 약을 짓게 하였고, 왕이 복용하고 열흘이 되기도 전에 왕의 병은 씻은 듯이 나았습니다. 왕과 부인, 왕족, 신하, 아래로는 백성들에 이르기까지 모두 기뻐하였습니다.
王乃召僧供養, 謝曰, "朕之大病, 非師莫救.ˮ 僧曰, "非貧道之力. 王無仙人手眼, 豈得愈乎? 王當入山供謝仙人.ˮ 言訖不見. 王大驚, 合掌曰, "朕之薄緣, 乃感聖僧來救.ˮ 遂勑左右, "朕以翌日往詣香山, 供謝仙人.ˮ 明日, 王與夫人二女宮族嚴駕出城, 來入香山. 至仙人庵所, 廣陳妙供. 王焚香致謝曰, "朕嬰此惡疾, 非仙人手眼難以痊除, 故朕今日親携骨肉來詣山中供謝仙人.ˮ 王與夫人宮嬪皆前瞻覩, 仙人無有手眼, 深生哀念, 以仙人身不完具由王所致. 夫人審問瞻相, 謂王曰, "觀仙人形相, 頗類我女.ˮ 言訖, 不覺哽噎, 涕淚悲泣. 仙人忽言曰, "阿母夫人勿憶妙善, 我身是也. 父王惡疾, 兒捧手眼上報王恩.ˮ 王與夫人聞是語已, 抱持大哭, 哀慟天地,
왕이 그 이승을 불러 공양하며 감사하며 말했습니다."짐의 큰 병은 법사가 아니면 고치지 못했을 것이오.ˮ
스님이 말했습니다."빈도의 힘이 아니옵니다. 왕께서 선인의 눈과 손이 없었다면 어찌 나을 수 있었겠습니까? 왕께서는 산에 가셔서 선인에게 공양하고 사례를 하셔야 하옵니다.ˮ
이 말을 하고는 어디론가 사라졌습니다. 왕이 크게 놀라고 합장하며 말하였습니다."짐이 인연이 박하였으니, 고승께서 감응하여 구해주러 왔었구나.ˮ
이에 좌우에 칙령을 내렸습니다."내일 짐은 향산으로 가서 선인에게 공양하고 사례를 할 것이다.ˮ
다음날, 왕은 부인과 두 딸, 왕족들과 함께 가마를 정비하고 성을 나서, 향산에 들어갔습니다. 선인의 암자에 다다라, 널리 妙供을 펼쳐놓았습니다. 왕이 향을 태우고 사례하며 말했습니다."짐은 이 악질에 걸려, 선인의 눈과 손이 아니었다면 고치기 어려웠을 것이오. 하여 짐은 오늘 직접 혈육을 이끌고 이렇게 향산에 와서 선인에게 공양하고 사례하고자 하오.ˮ
왕과 부인, 비빈들이 모두 앞을 보자, 선인은 눈과 손이 없어, 모두 깊은 슬픔이 생겨 생각하길, 선인의 몸이 온전하지 않은 것이 왕으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부인이 자세히 묻고 그 상을 살펴보고는 왕에게 말했습니다.
"선인의 외모를 보니 막내딸과 무척 닮았습니다.ˮ그렇게 말하고는 자기도 모르게 목이 메여 흐느껴 슬피 울었습니다. 
그러자 선인이 갑자기 말했습니다."어머니께서는 묘선을 그리워하지 마시옵소서. 제가 바로 묘선입니다. 부왕께서 악질에 걸리셨다하여 소녀 손과 눈으로 아버님의 은혜에 보답한 것이옵니다.ˮ
묘선이 말을 마치자 왕과 부인이 서로 끌어안고 대성통곡하며 사방 천지 모든 사람들을 애통하게 하였습니다.
曰, "朕之無道, 乃令我女手眼不全, 受兹痛楚, 朕將以舌舐兒兩眼, 續兒兩手. 願天地神靈, 令兒枯眼重生, 斷臂復完.ˮ 王發願已, 口未至眼, 忽失妙善所在. 爾時, 天地震動, 光明照耀, 祥雲周覆, 天(鼓)發響, 乃見千手千眼大悲觀音身相端嚴, 光明晃耀, 巍巍堂堂, 如星中月. 王與夫人宮嬪覩菩薩形相, 擧身自撲,撫膺號慟, 揚聲懺悔. "弟子肉眼不識聖人, 惡業障心, 願垂救護, 以免前懲. 弟子從今往回向三寶, 重興佛刹,願菩薩慈悲, 還復本體,令我供養.ˮ 須臾, 仙人復還本身, 手眼完具, 跌坐合掌, 儼然而化, 如入禪定. 王與夫人焚香發願, "弟子供辦香薪, 闍維聖體, 還宮造塔, (永永)供養.ˮ
왕이 말했습니다."짐이 무도하여 내 여식의 눈과 손을 온전치 못하게 하고 이러한 고통을 받게 하였도다. 짐은 혀로 아첨하여 딸자식의 두 눈과 부족하여 두 손까지 받았구나. 천지신령께 비나이나. 제 딸자식의 눈이 다시 생겨나게 해주시고 잘린 손도 다시 온전하게 해주옵소서.ˮ왕이 발원을 마치자, 눈 깜짝할 사이에, 갑자기 묘선이 사라져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때 천지가 진동하고 광명이 비추며 상서로운 구름이 온 사방을 덮고 천둥이 울렸습니다. 이어 천수천안 대비관음의 장엄한 상이 보였습니다. 밝은 빛이 눈부시게 빛나고 크고 높아 웅대한 모습이 마치 무수한 별 가운데 있는 달과 같았습니다. 왕과 부인, 비빈들은 보살의 형상을 보고 몸을 일으켜 스스로를 치고, 가슴을 문지르며 큰소리로 울부짖어, 소리 높여 참회하였습니다. 
"제자는 육안으로 성인을 알아보지 못하였고, 악업이 마음을 장애하였으니, 구호를 베풀어 이전의 징벌을 면하게 되기를 기원합니다. 제자는 이후로 삼보에 회향하고 사찰을 중흥할 것입니다. 원컨대 보살의 대자대비로 다시 본래의 몸을 회복시켜 제가 공양할 수 있기 발원합니다.ˮ
잠시 후 선인이 다시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왔는데, 천개의 눈이 온전하게 갖추어지고, 자리에 앉아 합장을 한 채로 장엄하게 열반에 들었는데, 마치 선정에 든 것 같았습니다.
왕과 부인은 향을 피우며 발원하였습니다."제자는 香薪(향땔나무)를 준비하여 聖體를 茶毗(闍維)하고, 환궁하여 탑을 만들어 길이길이 공양하겠습니다.ˮ
王發願已, 乃以種種淨香圍遶靈軀, 投火然之. 香薪已盡, 靈軀屹然擧之不動. 王又發願, "必是菩薩不肯離於此地, 欲令一切衆生見聞供養.ˮ 如是言已, 與夫人舁之, 即時輕擧. 王乃恭置內菩薩眞身, 外營寶塔莊嚴, 葬于山頂庵基之下, 與宮眷在山守護, 晝夜不寢. 久乃(歸)國, 重建梵宇, 増度僧尼, 敬奉三寶, 出內庫財, 於香山建塔十三層, 以覆菩薩眞身. "弟子蒙師問及菩薩靈蹤, 畧述大旨, 若夫菩薩微密應化, 非弟子所知.ˮ

왕이 발원을 마치고 여러 가지의 淨香으로 靈柩를 에워싸고 불을 놓아 다비 하였습니다. 향신이 다 탔음에도 영구는 우뚝 솟은 채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왕이 또 발원하였습니다.

"필시 보살께서 이 땅을 떠나지 않으시려는 게로구나. 일체 중생들이 보고 듣고 공양하게 하려하심이다.ˮ

이와 같이 말을 마치고, 부인과 성체를 메자 바로 가볍게 들렸습니다. 이에 왕은 보살의 진신을 안에 모셔두고, 밖에 장엄하게 보탑을 만들고 산 정상 암자 아래에 장례를 치르고는 후비들과 함께 산에서 지키며 하루 종일 잠도 자지 않았습니다. 오랜 시간이 지나고 귀국하여 사찰을 중건하고 스님가 수를 늘렸으며, 삼보를 삼가 받들고, 국고의 재물로 향산에 13층의 탑을 지어 보살의 진신을 덮었습니다.

제자(천신)는 스님께서 보살님의 영험한 종적을 여쭈어 큰 뜻을 약술하였으나, 보살께서 중생 구제를 위해 은밀히 應化하신 것은 제자도 아는 바가 없습니다.ˮ

律師又問, "香山寶塔, 今復如何?ˮ 天神曰, "塔久已廢, 今但土浮屠而已, 人無知者. 聖人示跡, 興廢有時, 後三百年當重興爾!ˮ 律師聞已, 合掌贊曰, "觀音大士神力如是, 非菩薩悲願廣大, 莫能顯其跡, 非彼土衆生緣熟, 不能感其應, 巍巍乎功德無量, 不可得而思議.ˮ 乃命弟子義常誌之, 庶傳之不朽云耳!
율사가 또 물었다."향산 보탑은 지금은 다시 어찌 되었는지?ˮ
천신이 말했다."보탑은 오래 전에 이미 없어졌고, 지금은 부도만이 남아 있을 뿐이며, 이를 아는 사람들은 없습니다. 성인이 영험한 종적을 드러내는 것은 흥망에 모두 때가 있는 것이니, 3백년 이후에나 중흥할 것입니다!ˮ
이 말을 들은 율사가 합장하고 찬하며 말하였다."관음대사의 신력이 이와 같도다. 보살님의 悲願(중생을 연민히 여기는 대서원)이 광대하지 아니하면 그 영험한 종적을 드러낼 수 없을 것이고, 이 땅에 중생과의 인연이 무르익지 않으면 감응할 수 없을 것이니. 무량한 공덕, 숭고하고 위대하도다! 不可得! 不可思議로다!ˮ
이에 제자 義常에 명하여 기록하니 영원히 전해질 것을 바랄 뿐이노라!
贊曰:香山千手眼大悲菩薩廼(觀)音化身, 異哉! 元符二年仲冬晦日, 余出守汝州, 而香山實在境內, 住持沙門懷晝, 遣侍僧命予至山, 安于正寢, 備蔬膳, 禮貌嚴謹, 乘閒從容而言. 此月之吉, 有比丘入山, 風貌甚古, 三衣藍縷. 問之, 云居於長安終南山, 聞香山有大悲菩薩, 故來瞻禮, 乃延館之. 是夕, 僧繞塔行道達旦已. 乃造方丈, 謂書曰, "貧道昔在終南山靈感寺古屋經堆中, 得一卷書, 題曰⟪香山大悲菩薩傳⟫, 乃唐南山道宣律師問天神所傳靈應神妙之語, 敘菩薩應化之跡, 藏之積年. 晚聞京西汝州香山, 即菩薩成道之地, 故跋涉而來, 兾獲瞻禮, 果有靈蹤在焉. 遂出傳示晝.ˮ 晝自念, 住持於此久矣, 欲求其⟪傳⟫而未之得, 今是僧實攜以來, 豈非緣契, 遂錄傳之. 翌日, 既而欲命僧話, 卒無得處. 乃曰, "日已夕矣, 彼僧何詣?ˮ 命追之, 莫知所止. 書亦不知其凡耶聖耶! 因以其⟪傳⟫爲示. 予讀之, 本末甚詳, 但其語或俚俗, 豈義常者少文而失天神本語耶! 然至菩薩之言, 皆卓然奇特入理之極談. 予以菩薩之顯化香山若此, 而未有碑記此者, 偶獲本󰡔傳󰡕, 豈非菩薩咐囑欲予撰著乎! 遂爲綸次, 刊滅俚辭, 采菩薩實語著於篇. 噫! 天神所謂後三百年重興者, 豈在是哉! 豈在是哉!
찬하다: 향산의 천수천안 대비보살은 관음의 화신이시여, 신이하도다!元符 2년(1099년, 宋 哲宗) 동짓달 그믐날, 나는 汝州 수령으로 가게 되었는데, 향산이 과연 境內에 있었다. 주지 懷晝스님이 시봉하는 스님를 보내 내게 산에 오라하여 정침에 편안히 머물게 하고, 채소 음식을 완비해 주었는데, 그 예의 있는 모습이 엄숙하고 신중하였다. 한가로운 틈을 타서 느긋하게 말하였다. 이 달 길한 날에, 한 비구가 산에 들어왔는데, 풍채와 용모가 매우 예스러워, 三衣(大衣, 五條, 七條의 세 가사)가 남루하였다. 물어보니 그 비구는 자신이 장안 종남산에 거처하는데, 향산에 대비보살이 있다는 말을 듣고, 이에 우러러 예배하고자 와서, 객사에 머무르고 있다고 하였다. 그날 저녁 스님가 탑을 돌며 수행하였고 이튿날 아침이 되어서야 마쳤다. 이어 방장에 가서 회주에게 말하였다. "빈도는 일찍이 종남산 영감사의 오래된 처소의 경전 더미에서 ⟪香山大悲菩薩傳⟫이라는 제목의 책 한 권을 얻었습니다. 이 책은 唐代의 南山 道宣律師가 천신에게 물어 천신이 전해지던 영험한 응신에 관련된 신묘한 말로, 보살이 응화했던 종적에 대해 서술하였던 책으로, 제가 몇 년 간 보관하였지요. 늦게서야 도읍 서쪽 여주의 향산이 바로 보살이 도를 이룬 곳임을 듣고, 그리하여 고생스럽게 오게 된 것은, 우러러 예배하기를 바라고 있었는데, 과연 영험하신 종적이 그곳에 있었습니다. 하여 ⟪香山大悲菩薩傳⟫을 꺼내어 회주스님에게 보입니다.ˮ 회주는 생각하기를 이곳에서 주지한지 오래고, 그 ⟪傳⟫을 구하고자 하였으나 얻지 못하였는데, 이 스님이 실제로 갖고 오셨으니, 어찌 인연이 계합하는 것이 아니리요! 하여 이를 기록하여 전하고자 하였다. 다음날, 이윽고 스님의 말대로 명을 내리고자 하였으나, 마치고는 가신 곳이 없었다. 이에 말하였다. "해가 다 졌건만 그 스님은 어디로 갔는가?ˮ 사람을 보내 좇았으나 가신 곳을 알지 못하였다. 회주 또한 평범하지 않은지, 성스러운지도 알지 못하였다! 이런 인연으로 ⟪香山大悲菩薩傳⟫을 세상에 보이고자 하였다. 내가 이것을 읽어보니, 본말은 매우 상세하나, 다만 그 언어가 약간 통속적이니, 어찌 의상이 文才가 부족함이나 천신의 본의를 잃었겠는가! 하지만 보살의 말에 있어서만큼은 모두 서술이 뛰어나고 이치에 부합된다. 나는 보살이 향산에서 이와 같이 현화하였는데, 그런데 비문의 기록에서는 이것이 없었고, 우연히 ⟪香山大悲菩薩傳⟫을 얻게 되었으니, 어찌 보살이 내게 저작을 분부하신 것이 아니겠는가! 그리하여 순서에 맞게 맞추고, 통속적인 언어가 사용된 부분을 삭제하고, 보살의 말을 골라 이편에 남긴다. 아! 천신이 말했던 3백년 이후의 중흥의 시기가, 바로 지금이 아니겠는가, 지금이 아니겠는가!
元符三年歲次庚辰九月朔書.住持嗣祖沙門福滿作偈, 以紀其意云.稽首,大悲心願力無窮已, 舊碑風雨殘, 故重刊於此, 謹識.
元符 3년 庚辰年 9월 초하루 쓰다. 住持 嗣祖沙門 福滿이 게송을 짓고, 그 뜻을 적었다.계수올리며, 大悲心 원력은 다함이 없으나, 오래된 비석은 비바람에 허물어졌네, 이에 이곳에 다시 새겨, 삼가 기억하노라.
至大元年歲次戊申秋七月上吉日香山十方大普門禪寺衆知事等.
元 武宗 至大 元年(1309년) 戊申年 가을 7월 上吉日香山 十方 大普門禪寺衆 知事 等//洛陽 閻孝卿 書額// 汝陽張□寧□□// 重建// □ 魏伯□刊
BIBLIOGRAPHY
입력·교감·번역_ 일륜경완(한운진)
중국고전과 문학치유 ① 中 관음보살 “구제·자비의 여성” (불교신문 2019-02-15)
DB. 미니멀한 불교사전, 庫佛祥 copyright ©D.Kang 2020-2025 | email pada.dic@gmail.com kakao open chat (https://open.kakao.com/o/gj0Ry0Pd) pass.5555
Google Sites
Report abuse
Page details
Page updated
Google Sites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