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Hydrodynamics Lab
곽노균 교수 (Rhokyun Kwak, Ph. D)
주요 연구 분야
🔹 전기화학 시스템 내 이온흐름/유동 최적화 및 차세대 공정 개발
🔹 마이크로 스케일 반응성 유동 연구
연구 설명
곽노균 교수 연구팀은 물리, 화학, 전기적 요소들의 유체역학적 움직임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수전해, 배터리, 담수화 등 다양한 전기화학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물리화학적 유체역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기존에는 알지 못했던 새로운 유동현상을 발견하고,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전기화학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물, 에너지 및 기후 변화 위기에 대한 시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합니다.
Translational Soft Devices Lab
김민구 교수 (Min Ku Kwak, Ph. D)
E-mail : mkim1618@hanyang.ac.kr
Homapage : https://sites.google.com/hanyang.ac.kr/tsdlab/home
Location : 공업센터별관 202-2호
주요 연구 분야
🔹 다물리 배터리 센서 개발
🔹 배터리 모니터링 IoT 시스템
🔹 특수 환경 소형 센서 및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개발
🔹 친환경 기능성 EV 소재 개발 연구
연구 설명
김민구 교수 연구팀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데이터화하여 실시간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특수 환경에 최적화된 멀티모달 센서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스마트 기술을 선도할 혁신적인 재료 개발, 제조 공정, 시스템 통합을 달성하고자 하며, EB 센서 및 모니터링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장하려고 합니다. 또한, 머신러닝(ML)에 활용될 데이터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고신뢰성 센서 기술을 연구 수행 중 입니다.
열 및 재료 연구실
박우성 교수 (Woosung Park, Ph. D)
E-mail : woosungpark@hanyang.ac.kr
Homapage : https://heatmatter.hanyang.ac.kr
Location : 공업센터본관 208-2호
주요 연구 분야
🔹 배터리 열전도 물리 현상
🔹 EV 용 반도체 물질/계면 열물성 측정
🔹 EV 용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열관리
🔹 모빌리티 전동화 부품 열적 신뢰성 향상
연구 설명
열 및 재료 연구실은 열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열에너지 밀도가 높고 미세구조의 영향이 큰 차세대 반도체와 모빌리티의 전동화의 열관리 및 열적 신뢰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적으로 효율적인 인공지능 시대와 전동 모빌리티 시대를 대중화 시킬 신뢰성 기술을 연구합니다.
기계해석 및 첨단반도체패키징 연구실
소홍윤 교수 (Hongyun So, Ph. D)
주요 연구 분야
🔹 첨단/가상 센서 개발 및 적용 기술
🔹 센서 기반 배터리 상태 진단 및 열폭주 안전성 확보
🔹 Digital Twin 기반 전기차 열관리 시스템
🔹 EV 용 첨단 반도체 패키징 기술
연구 설명
연구책임자인 소홍윤 교수는 첨단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센서를 개발하여, 차량 전동화의 기반 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특히, 전기차 열관리와 열폭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센서 및 인공지능 기반 신호분리 기술을 개발하여 배터리의 실시간 상태 진단과 이상 거동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응용 동역학 및 지능형 수명예지연구실
오기용 교수 (Kiyong Oh, Ph. D)
주요 연구 분야
🔹 다물리 모델 기반 배터리 설계
🔹 전기차 배터리 상태 추정 및 열폭주 기술
🔹 배터리 수명 예지 및 건정성 관리
🔹 인공지능 기반 고장 진단
연구 설명
연구책임자인 오기용 교수는 응용역학, PHM 및 신호처리를 학문적 기반으로, 복잡계 에너지시스템의 상태감시, 고장진단 및 인공지능기반 최적운용기술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 중임.
스마트 제조 연구실
이승환 교수 (Seunghwan Lee, Ph. D)
주요 연구 분야
🔹 듀얼빔 레이저 기반 배터리 어셈블리(버스바 & 전극 용접)
🔹 초음파 용접(Al foil)
🔹 레이저 간섭계 기반 배터리 전극(Ni/a–Si interface) 계면 물성 측정
🔹 인공지능 기반 배터리 수명 예측 및 건전성 관리
연구 설명
연구 책임자인 이승환 교수는 레이저 가공, 야금학, 인공지능, CFD 기반 다중 물리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차세대 배터리 제조 공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레이저 기반의 배터리 용접 공정 기술과 인공지능 기반 배터리 수명 예측 및 건전성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전기자동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의 생산성 효율을 높이고, 탄소 중립 및 친환경 정책 실현을 지원하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2024 by Battery managegment for X ,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