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불수의 운동의 증상과 그 밖의 질환
턱과 입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이 어떤 원인으로 너무 긴장하게 되면 여러 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음식물을 잘 씹을 수 없다(저작장애), 입을 벌릴 수없다(개구장애), 턱 입 혀 입술이 무의식적으로 움직인다(불수의 운동), 근육이 아프다, 입을 다물 수 없다(폐구장애), 턱이 빠진다(악편위), 삼키기 어렵다(연하장애), 말을 잘 할 수 없다(구음장애),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이와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병태로는 턱과 입의 디스토니아(oromandibular dystonia), 악관절증, 디스키네시아, 브럭시즘, 저작근건·건막 과형성증(masticatory muscle tendon-aponeurosis hyperplasia) 등이 있습니다. 이들가운데 어느 것 하나만의 경우도 있습니다만, 둘 이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악구강 영역에서는 다양한 불수의 운동이 발생합니다만, 그대다수가 정확히 진단되지 않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악화되어 버리는 실정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치료했던 악구강 디스토니아 가운데 가장많은 폐구 디스토니아 환자의 약 80%가 처음에 치과나 구강외과의 검진을 받고 악관절증, 브럭시즘, 악관절 강직증으로 진단을 받아, 악구강 디스토니아로 진단을 받은 증세 예는 하나도 없었습니다. 브럭시즘이나 디스키네시아 이외의 불수의 운동이 치과의학에서 교육된 바가 없었으므로, 치과의사에게 디스토니아라는 증후조차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
2. 트리거 및 원인
불수의 운동이란 운동장애 분류 중 통상적으로 억제가 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밖에는 억제가 되지 않는 운동을 말합니다. 불수의 운동에는 디스키네시아(운동장애), 디스토니아(근긴장 이상), 틱(경련), 떨림, 아테토제(무정위 운동증), 미오키미아(근파동증), 미오클로누스(간대성 근경련증)와 무도병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불수의 운동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는 않지만, 근긴장은 움직임과 자세를 제어하는 대뇌 기저핵의 기능 이상에 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전혀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정신과의 약을 장기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치과치료(의치제작, 발치)나 외상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자주 인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치과 치료는 조건을 트리거 할 수 있더라도 그것을 직접 발생시키지는 않습니다. 입에 증상이 있는 분, 특히 말을 하려고 하면 혀나 턱의 근육에 힘이 들어가고 마는 환자 중에는 전화교환, 접수, 영업, 사회, 아나운서, 학교나 대학의 교직원 등 계속 말을 해야 하는 직업을 지닌 분들이 많습니다. 장기간 긴장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 상태에서 말하는 것이 디스토니아 발증 원인이 된 가능성이 있으므로 일종의 직업성 디스토니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직업성 디스토니아는 음악가나 장인 등과 같이 과도하게 반복적으로 동일한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근경련이 발생하는 디스토니아의 일종입니다.
3. 연구의 역사와 임상
저는 1992년의 유학 시절부터 디스토니아의 보툴리누스 요법을 실시해 왔고, 지금까지 많은 환자를 치료해 왔습니다. 일본학술진흥회(日本学術振興会) 특별연구원(PD)으로서 교토대학 신경내과(京都大学神経内科)에서 기무라 준(木村 淳) 박사님(현 교토대학 명예교수), 시바사키 히로시(柴崎 浩)박사님(현 교토대학 명예교수)의 지도를 받았고, 교토대학 신경내과 전기생리연구실에서는 가지 류지(梶 龍兒) 박사님(현 도쿠시마대학 신경내과(宇多野病院) 교수님)에게서 디스토니아 등 불수의 운동의 임상과 연구에 대해 지도를 받았습니다. 같은 연구실 출신 선생님 중에는 메사키 다카히로(目崎高広) 박사님(榊原白鳳病院), 무라세 나가코(村瀬永子) 박사님(奈良医療センター脳神経内科), 스즈키 도시아키(鈴木俊明) 박사님(関西医療大学), 사카모토 다카시(坂本 崇) 박사님(国立精神・神経医療研究センター病院脳神経内科), 마쓰모토 신이치(松本真一) 박사님(大阪脳神経外科病院脳神経内科), 아베다케노리(阿部剛典) 박사님(中村記念病院脳神経内科) 등 디스토니아 및 불수의 운동의 권위자가 많이 계십니다.
교토의료센터 치과구강외과(京都医療センター歯科口腔外科)에서는 악구강 영역의 불수의 운동을 전문으로 하고 있으며, 약물 치료, 국소마취약과 알콜을 이용한 블록 요법(MAB 치료), 보툴리누스 요법(보톡스 주사), 구강외과적 수술까지 일관적인 진찰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진료과는 일본 전국에서도 유일하며, 많은 병원들이 저희 진료과로 악구강 영역 불수의 운동 증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신경내과적, 정신과적, 또는 뇌신경 외과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 저희 병원의 신경내과, 정신과 또는 뇌신경 외과에서 진찰을 받으시는 등 만전의 진료체제로 진찰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일본 전국에서는 물론 전세계에서 문의와 진찰 희망을 받고 있으며, 해외 환자분들도 치료를 위해 일본을 방문하고 계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