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Enhancer IP는 입력영상의 colorfullness 정도가 인간의 선호도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영상 채도을 자동조정함으로써 최적 선호 영상을 만든다.
Features:
Pixel saturation adaptive color enhancement
Image classification-based optimal enhancement
preserving gray balance
preventing over saturation and preserve image details
skin color detection and favorite skin color reproduction
입력 영상 colorfullness 정도를 분석하여 채도향상이 필요한 경우(a) 와 필요치 않은 경우(c) 에 따라 적응적으로 처리하여 항상 선호하는 색감을 (b,d) 유지하게 한다.
[(a) 저채도 입력, (c) 적정채도 입력 에 대응되는 출력영상 (b) 와 (d)]
아래 좌측 입력영상의 경우 monotone type(단색 영역이 많은 영상) 하늘색이 넓게 분포되어 일반적인 채도 향상 도모시 중앙처럼 과포화 되어 부자연스럽게 변화한다. 영상분석을 통하여 모노톤 정도를 추출하여 적정 채도 조정으로 우측 영상처럼 자연스러운 채도 향상을 이룬다.
[monotone type color enhancement]
채도향상이 항상 좋은것만은 아니고 이른바 memory color중 가장 인간의 선호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피부색(skin tone)의 경우는 피부색 모델에 기반한 피부색검출 ((c)영상의 gray mark)을 통하여 입력 피부색 영역을 보호하고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만 채도향상을 이룸으로써 최적의 결과(d)를 도출한다.
[preventing oversaturation of the skin colors: (a) input, (b) conventional method, (c) detection of skin color, (d) result of color enhan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