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벽대전은 208년 겨울, 후한 말기의 혼란 속에서 조조(曹操)와 손권(孫權), 유비(劉備) 연합군 사이에 벌어진 대규모 전투이다. 조조가 북방을 통일한 후 남하하여 강남 지역을 장악하려 했고, 이에 손권과 유비는 연합하여 조조에 맞서 싸우기로 결정한다.
..
조조는 승상에 올랐고 강력한 통일 의지를 바탕으로 남진을 개시한다. 당시 형주목은 유표가 병사한 후 갓 옹립된 유종이었고 그는 스스로 항복해왔다. 이로써 조조는 쉽게 형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유비는 강릉으로 향하다 조조군의 공격을 받아 유기에게로 피신한다. 이 만남은 이후 손권이 합류해 유비, 유기, 손권이 서로를 적대하지 않고 조조에 맞서는 동맹으로 이어진다.
조조는 대군을 이끌고 남하하여 강남으로 진격했다. 삼국지연의에 따르면, 조조는 83만 대군을 이끌고 강남으로 향했다고 한다. 이 숫자는 과장된 면이 있지만, 조조의 군대가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손권과 유비의 세력에게 큰 압박이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손권과 유비는 제갈량의 중재로 동맹을 맺었고, 주유를 총사령관으로 하여 조조에 맞서 싸우기로 결정했다. 제갈량은 손권에게 조조의 위협을 강조하면서 동맹을 제안했다. 손권은 망설였지만 결국 제안에 응한다.
손권은 주유를 도독으로 임명하고 군 지휘를 맡겼다.
조조의 군대는 북방 출신 병사들로 이루어져 있어 물에 익숙하지 않았다. 이를 이용해서 연합군은 지형과 환경을 활용하여 조조의 군대를 공격하기로 했다. 그들은 조조의 대함대를 단번에 격파할 기회를 노리느라 소극적으로 상황을 살폈다.
조조도 자신의 수병이 원래는 보병이었기 때문에 물에서의 싸움에 취약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때문에 나름대로 준비과정을 거쳤다. 수전 훈련을 시키고, 적선보다는 중량이 큰 함선을 선택했다. 배들의 흔들림을 낮추기 위해 쇠고리로 연결하고 사이에 널빤지를 깔아 자유로운 이동을 노렸다. 하지만 조조군의 문제는 그뿐만이 아니었다. 익숙치 않은 여름기후와 늪지대에서 비롯된 역병이 돌았으며, 적인 손권군은 수군이 강력했다. 그래서 조조는 소극적으로 전투에 임했다.
조조는 대부분의 전투에서 퇴각을 택했고, 그 결정은 그의 군대의 피해를 최소화했다.
첫 싸움에서 조조의 군대는 패하여 장강 북쪽에 머물렀으며 주유 등은 남쪽 강가에 있었다. 주유는 배 수십 척을 취해 풀을 가득 싣고 그 가운데에 기름을 붓고 위에 아기를 세웠다. 그리고 먼저 편지를 써서 조조에게 항복한다고 알렸다. 날랜 배를 미리 준비하여 각각 큰 배의 뒤에 매고 순서대로 함께 나아갔다. 황개는 여러 배를 풀어 동시에 불을 질렀다. 당시 바람이 매우 사나웠으므로 강가의 진에까지 불길이 번졌다. 조조는 조인 등을 남겨 강릉을 지키도록 하고 자신은 곧장 북쪽으로 달아났다. 라고 [주유전]에 언급된다.
그러던 중 주유와 제갈량이 계획을 실행에 옮긴다.
주유와 제갈량은 화공 전략을 사용하여 조조의 함대를 불태우려는 계획을 세웠다. 조조가 배들을 사슬로 연결해서 안정시키려 하게끔 유도하고, 연합군 장수 황개가 가짜로 투항하도록 해 조조의 신임을 얻고 조조의 함대에 접근한다. 마지막으로 바람 방향을 이용하여 화공을 사용하려고 했다.
황개는 가짜 투항을 통해 사슬로 연결되어 있는 조조의 배들에 접근하였고 불화살을 이용해 조조의 함대를 공격했다. 마침 동남풍이 불어와 조조의 군대는 불이 걷잡을 수 없이 배에 옮겨 붙는 대규모 화재에 큰 피해를 입는다.
이로써 적벽대전은 유비, 손권 연합에게 큰 승리로 마무리 된다.
적벽대전에서의 승리는 연합군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안겨주었다고 할 수 있다. 연합군은 적벽대전에서의 승리로 인해 강남 지역에서의 세력을 공고히 하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패배로 인해 조조의 남하 정책이 좌절되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후 조조는 패배를 인정하고 북쪽으로 퇴각한다.
적벽의 대패로 원정을 계속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 조조는 형주를 떠나 조인, 서황에게 남군을 맡기고 자신은 허창으로 귀환하였다. 유비와 주유·정보 연합군은 남군까지 진격해 조조 군과 싸웠다. 조조는 쉽게 항복받은 옛 유표령 형주의 남반부를 잃고, 강하군 북부와 양양 이북만을 유지했다. 나머지 땅은 손권과 유비의 손에 넘어갔다.
..
적벽대전은 삼국지 시대의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로, 조조의 남하를 저지함으로써 삼국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게 했다. 이 전투는 이후 촉한, 오나라, 위나라가 서로 대립하는 삼국 시대의 구도를 확립하게 만들었다.
적벽대전은 조조와 손권, 유비 간의 결정적인 전투로, 삼국지 시대의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이다. 이 전투에서 손권과 유비의 연합군은 뛰어난 전략적 협력과 지형 활용을 통해 조조의 대군을 격파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이 전투를 통해 주유와 제갈량의 지략과 결단력을 강조하며, 그들의 뛰어난 전략적 능력을 특히 부각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