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抖音
抖音
소개
사용자가 짧은 형태의 동영상을 생성, 공유 및 발견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도우인은 중국에서 사용되는 상표명이고 틱톡은 해외에서 사용되는 상표명
2023 매출액 : 1600억 달러 추정(비상장 기업, 재무제표 공시x)
창립연도 : 2016
목표 : 숏폼 형태의 비디오를 제작하여 사람들에게 창의성과 즐거움을 주는 것
슬로건
就那样像你一样享受吧
"그냥 너답게 즐기는 거야"
SWOT
특징
직접적인 상거래가 이루어진다기 보다는 강력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 마케팅 수단으로써 알리바바, 타오바오, 테무 등과는 차이를 보인다.
시청 습관과 참여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앱은 맞춤형 "For You" 피드를 큐레이팅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콘텐츠 배열을 계속 새로워지게 한다. 이는 스크롤링, 시청 및 궁극적으로 창작과 같은 참여를 가능케 한다.
2020년부터 미국 정부는 중국의 데이터 보안 위협을 우려하여 틱톡을 미국 내에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이에 따라 틱톡의 미국 사업을 매각하거나 미국 기업으로 인수하는 것을 요구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틱톡을 운영하는 중국의 바이트댄스는 미국 기업인 오라클과 월마트와의 협상을 진행했다.
틱톡과 관련된 미국의 무역 보복은 주로 데이터 보안과 관련된 문제로 발생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의 기업들이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 정부나 기타 비인가된 당사자들과 공유할 우려가 있다고 우려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틱톡이 미국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방식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
미국 정부는 또한 중국 정부의 인터넷 통제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면서, 틱톡과 같은 중국 기업이 미국 시장에서 활동하는 것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러한 논란으로 인해 틱톡의 미국 사업을 매각하거나 미국 기업으로 인수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이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바이트댄스는 미국의 데이터 보안 우려를 해소하고 틱톡의 미국 사업을 계속 운영하기 위해 오라클과 월마트와의 협상을 진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협상은 일부 미국 정부 관계자들과 관련 기업들 간의 논란을 일으켰고, 현재까지도 이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틱톡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활용한 기업들은 많이 있다. Elf Cosmetics, Red Bull, Sony Music, Gymshark, Calvin Klein, Kool-Aid 등은 그 중에서도 특히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들 기업들은 틱톡의 독특한 짧은 동영상 형식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광고를 전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Elf Cosmetics는 틱톡을 활용하여 다양한 메이크업 튜토리얼과 제품 홍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Red Bull은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콘텐츠로 젊은 세대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Sony Music은 음악과 관련된 콘텐츠로 틱톡 사용자들에게 브랜드와 아티스트들을 소개하며 성공적인 마케팅을 이끌어냈다. Gymshark, Calvin Klein, Kool-Aid 등도 틱톡의 독특한 플랫폼을 활용하여 각자의 브랜드 이미지를 확대하고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데 성공했다.
In-Feed Ads
사용자들이 'For You Page'를 스크롤하는 동안 나타나는 광고다. 최대 60초까지의 동영상 광고를 제공하며, 사용자들은 좋아요, 댓글, 공유 등으로 광고에 참여할 수 있다
Top View Ads
사용자가 앱을 처음 실행할 때 나타나는 전체 화면 광고다.
브랜드의 해시태그 챌린지를 진행하며,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