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자상거래 거래액의 높은 성장
2022년 중국 전자상거래 판매 금액은 약 13조8000억위안(약 2484조원)을 기록했다. 2015년과 비교하면 3배가 넘는 규모로 성장했지만, 지난해 성장률은 4%로 둔화다. 2020년과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후 비대면 추세가 확산면서 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하던 전자상거래 시장이 지난해 다소 주춤해진 것이다.
다만 전자상거래를 통한 실물 상품 거래액은 6.2% 증가한 11조 9600억 위안(약 2153조원)을 기록했으며 중국 사회 소비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24.5%)보다 2.7%포인트 증가한 27.2%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은 2015년부터 한때 연 30% 넘게 성장하면서 지금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소비 전환이 거의 완료된 상태다.
온라인 소매 판매량의 증가
온라인 소매는 성장을 이어가며 내수 확대, 소비 확대에 중요한 힘이 되고 있다.
중국 온라인 쇼핑 이용자 규모는 2022년 8억 4500만 명으로 2021년 대비 319만 명 증가해 전체 네티즌의 79.2%를 차지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2년 전국 온라인 소매 판매량은 13.3%에 달한다. 79조 위안은 비교 가능한 수준으로 계산하면, 전년 대비 4.0% 증가하였다.
실물 상품의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11조 9600억 위안으로 비교 가능한 구경에 따라 계산하면 전년 대비 6.2% 증가하며, 전체 소비재 소매 판매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2%이다.
온라인 상거래 품목별 비중
중국 전자상거래의 품목별 거래금액 비중은 의류·신발·모자 거래금액의 비중이 22.6%로 1위를 차지했으며 2~6위는 일용품(14.6%), 가전·음향제품(10.3%), 통신기기(7.5%), 식품(7.3%), 화장품(6.4%)이 차지했다. 약품, 귀금속, 술·담배 은 비교적 빠른 성장을 이루었으며, 전년 동기 대비 증가 속도는 모두 19%를 초과하였다.
중국 현지증권사인 광대증권은 의류·일용품처럼 표준화 정도가 비교적 높고 배송이 간단한 품목은 온라인 판매 비중이 높았고, 귀금속(쥬얼리)·신선식품처럼 표준화 정도가 낮거나 배송 요구사항이 까다로운 품목은 비중이 낮다고 분석했다. 대신 지난해 의약품, 귀금속 및 술·담배의 전자상거래 판매 금액은 각 43.6%, 27.3% 및 19.1% 늘어나는 등 최근 들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내수 확대의 새로운 원동력 제공
지난 10년 동안 중국의 e-commerce는 빠르게 발전하여 세계 최대의 온라인 소매 시장으로 성장했으며, 국민 생활 수준을 전반적인 샤오캉 사회에서 더 높은 목표로 끌어올렸다. 새로운 정보기술 혁명이 낳은 e-commerce의 혁신적인 발전은 중국 소비시장의 성장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중요한 원동력이었으며, 또한 세계 소비 확대의 중요한 출발점이기도 하다. e-commerce는 전통적인 오프라인 소비에 대한 특정한 대체(대체효과)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새로운 소비자 수요를 창출하고 충족시키게 된다(신효과).
계산에 따르면 현재 주민의 온라인 소비가 1위안씩 추가될 때마다 총소비는 0.36위안씩 증가하게 된다. 향후에는 e-commerce의 혁신적 발전을 장려하고 촉진하며 live commerce, short-form commerce, social commerce, contents commerce 등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와 모델을 육성하고, 즉석 소매, 무인 소매 등 새로운 소비 시나리오를 창출해야 한다. 국내 신규 브랜드와 스마트 소비, 녹색 소비 등 새로운 소비 핫스팟을 확대하고, 하층 도시 및 농촌 등 새로운 시장 공간을 개척하여 e-commerce의 새로운 효과를 지속적으로 증폭한다면, 내수 확대와 소비 촉진에 대한 더욱 강력하고 지속적인 원동력이 형성될 것이다.
일자리 창출과 국민 생활 향상에 기여
E-commerce로 인해 고용 분야와 직업 유형이 다양해졌고, 수많은 새로운 직업 형태가 생겨났으며, 근로자의 직업 선택 폭이 넓어졌다. 최근에는 E-commerce 앵커, 테이크아웃 라이더, 택배기사, 온라인 차량호출 기사 등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고용 형태의 근로자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E-commerce는 어느 정도 고용의 안정제가 되었다.
디지털 경제와 실물 경제의 긴밀한 통합과 산업 디지털화 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E-commerce 관련 직종은 대규모 고용 능력, 다양성, 풍부함, 유연성 등의 장점을 더 잘 활용하여 최고의 산업이 될 것이다. E-commerce는 청년 등 핵심 계층의 창업과 고용을 흡수하는 주요 기반이자 인구 노동소득 증대, 일자리 창출, 민생 개선을 위한 새로운 채널이 되어 일자리 창출과 민생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관련 부서는 그룹 발전의 e-commerce 관련 직종 설정을 개선하고, e-commerce 유연한 고용 인력에 대한 노동 보장을 강화하고, 고용에 대한 공공 서비스를 최적화하여 양질의 완전 고용을 강력하게 지원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