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Skip to main content
Skip to navigation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홈
비전
구성원
정현선 교수
안금희 교수
허경 교수
손원성 교수
심우민 교수
오창근 교수
이지영 교수
참여 연구원
연락처
프로젝트
인천광역시교육청서부교육지원청 업무협약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 미디어 체험, 전시 공간 기획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학교 미디어 교육 지원 방안 연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방안
부모 미디어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소셜 리빙 랩 운영 방안 연구
디지털 미디어 교육 석사 과정
읽고 만들고 공유하다: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 어린이 온라인 교육 콘텐츠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1: 해외 사례 조사
비판적 알고리즘 리터러시 교육
Center of Excellence for the Digital Child
핀란드 탐페레대학교 협력 연구
자료실
세미나와 포럼
저서, 논문, 보고서
YouTube 채널
English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홈
비전
구성원
정현선 교수
안금희 교수
허경 교수
손원성 교수
심우민 교수
오창근 교수
이지영 교수
참여 연구원
연락처
프로젝트
인천광역시교육청서부교육지원청 업무협약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 미디어 체험, 전시 공간 기획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학교 미디어 교육 지원 방안 연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방안
부모 미디어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소셜 리빙 랩 운영 방안 연구
디지털 미디어 교육 석사 과정
읽고 만들고 공유하다: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 어린이 온라인 교육 콘텐츠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1: 해외 사례 조사
비판적 알고리즘 리터러시 교육
Center of Excellence for the Digital Child
핀란드 탐페레대학교 협력 연구
자료실
세미나와 포럼
저서, 논문, 보고서
YouTube 채널
English
More
홈
비전
구성원
정현선 교수
안금희 교수
허경 교수
손원성 교수
심우민 교수
오창근 교수
이지영 교수
참여 연구원
연락처
프로젝트
인천광역시교육청서부교육지원청 업무협약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 미디어 체험, 전시 공간 기획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학교 미디어 교육 지원 방안 연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방안
부모 미디어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소셜 리빙 랩 운영 방안 연구
디지털 미디어 교육 석사 과정
읽고 만들고 공유하다: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 어린이 온라인 교육 콘텐츠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1: 해외 사례 조사
비판적 알고리즘 리터러시 교육
Center of Excellence for the Digital Child
핀란드 탐페레대학교 협력 연구
자료실
세미나와 포럼
저서, 논문, 보고서
YouTube 채널
English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 미디어 체험, 전시 공간 기획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에서는 "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 미디어 체험, 전시 공간 기획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연구 기간: 2021년 6월~12월, 발주 기관: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 설립 관련 기사
:
바로 가기
최종보고서 내려받기:
바로 가기
이 연구는 2023년 말에 청주에 개관 예정인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의 미디어 체험 전시 공간 기획 및 운영 방안 개발, 그리고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및 모형의 실제 탐색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디어 체험・전시 공간 기획 및 운영 방안 도출
- 연구 대상: 미디어 카페, 미디어 놀이터, 어린이 라이브러리, 다목적 상영관 등
- 설문조사 수행: 참여적 공간 설계를 위한 공간 이미지 및 운영 방안 의견 분석
- 미디어 체험・전시 공간 사례 분석: 국내·외 사례 분석 및 차별화 방안 도출
- 미디어 체험・전시 공간 기획안: 전시 공간의 배치 방안, 전시 유형, 가상도 제시
- 전시 기획 방안: 학생 참여적 전시 기획 및 오감체험 기법의 전시 콘텐츠 제안
- 공간 운영 방안: 전시·체험 프로그램 운영 방안 및 교육프로그램 시안 제안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모형의 실제
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국내외 사례 분석
- 학생 미디어 이용실태, 학생의 흥미와 교육활동 선택권, 수요조사 결과 분석
- 유사 기관 교육프로그램 및 기존 학교 미디어교육과의 차별화
- 디지털 시민성을 기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②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모형의 실제
-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모형의 실제 내용
(디지털 환경의 아동 권리와 핵심 개념을 토대로 한 개발)
-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 공간, 교구, 기자재, 인력 확보 등 제반 조건 제언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구책임자
: 오창근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
미디어 체험·전시 영역
:
안금희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김수진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강사)
김일환 (
미디어프론트
부사장)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영역
:
정현선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김종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박유신 (서울석관초등학교 교사,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
부회장)
Report abuse
Page details
Page updated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