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ot] Clonezilla recovery
출처 : http://support.robotis.com/ko/
간혹 로봇을 가지고 실험이나 구동을 할 때 안될 때 가 있다. 문제가 발생하거나 되던게 되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런데 문제는 어떤 이유인지 모를 때가 많다. 그렇다면 우리가 일상에서 컴퓨터를 사용할 때 어떻게 해결하나? 바로 포맷. 주로 사용하는데 윈도우 체제 컴퓨터 경우 윈도우 재설치, 혹은 시스템 복원 및 복구이다. 로봇도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포맷 혹은 시스템 복구가 가능하다.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로봇 kubot은 로보티즈 사의 DARwin-OP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DARwin-OP 처럼 Clonezilla recovery라는 것이 가능하다.
Clonezilla recovery란? 쉽게 리눅스 포맷 및 재설치 그리고 복구의 기능을 가진다고 보면 되겠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우선 여기 Clonezilla recovery page에 업로드 된 tuxboot-0.6 zip을 다운 받습니다.
2. http://sourceforge.net/projects/clonezilla/files/clonezilla_live_stable/OldFiles/2.0.1-5/에 접속하여 clonezilla-live-2.0.1-5-i486.iso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3. http://sourceforge.net/projects/darwinop/files/Software/Main%20Controller/Recovery%20USB/ 에 접속하여
ROBOTIS-OP2_Recovery_20150326.zip과 DARWIN_Recovery_2014-07-15_3.65G.zip 두개의 압축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4. 총 필요하신 4개의 파일을 다운 받았으면 Clonezilla recovery를 해보자. 우선 Clonezilla recovery USB를 만들어야한다.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운 받은 tuxboot-0.6 zip을 압축풀어 tuxboot-0.6.exe을 실행시킵니다.
그런다음 사용할 USB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다운받은 clonezilla-live-2.0.1-5-i486.iso 선택하여 Clonezilla recovery USB를 만듭니다.
USB 만드는 과정이 끝나면 Exit을 누르고 종료합니다.
만들어진 USB에 home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partimag라는 폴더를 만듭니다. 그런 다음 다운 받은 ROBOTIS-OP2_Recovery_20150326.zip과 DARWIN_Recovery_2014-07-15_3.65G.zip를 압축풀어 partimag라는 폴더에 저장합니다. 이 과정을 모두 마쳤으면 Clonezilla recovery를 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5. 완성된 Clonezilla recovery USB를 kubot USB포트에 꼽고 모니터링을 하면서 아래의 영상과 같이 따라해주시면 됩니다. 설치가 다한 경우 꼭 재부팅을 해주시기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