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량3D모델기반 디지털협업 지원 시스템 개발

효율적 엔지니어링 프로젝트 협업환경 구축을 위한 경량3D모델기반 디지털협업 지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lightweight 3D model-based digital colalboration system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colalboration environment in egineering project)

1. 추진배경

-  자동차,전자 등 제조산업은 3D 기반 협업환경을 구축하여 개발기간 단축, 품질향상 등 많은 성과를 얻고 있으나 플랜트 산업은 기본, 생상설계 단계 외에는 2d 도면 중심의 전통적 생산 방식에 의존하고 있음.

-  국내 플랜트 산업의 대규모 손실의 주 원인으로 지목되는 설계안 사전검토 미비와 설계/공간 정보 오류의 방지를 위하여 3D 데이터 활용 확대를 통한 원가절감, 공기단축, 시공품질 향상이 필요.

-  3D 정보의 신속, 용이한 활용이 필요한 협력사 및 PC환경 구성이 어려운 시공/생간 현장과의 실시간 3D정보 공유 지원을 위한 모바일 지원 기술과 웹기반 협업 환경 구축이 필요.

-  국내 PLM 및 경량 3D 시장에서 외산 제품 대체로 인한 막대한 라이센스 비용 및 로열티 절감.

-  고품질 삼차원 도면 활용을 위한 고가의 대규모 하드웨어 투자를 억제.

-  대형 CAD 데이터가 사용되는 다양한 분야에 3D 도면 공유를 위한 용도로 고가의 CAD 시스템 대신 개발 대상 기술의 조회/검증 전용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원할한 설계 정보 공유 환경을 제공을 통한 3D 정보 활용 시장 선점 및 시장 확대 유발

 

2. 연구 개발 방향 및 목표

설계부터 준공까지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의 실행과정에서 EPC사와 발주사,시공사,장비제작사 등 관계 기업 간 3D 설계정보의 공유 및 활용을 지원하는 경량모델 기반 디지털 협업 지원 시스템 개발 과 성능 및 적용가능성 검증

- 경량3D모델기반 디지털협업 지원 시스템은 설계부터 준공까지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의 실행과정에서 업무프로세스 개선 및 EPC사 등 관계기업 간 대형 3D 설계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공유,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3D S/W 원천기술·응용기술 및 네트워크 기반의 협업시스템 환경을 말함

- 경량3D 모델 기반 디지털 협업 지원 시스템은 3D 기반 디지털 협업환경 구축을 위해 필요한 핵심 솔류션으로 1)플랜트 경량 3D도면 변환 시스템, 2) 대형3D모델 시각화 엔진, 3)경량3D모델 기반 엔지니어링 지원 시스템, 4)모바일 환경 지원 3D 디지털협업 시스템으로 구성됨

                                                                                      

3. 기술개발 추진 전략 및 수행조직

        본 연구에서는 기반기술연구, 응용 S/W & 통합 시스템 개발, 시법적용 및 검증 부분으로 나누어 기술 개발을 추진.

Contact

노치호(shclgh@kaist.ac.kr), 이한라(hrlee23@ka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