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5년 4월 28일 조선국 한성부 전청동에서 이순신이 태어났다. 이순신은 노량해전전투에서 도주하던 적선을 추격하다가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사망)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원균의 요청의 받아 경상도 해역으로 출정해 왜군과의해전에서 잇따라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에서는 거북선이 처음으로 실전에 배치 되었다.
<노량해전>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은 1598년에 절이도와 고금도에서 왜군에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이 전투에서 이순신은 도주하던 적선을 추격하다가 유탄에 맞아 전사하셨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당시 이순신이 "싸움이 지금 한창 급하니 조심하여 내가 죽었다는 말을 하지 말라."는 말을 마치자마자 바로 숨이 끊어졌으며 조카인 이완이 그의 죽음을 숨긴 채 전투를 독려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순신의 싸운 전투>
니탕개의 난,눈둔도 사건,임진왜란,옥포해전,합포,적진포 해전,사천해전,당포해전,당항포 해전,율포 해전,한산도 대첩,안골포 해전,장림포 해전,화준구미 해전,다대포 해전,서평호 해전,절영도 해전,초량목 해전,부산포 해전,웅포 해전,제2차 당항포 해전,장문포 해전,정유재란,어란포 해전,벽파진 해전,명량해전,절이도 해전,왜교성 전투,노량해전
<한산도 대첩>
이 영상은 이순신 장군이 싸운전투 중 하나인 한산도 대첩을 2분으로 요약한 영상입니다.
<명량해전>
이 영상은 이순신 장군의 해전 중 하나인 명량 해전의 내용을 3분으로 요약한 영상 입니다.
<거북선>
임진왜란 당시 활약했던 조선 수군의 군함이다.기존 판옥선을 개량한 것으로,지붕을 덧씌워 방어력을 높이고 포문을 많이 설치하여 사격 공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조를 변경.용머리 형태의 충각 겸 포문을 달아돌격전에도 용이하게 설계 되었다.
<이순신>
이 동상은 이순신 동상이며 광화문 광장에 있다. 이순신 동상은 1968년 4월 27일 건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