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가?
로마서 1:16-17(개역개정)
16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로다
17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로다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 1:16-17
그리스도인들은 매일 복음 앞에 자신을 세우고 돌아보며 자신의 영적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모든 순간 우리와 함께하는 성령님의 은혜를 온전히 누리며 생생한 복음을 경험하는 것이 어지러운 이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영적 습관이 될 것이다. 절대 잊지 말아야 한다. 그리스도인은 이미 복음으로 결론이 난 자들이다.
김용의 선교사의 『나에게 생생한 복음』 중에서
“그리스도인은 이미 복음으로 결론이 난 자들이다.” 그렇다. 그렇게 알고 있다. 하지만 실제 우리의 삶은 복음과 괴리가 있을 때가 많다. 오늘 분문에서 바울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고 했다. 지금처럼 복음을 선포하고 예수님을 믿는 것이 자유롭지 않던 시대, 죽음을 각오하고 믿던 시대를 살던 바울이 이렇게 고백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복음이라는 말의 의미를 살펴보자. ‘복음 εὐαγγέλιον-유앙겔리온 ’은 문자 그대로 ‘좋은 전령 good herald ’이다. 1세기경, 전쟁에서 승리한 황제는 전령을 보내어 자신의 승리와 통치권, 그리고 평화를 선포했다. 바울은 이런 의미를 내포한 복음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당당하게 증거하고 있다. 그토록 바울을 담대하게 만들었던 복음의 본질을 두 가지로 살펴보자.
복음은 하나님의 능력이다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로다
로마서 1:16
바울은 복음이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라고 선포한다. 바울에 의하면 복음은 어떤 개념이나 철학이 아니다. 복음 안에는 말과 능력이 함께 있다. 어떤 능력일까? 그것은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또한 우리의 생각과 마음, 인생의 목표, 세상에 대한 지각, 인간관계 등을 완전히 새롭게 하는 것이다. 『복음 중심의 삶』을 쓴 로버트 H. 슌 Robert H. Thune 과 윌 워커 Will Walker 는 복음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복음은 단순히 구원의 문이 아니라 매일 걸어야 하는 길이다. 복음은 단순한 구원의 통로가 아니라 성화의 방편이다. 복음은 단순히 죄의 삯에서 해방되는 것이 아니라 죄의 능력에서 해방되는 것이다. 복음은 하나님께 의롭다 함 칭의 을 얻게 할 뿐 아니라 하나님 안에서 기뻐할 수 있도록 우리를 자유하게 한다 성화 . 복음은 모든 것을 변화시킨다.
『복음 중심의 삶』 중에서
복음은 단순히 죄뿐만 아니라 죄의 능력에서도 우리를 해방시킨다. 정말로 복음은 모든 것을 변화시키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복음은 모든 것을 변화시키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복음은 하나님의 의가 들어있다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 1:17
바울은 복음에 담긴 능력의 실체를 소개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의’다. 바울이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이유는 하나님의 의가 복음 안에 담겨 있기 때문임을 선언한다. 의는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의미한다. 즉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그분의 아들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하나님의 의’라는 단어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대해 톰 라이트 Nicholas Thomas Wright 는 ‘모든 이들을 위한 로마서’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예수님의 복음이 공표되면, 그 복음을 통하여 마침내 하나님의 정의나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함, 혹은 더 오래된 언어로는 하나님의 ‘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가 밝히 드러난다고, 예수님에 관한 복음은 선언한다. 이것이 곧 하나님의 세상을 바로잡고, 우리 또한 바로 잡을 방법이라고! 『모든 이들을 위한 로마서』 중에서
그렇다.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난다. 복음을 통해서 하나님은 세상을 바로잡고 우리 자신을 바로잡을 것이다. 예수님께서 침례 요한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침례를 받았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진 피터슨 Eugene H. Peterson 의 메시지 성경으로 읽어보자.
“내 말대로 하여라. 오랜 세월 동안 이어져 온 하나님의 바로잡는 역사가 바로 지금, 이 침례 속에 하나로 모아지고 있다” 마태복음 3:15
하나님의 바로잡은 역사! 이것이 복음의 큰 그림이다. 죄로 인해서 잃어버린 영혼을 다시 의롭게 할 수 있는 구원의 역사이다. 예수님을 통해서 하나님의 요구와 인간의 필요를 담당하신 것이다. 죄가 없으신 예수님은 사람의 몸으로만 온 것이 아니라 인간의 죄까지 짊어지는 것으로 율법의 요구를 이루셨다. 스스로의 힘으로는 하나님과 화해할 수 없는 인간의 필요를 채우신 것이다.
정말 놀랍지 않은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복음 중심으로 살아가는 제자가 되기를 축복한다. 다시 복음 앞으로 나아가자.
포도원 가이드
1. 내가 그리스도인 것을 밝히지 않거나 복음을 부끄러워한 적이 있는가? 어떤 상황에서 우리는 복음 전하는 것을 주저하는지 나누어 봅시다.
2. 복음은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라고 했다. 복음을 만나고 변화된 삶을 같이 나누어 봅시다.
3. 다시 복음 앞에 서며 복음을 전해야 할 가족, 이웃, 동료는 누구인가? 같이 그들의 이름을 위하여 기도하며 나아갑시다.
글 이정훈 목사
레거시 사역 대표, 다음 세대와 가정을 세우는 목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