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1 (3 June 2022 Fri.)
10:00-10:20
Session 1 한국의 인문학: 과제와 전망
Humanities in Korea: Tasks and Prospects
10:20-11:20
Moderator: KU, Hawon (SNU, Asian Language & Civilization)
사회: 구하원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On Doing and Not Doing Korean Studies: Some Field Reflections
MIN, Eun Kyung (SNU,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한국학 하기/안하기: 한국학 분야에 대한 몇 가지 단상
민은경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Rethinking the East Asian/Korean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History
PARK, Hun (SNU, Asian History)
비교사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사/한국사 다시 보기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Koreans’ Trust
KIM, Hyun-Seop (SNU, Philosophy)
한국인의 신뢰
김현섭 (서울대 철학과)
11:20-11:30 Coffee Break
11:30-12:30 Roundtable Discussion
Session 2 한국의 인문학: 방법과 접근
Humanities in Korea :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13:30-14:30
Moderator: JUNG, Hakyung (SNU, Russian Language & Literature) 사회: 정하경 (서울대 노어노문학과)
Quantitative Analysis of Textual Data
PARK, Jinho (SNU, Korean Language & Literature)
텍스트 데이터의 계량적 분석
박진호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The Great Acceleration and “Ecological & Environmental History”: Toward a History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20th Century Korea
KO, Tae-woo (SNU, Korean History)
대가속과 생태환경사: 20세기 한국 공해사 연구를 향하여
고태우 (서울대 국사학과)
Nangnang Parlour : Space, Network, and Modernism in Colonial Seoul
OH, Younjung (SNU, Asian Language & Civilization)
‘낙랑파라’: 공간, 네트워크, 그리고 경성의 모더니즘
오윤정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14:30-14:45 Coffee Break
14:45-15:45 Roundtable Discussion
DAY2 (4 June 2022 Sat.)
Session 3 민중에서 데모스로: ‘K-붐’의 문화 정치학
From People to Demos: The Cultural Politics of ‘K-boom’
10:00-11:40
Moderator: AN, Jee Hyun (SNU,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사회: 안지현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Writing Behind Bars: Public Engagement and Fandom
PANG, Laikwan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Cultural Studies)
감옥에서의 글쓰기: 공적 참여와 팬덤
팽 라이콴 (홍콩 중문대 문화학과)
Optimism, Cynicism, and Democracy
MOBRAND, Erik (Rand Corporation)
낙관주의, 냉소주의, 민주주의
에릭 모브랜드 (랜드 연구소)
Cultural Structure of K-Democracy
CHEON, Jung-hwan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n Language & Literature)
K민주주의의 문화적 구조
천정환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Anonymous, QAnon, Tik-tok Teens, K-pop Fans: Ecologies of Internet Populism
CHO, Michelle (University of Toronto, East Asian Studies)
어나니머스, 큐어넌, 틱톡하는 십대, 케이팝 팬: 인터넷 포퓰리즘의 생태계
미셸 조 (토론토대 동아시아학과)
11:40-12:00 Coffee Break
12:00-13:00 Roundtable Discussion
Session 4 한국학의 과거와 미래: ‘미국의 세기’를 넘어서
Korean Studies Beyond the ‘American Century’: Where Are You Going, Where Have You Been?
14:00-15:40
Moderator: RYU, Youngju (University of Michigan, Asian Languages & Culture)
사회: 유영주 (미시간대 아시아 언어문화학과)
The "Area" According to Bruce Cumings: Origins of Korean Studies in America
RYU, Youngju (University of Michigan, Asian Languages & Culture)
미국 내 한국학의 기원: 브루스 커밍스의 지역학 논의
유영주 (미시간대 아시아 언어문화학과)
Korean Studies in the Post-Cold War World
KWON, Heonik (University of Cambridge, Social Anthropology)
탈냉전시대의 한국학
권헌익 (케임브리지대 인류학과)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Studies in Japan: Decolonization, the Cold War, and the ‘New Cold War’
LEE, Jong Won (Waseda University, Asia-Pacific Studies)
일본의 한국학 연구의 변천: 탈식민지화, 냉전, 그리고 ‘신냉전’
이종원 (와세다대 아시아태평양연구과)
Korean Studies Now: De-democratization, Politics of Time, and Neoliberal Disavowal
LEE, Namhee (UCLA, Asian Languages & Cultures )
오늘의 한국학: 탈-민주화, 시간의 정치학,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부인 이남희 (UCLA 아시아 언어문화학과)
15:40-16:00 Coffee Break
16:00-17:00 Roundtable Discu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