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한국학은 ‘국학’에 해당되는 국문학이나 한국사, 한국철학 등으로 비교적 좁게 이해 되어 왔고, 인문학을 이루는 여타 분야와도 대별되는 범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러한 이해에 맞서 ‘신한국인문학’은 외연을 넓혀 전통적인 국학 분야들을 아우르되 보다 포괄적으로 한국 인문학을 이해하고자 하는 개념틀입니다.
새로운 틀을 제시한 배경에는 한국이 동양을 넘어서서 동서고금(東西古今)의 교차로이자 이 전통들을 소화하여 새로운 사상, 문화를 만들어내는 용광로라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한국이라는 용광로가 다양한 전통을 녹여내어 새로운 보편성을 만들어 내고 있기에 현재 한국에서 나오는 여러 성과가 세계적으로 매력을 가진다는 생각입니다. 한국에 대한 정확하고 포괄적인 이해가 곧 세계에 대한 이해로 직결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는 K-Pop과 K-문화 역시 우리만의 융합에서 나오는 특이한 보편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 융합적 보편성에 대한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이해가 국내외적으로 절실한 상황입니다. 우리 속에 녹아있는 다양한 조류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다양한 사상적, 문화적 전통들이 어떻게 한 몸을 이루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좁게 국학으로 구획된 한국학이 아니라 소크라테스, 괴테, 다산, 도스토옙스키, 노자, 부처, 헤밍웨이 등을 포괄하여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의 지적 유산을 한국에서 어떻게 소화해 왔으 며, 현재 어떤 식으로 이 다양한 흐름들을 새롭게 소화해낼 지를 고민하는 학문적 노력이 바로 신한국인문학입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자기이해와 발전은 한국을 미래로 이끌고 갈 핵심 가치와 목표를 제시할 것이며 이를 근거로 한국과 세계의 안녕과 번영을 도모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본 워크숍은 이러한 새로운 한국의 인문학에 대한 열린 논의의 장이 되고자 합니다.
워크숍 일정
7월 16일 금요일 14:00-16:00
인류의 말과 글 1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5794642243
회의 ID: 579 464 2243
발표: 고희정 (서울대학교 언어학), 한국어 우측전위구문의 통사론
토론: 정하경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
발표: 정하경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 문법범주 결핍위계와 탈문법화: 슬라브어 대명사 연구
토론: 고희정 (서울대학교 언어학)
7월 20일 화요일 14:00-17:00
‘신한국인문학’이란 무엇인가? 1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8230351749
회의 ID: 882 3035 1749
발표: 구범진 (서울대학교 동양사학), '외부자 기록'의 가치 인식과 신한국 인문학
토론: 김지현 (서울대학교 종교학)
발표: 박진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한국어학자가 세계언어학계에 기여하는 한 가지 방법
토론: 황선엽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발표: 김두얼 (명지대학교 경제학), 한국경제의 존재감
토론: 김영민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
7월 29일 목요일 14:00-16:00
‘신한국인문학’이란 무엇인가? 2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5325849638
회의 ID: 853 2584 9638
발표: 이석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학장), 신한국인문학이란 무엇인가?
토론: 이정훈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
발표: 박태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세계 한국학의 현재, 그리고 미래
토론: 류준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
8월6일 금요일 14:00-17:00
계몽주의와 반계몽주의 1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2702184794
회의 ID: 827 0218 4794
발표: 안두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 장-자크 루소와 인간 심성의 역사
토론: 김영욱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
발표: 김영욱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 스트라우스의 루소 - 퇴행의 체계
토론: 안두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
8월 10일 화요일 15:00-17:00
아방가르드와 예술 1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8398428777
회의 ID: 883 9842 8777
발표: 김홍중 (서울대학교 사회학), 아방가르드와 전쟁기계
토론: 신정훈 (서울대학교 서양화)
발표: 박상우 (서울대학교 미학), 아방가르드의 매체: 모홀리나기의 매체론을 중심으로
토론: 오윤정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8월 13일 금요일 10:00-12:00
경계인의 초상-소수자 내러티브 2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4424992328
회의 ID: 844 2499 2328
발표: 최윤영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 문학과 폭력 - 김안나의 작품에 나타난 폭력에 대한 문학적 대응
토론: 함수옥 (충남대학교 독어독문학)
발표: 손유경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가두와 서재 - 팔봉과 회월의 해방 전후
토론: 김미지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
8월 13일 금요일 14:00-17:00
인류의 말과 글 2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3199188345
회의 ID: 831 9918 8345
발표: 이성은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 '언어-마음-행동'에 대한 신경화용론적 접근
토론: 손지은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
발표: 김석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 말(馬) 위의 정복에서 말(言) 위의 통치로: 몽골 제국의 언어·문자 정책 검토
토론: 이주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희건설 펠로우)
발표: 손지은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 한국어 모어 화자의 스페인어 구사시 나타나는 경계성조(boundary tone) 전이 연구: semi-spontaneous speech 자료를 바탕으로
토론: 이옥주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
8월 13일 금요일 14:00-17:00
계몽주의와 반계몽주의 2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9092637486
회의 ID: 890 9263 7468
발표: 임재인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 엘리자베스 마쉬의 오리엔탈 포로 서사와 국가 가로지르기
토론: 최유정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
발표: 조성희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 괴테의 『친화력』에 나타난 인간의 조건 - 자유와 필연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토론: 현정선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
발표: 이행남 (서울대학교 철학), 계몽의 그늘? - 악셀 호네트의 사회병리학에서 빗나간 인정과 추상적 권리의 고통
토론: 정대훈 (한국산업기술대학 지식융합학)
8월 17일 화요일 15:00-17:00
아방가르드와 예술 2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3346511346
회의 ID: 833 4651 1346
발표: 오윤정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아방가르드와 고현학(孝現學)
토론: 김홍중 (서울대학교 사회학)
발표: 신정훈 (서울대학교 서양화), 한국현대미술과 전위
토론: 박상우 (서울대학교 서양화)
8월 18일 수요일 13:30-17:30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줌 링크: https://snu-ac-kr.zoom.us/j/89400024840
회의 아이디: 894 0002 4840
발표: 강초롱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 방리외의 예술로서의 프랑스 랩
토론: 이선우 (성신여자대학교 프랑스어문・문화학)
발표: 여운경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수카르노의 탈식민주의 담론과 인도네시아의 권위주의 체제
토론: 구하원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
발표: 권윤경 (서울대학교 서양사학), 줄리어스 스캇의 <모두의 바람> (2018): 식민지 혁명과 의사소통망
토론: 김성엽 (서울대학교 서양사학)
발표: 고태우 (서울대학교 국사학), 해방 전후 법령 변화로 본 식민지 유산 문제와 탈식민 과제
토론: 노상균 (연세대학교 사학과)
8월 27일 금요일 14:30-16:30
경계인의 초상- 소수자 내러티브 2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7178550209
회의 ID: 871 7855 0209
발표: 김정하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 미국 문학과 아시아 인종화의 문제들
토론: 육성희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
발표: 김현균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 와만 포마 데 아얄라의 역사 서술과 경계인적 정체성
토론: 오민욱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