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한국학은 ‘국학’에 해당되는 국문학이나 한국사, 한국철학 등으로 비교적 좁게 이해 되어 왔고, 인문학을 이루는 여타 분야와도 대별되는 범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러한 이해에 맞서 ‘신한국인문학’은 외연을 넓혀 전통적인 국학 분야들을 아우르되 보다 포괄적으로 한국 인문학을 이해하고자 하는 개념틀입니다.
새로운 틀을 제시한 배경에는 한국이 동양을 넘어서서 동서고금(東西古今)의 교차로이자 이 전통들을 소화하여 새로운 사상, 문화를 만들어내는 용광로라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한국이라는 용광로가 다양한 전통을 녹여내어 새로운 보편성을 만들어 내고 있기에 현재 한국에서 나오는 여러 성과가 세계적으로 매력을 가진다는 생각입니다. 한국에 대한 정확하고 포괄적인 이해가 곧 세계에 대한 이해로 직결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는 K-Pop과 K-문화 역시 우리만의 융합에서 나오는 특이한 보편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 융합적 보편성에 대한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이해가 국내외적으로 절실한 상황입니다. 우리 속에 녹아있는 다양한 조류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다양한 사상적, 문화적 전통들이 어떻게 한 몸을 이루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좁게 국학으로 구획된 한국학이 아니라 소크라테스, 괴테, 다산, 도스토옙스키, 노자, 부처, 헤밍웨이 등을 포괄하여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의 지적 유산을 한국에서 어떻게 소화해 왔으 며, 현재 어떤 식으로 이 다양한 흐름들을 새롭게 소화해낼 지를 고민하는 학문적 노력이 바로 신한국인문학입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자기이해와 발전은 한국을 미래로 이끌고 갈 핵심 가치와 목표를 제시할 것이며 이를 근거로 한국과 세계의 안녕과 번영을 도모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본 워크숍은 이러한 새로운 한국의 인문학에 대한 열린 논의의 장이 되고자 합니다.
팀 안내
기독교 신 이름의 한국어 번역과 신 이해 (팀장: 손은실)
물질성과 불교 (팀장: 셈 베르메르쉬)
계몽주의와 반계몽주의 (팀장: 김영욱)
기후・생태 위기와 대전환의 길 (팀장: 고태우)
아방가르드 예술 (팀장: 박상우)
세계영화와 한국영화 (팀장: 임호준)
인문학을 위한 실험 및 데이터 분석 방법론 (팀장: 이성은)
워크숍 일정
1월 14일 금요일 14:00-16:00
기독교 신 이름의 한국어 번역과 신 이해 1 (회의 ID: 841 9927 1421)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4199271421
엘, 엘로힘, 야훼: 이스라엘 하느님의 이름들과 그 함의
발표: 김동혁 (연세대 원주 교목실) 토론: 홍국평 (연세대 신학과)
신약성서의 신 이름들과 그 이름에 나타난 신 이해
발표: 이두희 (대한성서공회 번역담당) 토론: 임성욱 (연세대 신학과)
1월 14일 금요일 14:00-18:00
물질성과 불교 (회의ID: 548 364 4684)
줌링크 : https://snu-ac-kr.zoom.us/j/5483644684
일본 속의 고려 불화 찾아내기-방법론에 대하여
발표: 권지연 (홍익대 문화예술경영대학원) 토론: 이승혜 (리움미술관)
신체와 의복: 한국 불복장을 통해 살펴본 불교 물질문화의 한 단면
발표: 김연미 (이화여대 미술사학) 토론: 셈 베르메르쉬 (서울대 종교학)
물질의 관점에서 본 불교 경판과 서적
발표: 민순의 (한국종교문화연구소) 토론: 권지연 (홍익대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소리에서 문자로, 문자에서 성물로: 고려시대 보협인다라니의 물질문화
발표: 이승혜 (리움미술관) 토론: 김연미 (이화여대 미술사학)
1월 19일 수요일 14:00-18:00
아방가르드 예술 (회의 ID: 832 4949 8322)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3249498322?pwd=eCtZV1VzN1plRVd3RzZ3N0FIMFNnQT09
세계에 대한 믿음: 타르코프스키 영화에 대한 몇가지 고찰
발표: 김홍중 (서울대 사회학과) 토론: 신정훈 (서울대 서양화과)
버려진 놀이동산: 버블 일본과 폐허
발표: 오윤정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토론: 박상우 (서울대 미학과)
1970년대 모더니즘, 아방가르드, 민중
발표: 신정훈 (서울대 서양화과) 토론: 오윤정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Trash 미학: FSA 펀치 사진
발표: 박상우 (서울대 미학과) 토론: 김홍중 (서울대 사회학과)
1월 20일 목요일 13:30-17:10
계몽주의와 반계몽주의 (회의ID: 330 252 4029)
줌링크 : http://snu-ac-kr.zoom.us/j/3302524029
에밀은 어떤 시민인가? - 루소 『에밀』에서 시민교육의 문제
발표: 김영욱(서울대 불어불문학과) 토론: 이행남(서울대 철학과)
헤겔의 자기의식론 - 욕망, 생명, 인정을 통한 계몽의 기획
발표: 이행남(서울대 철학과) 토론: 오지호(단국대 철학과)
문명개화, 진화, 계몽 - 메이지 초기 일본 계몽담론의 전개와 특징
발표: 김도형(세종대 일어일문학과) 토론: 김태진(동국대 일본학과)
계몽의 글로벌 역사는 가능한가
발표: 권윤경(서울대 서양사학과) 토론: 김민철(성균관대 사학과)
1월 21일 금요일 14:00-17:00
기독교 신 이름의 한국어 번역과 신 이해 2 (회의ID: 851 9335 1719)
줌링크 : https://snu-ac-kr.zoom.us/j/85193351719
중국 기독교의 신명(神名) 논쟁: 천주(天主), 상제(上帝), 신(神)을 중심으로
발표: 김석주 (안양대 신학연구소) 토론: 최종성 (서울대 종교학과)
하늘님에서 한울님으로: 동학・천도교에서의 천명(天名)의 변화
발표: 조성환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토론: 김지현 (서울대 종교학과)
‘하느님’, ‘하나님’ 논쟁 재해석과 일치의 길 모색
발표: 손은실 (서울대 종교학과) 토론: 방원일 (숭실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1월 21일 금요일 13:30-17:30
기후・생태위기와 대전환의 길 (회의ID: 849 2351 0450)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4923510450
'그린 뉴딜' 기시감: 20세기 한국의 기후변화 인식을 돌아보며
발표: 고태우 (서울대 국사학과)
'발전'/'성장' 지식・담론・실천의 문제화와 기후・생태위기
발표: 김상현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전환 관리와 체제 전환 사이: 전환 연구의 쟁점과 과제
발표: 홍덕화 (충북대 사회학과)
인류세의 다종적 정의와 다종적 돌봄
발표: 최명애 (KAIST 인류세연구센터)
토론: 이상록 (국사편찬위원회), 황진태 (통일연구원)
1월 25일 화요일 10:00-13:00
인문학을 위한 실험 및 데이터 분석 방법론 (회의ID: 850 9232 5319)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5092325319
운율과 의미 현상: Praat과 온라인 실험 플랫폼을 이용한 실험언어학적 접근
발표: 정선우 (서울대 언어학과) 토론: 문숙영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사회언어학 실험 및 데이터 분석 방법론 - 이중언어화자, 계승어화자의 인터뷰 데이터를 중심으로
발표: 손지은 (서울대 서어서문학과) 토론: 황지희 (서울대 서어서문학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신경언어학 연구
발표: 이성은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토론: 손지은 (서울대 서어서문학과)
1월 25일 화요일 14:00-17:00
세계영화와 한국영화 (회의ID: 876 9980 3213)
줌링크: https://snu-ac-kr.zoom.us/j/87699803213
중국영화 <장진호(長津湖)> 읽기
발표: 이정훈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토론: 김정구 (이화여대 중어중문학과)
사회적 거대 이슈의 문화적 수용 양상: 독일 통일과 독일 영화
발표: 홍진호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토론: 신혜경 (서울대 미학과)
전후 한국과 스페인 영화에 나타난 도시/농촌의 대비와 사회적 무의식
발표: 임호준 (서울대 서어서문학과) 토론: 이해완 (서울대 미학과)
동아시아의 마이너 시네마(Minor Cinema in East Asia)
발표: 강우성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토론: 홍석경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주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지원: 서울대학교 교무처 미래기초학문분야기반조성 사업 & 우송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