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전형적인 학위 논문이 갖출 내용의 목록이다. 논문의 주제와 성격에 따라 모든 내용을 다 따르지 않을 수 있다. 또, 추가될 내용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목록을 지침 삼아 학위 논문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1장 서론 — 연구의 목적과 문제, 그리고 그것이 왜 필요하고 중요한지를 설득하는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근거를 기술한다. (석사 논문 7-10쪽, 박사논문 15-20쪽)
논문의 도입부를 간결하게 작성한다.
연구의 필요성: 이 연구를 해야만 하는 학술 이론적 맥락, 실천 현장의 맥락을 포함한다.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이 연구의 목적은~~~, 이 연구는 ~~~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게 연구 문제이다. 연구 문제는 연구 목적을 분해하여 반복하는 게 아니다. 필요하다면 연구 문제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단락을 덧붙인다.
연구의 중요성: 연구 문제를 해결하고, 연구 목적을 달성해야 할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기술한다. 연구의 필요성을 정당화하는 것과는 좀 맥락이 다르다. 이 연구가 중요한 이론적, 실천적 이유를 쓰라.
용어의 정의: 필요하다면 이 연구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절을 구분해 제시한다.
2장 선행 연구의 고찰 — 논문의 주제와 관련한 문헌을 고찰한다. (30-50쪽)
도입부에 2장 전체의 개요를 소개한다. 고찰하는 주요 이론적 개념을 제시한다. 왜 그 개념을 선택했는지, 고찰할 문헌을 어떻게 선정했는지 제시한다.
문헌은 학위 논문의 연구 목적 및 문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어떻게 학위 논문을 가이드하는가?
고찰 문헌을 심각하게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선행 이론의 결함은 무엇인가? 선행 연구들이 다루지 않은 문제(research gap)는 무엇인가? 이론들 간의 비교를 통해 발견한 것은 무엇인가? 경험 연구들이 서로 다른 결론을 제시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문헌 고찰은 관련 문헌이 단순한 요약 정리가 아니다. 다음 사항을 유의하여야 한다. 1) 관련 이론의 출발점부터 최근까지의 동향, 관련 경험 연구의 동향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나? 2)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3) 이 논문의 이론적 기여 가능성이 문헌 고찰에서 충분히 나타났는가?
3장 연구방법 — 연구의 설계와 진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석사 15쪽 안팎, 박사 40쪽 안팎)
연구방법 소개와 선택의 이유를 중심으로 장 전체의 도입부를 작성한다. 도입부는 짧지 않다. 선택한 연구방법 자체를 충분히 이해했다는 증거를 보여주어야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관련 문헌과 관계 속에서 기술되어야 한다. 연구목적과 문제 없이 연구방법을 택할 수는 없다.
논문의 연구방법은 전체적으로 어떻게 설계되었나? 필요하다면, 파일럿 연구를 기술해 연구설계가 실행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자료 수집: 연구 현장은 어디인가? 왜 그 현장인가? 사례연구라면, 사례를 별도의 절에서 자세히 소개할 필요가 있다. 연구 참여자를 어떻게 모집, 선정할 것인가? (실제 선정 과정) 연구자료를 어떤 조건에서 어떻게 수집할 것인가? 인터뷰를 예정한다면, 질문 목록이 필요하다. 참여 관찰을 예정한다면, 구체적으로 어디인지 기술해야 한다. 표와 그림을 충분히 활용할 것을 권한다. (실제 수집 과정)
자료 분석: 수집한 자료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실제 분석 과정)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방법적인 한계는 없는가?
필요하다면, 연구자 주체성(subjectivity)을 기술한다.
————————————————————————
1-3장은 학위 논문 프로포절에 필수적이다. 프로포절은 향후 연구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그걸 충족하는 게 목표다. 실제 연구를 진행하면서 1-3장 내용을 다시 써야 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는 점을 기억한다. 3장 목록의 괄호 부분은 실제 연구 진행 이후에 완전히 새로 작성할 부분이다. 계획대로 다 이루어지는 연구는 사실상 거의 없다.
————————————————————————
4장 연구 결과 —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기술한다.(정해진 분량 없음)
연구 자료의 분석 내용을 기술한다.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자가 연구를 통해 알게 된 내용을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질적연구 글쓰기 장르에 유념하고, 독자에게 어떤 글을 쓸 것인지를 알려야 한다. 수집한 자료를 제대로 인용해야 한다. 필요에 따라 표와 그림을 포함하는 게 좋다.
4장은 연구 문제의 성격에 따라 여러 장으로 나누어 작성할 수 있다.
5장 결론 -- 논의, 요약, 제언 등을 담는다. (정해진 분량 없음)
연구의 필요성, 중요성을 이 연구가 어떻게 충족시켰는가 기술한다. 이론적 측면을 반드시 포함한다. 이 연구의 이론적 기여를 어떻게 정리할 수 있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일종의 시각화한 모형으로 제시할 수 있나? 2장에서 고찰한 문헌과 관계 속에서 이 연구의 독창성은 어떻게 제시할 수 있나? 모형과 독창성 기술 부분의 분량이 길어진다면, 하나의 독자적인 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실천적 활용 가능성을 논의한다. 교육학 연구는 실천 현장과 깊은 관계 속에 존재할 수 있다. 이 연구가 현장 실천에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가? 이 연구가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활용되기를 기대하는가? 활용할 때 유의할 점은 무엇인가?
후속 연구 과제를 제안한다. 이 연구를 하는 동안 연구자가 배운 것은 무엇인가? 이 연구 경험에 기초해 연구 문제, 연구 방법 등에 대하여 후속 연구자에게 전달해 주고 싶은 바는 없는가?
부록
연구참여 동의서, 참여자 모집에 사용한 서류/문구, 인터뷰 질문 목록, 그밖에 이 논문을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