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중(2025.06.13). 문제제기/발제: 돌봄과 교육. 2025 공동학술대회-돌봄사회와 교육의 과제. (주최)서울특별시교육청 (공동주관) 한국평생교육학회, 한국방과후학회, 한국학부모학회,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한국노년교육학회. (장소) 서울역사박물관 아주개홀. pp. 9-20.
강대중(2024.12.14). 지역 소멸에 대응하는 평생학습 활성화-지역대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경주시 평생교육관계자 워크숍. (주최)경주시 (주관)경주시평생교육사협회 (장소)황룡원.
강대중(2024.11.28). 기조강연: 대학 평생교육의 전환방향. 2024대학평생교육정책포럼. (주최/주관)인천대학교평생교육트라이버시티,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강대중(2024.11.26). 기조강연: 지역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지역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상생. 당진시 평생학습 포럼. (주최)당진시 (장소)당진시청 중회의실.
강대중(2024.11.12). 토론: 전북 라이즈 체제 구축에 부쳐. 전문대학 RISE 체제 구축를 위한 공유·협업 MOU 및 공동 포럼. (주최)전북지역 7개 전문대학 (장소)라마다군산호텔 갈라홀
강대중(2024.10.24). 학부모와 교사 관계 "엇갈린 시선에서 마주보기로 나아갈 수 있을까?" 제1회 교육비전포럼 "학부모와 교사, 공동체로 나아가고 있는가?" (주최) (사)교육비전, (사)좋은교사운동, 한국학부모학회. (장소)경신중고등학교 언더우드기념관. pp. 7-20.
강대중(2024.09.26). 기조강연: 정선군민이 주인이 되는 평생학습-지역과 상생하다. 정선군 평생학습도시 비전 선포식 및 군민참여 대토론회. (주최)정선군. (주관)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장소)파크 로쉬.
강대중(2024.06.28). 중등교육 분야 연구의 미래 방향 토론.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한국 교육학의 미래 방향과 좌표: 한국 교육학 70년 미래 설계. (주최)한국교육학회. (장소)전남대학교 민주마루.
강대중.김기수.황성희(2024.06.15). 장기적 관점의 학부모 연구 설계를 위한 3가지 아이디어 제안. 한국학부모학회 제20차 정기학술대회. (주최) 한국학부모학회. (장소) 서울교육대학교 인문관 103호.
강대중(2024.06.01). 공동재와 평생학습의 관리. 한국평생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최)한국평생교육학회. (장소)공주대학교.
김진한.강대중(2024.06.01). AI시대와 평생학습자로서 교사: 콜보의 '학습유연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최)한국평생교육학회. (장소)공주대학교.
강대중(2024.04.19). 평생교육 동향과 전망: 평생학습도시 재단에 거는 기대. 2024년 평택시 평생교육 포럼. (주최)평택시 (주관)한국평생교육사협회. (장소)평택시 평생학습센터 남부교육장 3층 소강당.
강대중(2024.02.22). 기술발전, 평생학습, 학습사회. 부모교육지도자워크숍. (주최)KACE연합 (장소)안산엠블던호텔.
강대중(2023.12.07). 학부모의 질이 교육의 질을 좌우한다.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목요포럼. (주최)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장소)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강대중.신다영(2023.11.24). 협동조합과 대학평생교육. 상지대학교 미래라이프대학 사회적경제학과 학술세미나: 지방소멸대응과 평생교육의 과제. (주최/주관)상지대학교 미래라이프대학 사회적경제학과. (장소)상지대학교 본관5층 세미나실.
강대중.(2023.11.14). 기조강연: 세대문제와 평생교육: 삶을 길러내는 학습. 2023년 유성구 평생교육 정책 세미나 - 유성구가 선도하는 3050생애도약 평생학습 방향. (주최/주관) 유성구평생학습원. (장소)유성구청 대회의실.
강대중(2023.10.18). 기조강연: 고등.평생교육 대전환과 자치정부의 평생교육 진흥방향.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교육정책 활성화를 위한 2023년 평생교육 정책 토론회 - 지자체와 대학 협업에 기반한 전라북도 평생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주최)전라북도. (주관)전라북도평생교육장학진흥원. (장소) 전북도청 4층 대회의실.
강대중(2023.09.15). 특강: 희망의 시간. 제14회 전국문해교사대회. (주최주관)한국문해교육협회, 거창군,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장소)거창군 문화원.
강대중(2023.09.14). 특강: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대학교육과 평생교육의 방향. 교육도시 대학협력 워크숍 - 지방위기, 교육도시가 답이다. (주최/주관) 거창군, 경남도립거창대학, 한국승강기대학교. (장소) 거창군 미래농업복합교육관
강대중(2023.09.01). 기조강연: 평생학습의 지역화-지역 혁신과 평생학습의 협동 가능성. 2023 세종특별자치시 평생교육 정책 세미나 - 평생학습 5.0시대 평생학습의 새물결. (주최/주관)세종특별자치시, 세종인재평생교육진흥원.(장소)정부세종청사 문화관 2층.
강대중 (2023.07.20). 기조강연: 평생교육과 대학연계 방안 모색: 5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2023년 1차 대전평생교육정책포럼 - 평생교육과 대학연계 방안 모색: 5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주최/주관)대전평생교육진흥원. (장소)대전평생교육진흥원 컨퍼런스홀.
강대중(2023.07.06). 기조강연: 국가평생교육 정책방향과 지자체의 역할. 2023 창원시 평생학습 정책포럼 - 지방 위기를 기회로, 평생교육이 답이다. (주최/주관)창원특례시, 경남신문 (장소) 창원문성대학교 컨벤션홀
강대중(2023.03.07). 기조강연: 대한민국 평생교육 및 평생직업교육 발전방향. 2023 대한민국 평생교육 및 평생직업교육 대전환 정책포럼: 제5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2023~2027년)을 중심으로. (주최) 이태규 의원, 김영호 의원. (주관)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 전문대학평생직업교육협회.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pp. 43-54.
강대중(2022.11.23). 평생교육바우처 지방자치단체 운영현황 및 제도적 방향성. 2022 경기도 평생교육 정기포럼: 평생교육바우처 확산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현안과 대응과제. (주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장소)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컨벤션센터 1층 계단강의실.
강대중(2022.04.20). 특강: 미래교육지구의 Next Stage를 향하여. 2022년 미래교육지구 업무담당자 전체워크숍: 미래교육지구 서로 잇-다. (주최) 교육부 (주관) 공주대학교 지방교육정책개발원 (장소) 세종시티 오송호텔.
강대중(2022.01.25). 총론: 교육에 관한 새로운 사회 계약: 평생학습사회와 창의 인재 국가. NRC 교육혁신포럼-창의적 인재국가를 위한 교육혁신. (주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장소) 양재동 엘타워. pp. 17-27.
강대중(2021.12.10). 평생학습 기본권 보장과 보편적 평생교육 실현. 제1차 국가평생교육정책 대토론회. (주최)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등 (주관)한국평생교육학회 (후원) 교육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국회미래연구원. (장소)전북대학교.
강대중(2021.12.06). 한국의 학습도시 COVID-19 대응전략. 2021울산평생학습국제포럼. (주최) 울산광역시 (주관) 울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후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 (장소) 울산전시컨벤션센터+유튜브
강대중(2021.11.10). 기조강연: 위드 코로나 시대 평생교육 정책 방향. 제28차 대전평생교육정책포럼. 위드 코로나 시대: 평생교육 대전환을 모색하다. (주최) 대전평생교육진흥원 (주관) 대전세종평생교육사협회, 대전지역사회교육협의회 (장소) 대전평생교육진흥원 본관 1층 컨퍼런스홀.
권영세 김홍장 박태완 김호진 곽상욱 한경우 강대중(2021.10.06). 계층 및 세대 간 교육평등을 위한 도시별 제언--시장단 원탁회의. 제10회 안동 국제교육도시연합(IAEC) 아시아태평양 네트워크 지역회의. (주최) 창원시 (주관) 안동시 (후원)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장소) 안동 그랜드호텔.
강대중(2021.08.31). 토론: 평생학습 참여 보장을 위한 평생학습기금과 전생애학제. 제2회 국회미래포럼. 미래의 학교교육과 평생학습: 전망과 대책. (주최) 국회미래연구원. (장소) 여의도 켄싱턴호텔 & Youtube생중계. pp. 49-52.
강대중(2021.08.20). 라운드테이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평생학습을 통한 교육의 미래와 과제: 지역 및 대학과 연계한 평생교육, 직업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2021년도 한국평생교육학회 하반기 연차 학술대회. COVID-19 이후 평생교육의 미래 I - 긴생애, 디지털 환경, 직업역량, 지역평생교육-. (장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디지털미디어센터 & Virtual.
강대중(2021.07.07). 대학정책 패러다임의 혁신과 평생교육. 2021 토론회 - 대학정책의 패러다임, 어떻게 바꿀 것인가. (공동 주최/주관) 강득구 국회의원, 강민정 국회의원, 한국대학학회. (장소) 한국교육시설안전원 9층 중회의실.
강대중(2021.06.01). 특별강연: 전문대학의 평생교육체제 갖추기. 2021 전문대학평생직업교육발전협의회 상반기 정기세미나. (주최/주관) 전문대학평생직업교육발전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장소) 대전 ICC호텔 그랜드볼룸홀.
강대중(2021.03.26). 기조강연: 학습권 보장을 위한 평생교육 전달체계 구축 방안. 성남시 평생학습포럼. (주최) 성남시. (주관) 한국평생교육사협회. (장소) 성남시 위례평생학습관. 유튜브 성남TV. pp. 3-8.
강대중(2021.01.13).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대안교육기관법) 제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토론. 교육대안연구소 창립세미나 -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 통과 그 이후를 말한다. (주최) 교육대안연구소. (장소) ZOOM.
강대중(2020.12.22). 패널토론--교육의 미래를 위한 헌법 개정 의견. 4차 산업혁명 대비 미래 인재 육성 방안과 입법적 과제 세미나 (공동주최) 국회미래연구원·정당정책연구소. (장소) 여의도 켄싱턴 호텔 그랜드스테이션_룸, 유튜브 생중계.
강대중(2020.11.13). '광명시민 평생학습 장학금' 지원 정책 추진에 붙여. '-보편적 학습권 보장-광명시민 평생학습 장학금(가칭)' 지급 토론회. (주최/주관) 광명시. (장소) 광명: 광명시평생학습원 1층 강당. pp. 24-27
강대중(2020.11.11). 독립적 국가교육위원회 운영 설계의 쟁점: 2018년 국가교육위원회법(안) 연구를 중심으로. KEDI-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책포럼. 국가교육위원회 설립,운영 방안 탐색. (주최/주관)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정치학회. (장소) Webex세미나. pp. 3-17.
강대중(2020.09.20). 토론: 온국민평생장학금 추진과 평생교육바우처 확대. 온국민평생장학금 도입과 헌법31조 시대: 포스트코로나를 향한 한국형 기본소득. (주최) 약자의 눈, 온국민평생장학금추진위원회. (후원) 평생학습타임즈, 광명시, 영등포구청, 논산시, 화성시. (장소) 줌 웨비나+유투브 화상토론회. pp. 31-36.
강대중(2020.01.16). 평생학습체제와 직업능력신장. 제3차 평생학습체제 법령 포럼--평생학습체제 수립 및 평생직업교육권 보장을 위한 직업교육법 개정 방안. (주최) 고양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관) 서울특별시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 경기도교육청, 경기도율곡교육연수원, (사)교육정책디자인네트워크, (사)행복한미래교육포럼. (장소) 고양:킨텍스 제2전시장 408호. pp. 45-49.
강대중(2019.12.03). 공적 영역의 평생교육 범위와 의무화 가능성. 광역자치단체 평생교육, 책무성을 둘러싼 대토론회. (주최) 경기도,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주관)한국평생교육사협회. (후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한국평생교육학회. (장소) 수원: 수원컨벤션센터. pp. 33-42.
강대중(2019.11.19). 기조강연: 마을자치와 공동체 교육. 2019 행복남동 교육토론회. (주최)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천동부교육지원청. (장소) 인천: 남동구 평생학습관 4층 강당. pp. 3-13.
강대중(2019.10.25). 평생학습시대의 학부모 담론 탐색. 2019 대한민국 미래교육 한마당. 미래교육과 교육주체의 새로운 역할: 미래교육과 학부모 역할. (주최) 한국교육학회. (후원)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장소) 고양: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404호. pp. 21-34.
강대중(2019.09.06). 사회적경제와 안드라고지: 삶과 앎. 제1회 사회적경제를 위한 안드라고지 포럼--사회적경제 교육훈련의 오늘과 내일. (주최) 쿱비즈협동조합, 이로운넷. (장소후원) 행복나래. (장소) 서울: 사회적기업 행복나래 3층 Supex Hall.
강대중(2019.02.08). 평생학습 활성화를 통한 주민자치 기반 강화. 사회혁신과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평생학습+주민자치.(주최)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주관)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후원) 교육부, 행정안전부. (장소)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 pp. 51-65.
강대중(2018.12.10). ‘학교’라는 경계선과 평생학습. 2018 관악구 학교밖청소년 욕구조사 보고 및 포럼. 주최: 관악구 학교밖청소년네트워크. (장소) 서울: 관악구청 8층 대강당. pp. 91-96
강대중(2018.10.23). "시민참여교육 모형 검토: '서울대-구로구 시민지도자아카데미' 사례를 중심으로." 2018 교육종합연구원 평생교육센터 학술포럼. 사회변화와 비판적 성인교육: 새로운 이론구조 탐색. (주최)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평생교육연구센터. (장소) 서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0-1동 507호. pp. 78-86.
강대중(2018.11.29). "평생학습, 사회적경제, 마을공동체" 2018 인천광역시 평생교육 정책포럼—인천 평생학습 생태계 활성화: 마을만들기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그리고 평생교육. (주최)인천광역시 (주관)인천평생교육진흥원 (후원)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장소) 인천: 인천문화예술회관 회의장. pp. 35-47.
강대중(2018.08.31). 토론. 발달장애 평생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한 워크숍. (주최) 국립특수교육원. (주관) 서울대 교육종합연구원 특수교육연구소. 서울교육대학교 발달장애교육연구소. (장소)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0-1동 101호. pp. 83-85.
김신일.강대중.김성렬.노기호.황준성.(2018.06.23).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방안 쟁점 사항".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방안 패널토론. 2018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융복합 시대의 공교육 혁신. (장소) 제주국제컨벤션센터.
강대중(2018.02.01). 토론. 2018년 평생교육정책세미나: 평생교육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말하다. (주최) 대전평생교육진흥원 (주관)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장소) 대전: 대전평생교육진흥원 보문산관 1층 컨퍼런스홀. P. 39.
강대중(2017.11.12). 토론. 다름을 인정하며 변화를 추구하는 교회 공동체. 2017수표교포럼: 밖에서 본 한국교회, 안에서 본 한국교회. (주최) 수표교포럼위원회 (장소) 서울: 수표교교회. pp.17-19.
박지숙.강대중(2017.11.03). 전통시장 상인들의 공동자산 구축과정에서의 집단학습 연구: 망원시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2017년 한국평생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평생교육과 사회정의. 11월 3-4일. (주최) 한국평생교육학회. (장소) 공주: 공주대학교 옥룡캠퍼스 한마루관. pp. 121-137.
Kang, Dae Joong(2017.11.02). Korean lifelong learning. 평생학습정책상호교류세미나: 아시아 평생교육의 정책 교류 및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중앙아시아 평생교육 방한단). (장소) 서울: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
강문정.강대중(2017.10.21). 초등학교 학부모되기: 상위권 자녀를 둔 서울 중산층 엄마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학부모학회 제7차 정기학술대회: 학부모의 교육주체성 구현. (장소) 춘천: 강원대학교 교육관4호관 1층 강당. pp. 111-132.
강대중(2017.09.29). 서민의 평생교육 참여 제고를 위한 바우처 제도. 평생교육 정책 포럼-새로운 국가평생교육을 향하여: 국민의 삶을 책임지는 평생교육 정책과 과제. (주최) 설훈국회의원, 유은혜국회의원, 김민기국회의원, 김병욱국회의원, 이동섭국회의원, 조승래국회의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장소) 국회도서관 대강당. pp. 9-24.
강대중(2017.07.10).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평생학습 바우처 제도. 평생교육 법과 제도 정책 제안 공청회: 국가가 책임지는 모두의 평생학습. 7월 10일. (주최) 유성엽국회의원. 김병욱국회의원. 주관: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한국평생교육사협회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 (장소) 국회도서관 대강당. pp. 129-140.
강대중(2017.06.28). 평생교육사 제도 개선의 방향 모색. 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광명시 평생교육사 현황과 평생교육사 제도 개선 토론회. (주최)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주관) 한국평생교육사협회 광명지회. (장소) 광명시평생학습원 308호. pp. 5-15.
강대중(2017.05.26). 대학평생교육의 활성화.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평생학습정책 기획학술포럼. (주최) 한국평생교육학회. (장소) 중앙대학교 법학관. pp. 151-152.
강대중.조성민.유주영.김윤희(2016.10.22). 평생학습마을 유형 분석 연구-경기도 '골든트라이앵글 사업' 참여 마을을 중심으로-. 2016 한국평생교육학회 50주년 기념 연차학술대회-평화, 공존 그리고 평생학습-. 10월 21-22일. (주최) 한국평생교육학회. (장소) 서울 중앙대학교 R&D 센터.
강대중(2016.07.29). 연구자 이야기: 자료의 창출에서 글쓰기까지. 2016년도 한국교육인류학회 하계워크숍: 질적 자료의 활용과 재현의 다양성 탐색. 7월 29-30일. (주최) 한국교육인류학회. (장소) 경기도 가평: 청심국제청소년수련원.
강대중(2016.06.23). 평생학습시대 대학의 미래.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제48차 임시총회 및 원장 세미나. 6월 23-24일. (주최)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장소) 제주: 해비치 호텔 & 리조트 크리스탈홀. pp. 1-15.
강대중(2016.06.18). 만약 학교가 특정 학습양식의 소유자에게 유리한 곳이라면, 학부모는 무엇을 (요구)해야 하는가? 한국학부모학회 창립 2주년 기념학술세미나--학부모의 눈으로 교육을 다시 본다. (주최) 한국학부모학회. (장소) 서울: 성균관대학교 국제관 9B118호. pp. 161-162.
강대중(2016.03.03). 군 경험 대학 학점 인정의 조건. 군 교육훈련 경험의 학점인정 방안 공청회. (주최)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국방부-교육부 공동연구기관). (장소) 서울: 육군회관 1층. pp. 49-51.
강대중.박지숙.김의태(2016.02.23). 지역지식(地域知識, Local knowledge) 개념 탐색-평생교육 연구에의 함의-. 제5회 미래교육디자인 학술대회: 새로운 교육학을 위한 시론. (주관) 서울대학교 BK21 플러스 미래교육디자인 연구사업단. (장소) 서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2동 401호. pp. 53-67.
강대중(2016.01.15). 자유토론. 고교 자유학년제 오디세이학교의 전망과 과제. (주최) 서울시교육청. (장소) 서울: 연세대학교 외솔관 110호.
강대중(2015.11.23).순응.확장.관리-아산의 학습생애. 아산 정주영 탄신 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아산, 그 새로운 울림: 미래를 위한 성찰. (주최) 아산사회복지재단. (장소) 서울: 그랜드 하얏트호텔 그랜드볼룸. pp. 31-36.
박지숙.강대중(2015.11.14). 자생적인 지역주민 학습조직의 실태와 지역참여. 제41차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연차대회(11/13-14). 지역평생교육과 창조적 협력. (주최)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장소) 순천: 에코그라드호텔. pp. 139-150.
강대중(2015.10.30). 토론: 10%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면. 서울혁신미래교육 정책포럼--"초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한 고교체제 개편방안 연구". (주최)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서울교육정책연구소. (장소) 서울: 서울시교육청 9층 회의실. pp. 5-8.
강대중(2015.10.17). 평생교육 연구의 글로벌화. 한국평생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우리가 걸어가면 길이 됩니다: 한국평생교육학회 49년,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주최) 한국평생교육학회. (장소) 제주: 제주대학교 국제교류회관. pp. 189-197.
강대중(2014.06.19). 학부모의 학습생애경로 연구-학부모학회의 한 과제-. 학부모학 연구의 의의와 학회의 역할. 한국학부모학회 창립 기념세미나 및 총회 자료집. (주최) 한국학부모학회 창립 준비위원회. (장소) 서울: 성균관대학교 국제관 2층. pp. 16-19.
강대중(2014.04.19). 사회적 약자의 학습권 보장과 평생교육. 희망의 인문학 10년-그 성과와 전망 심포지엄. (주최) 성프란시스대학,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후원) 코닝정밀소재,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장소) 서울: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4층 대강당. pp. 73-81.
강대중(2014.03.21). 토론: 교육평등법(가칭) 제정 의의와 기대효과에 대한 토론. 교육평등법(가칭)제정을 위한 토론회. (주최) 국회의원 안민석. (장소) 서울: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
강대중(2014.03.12). 소셜 및 학습생애경로 디자인 연구의 방향. 미래교육디자인 기획 심포지엄1: 소셜 디자인 및 학습생애경로 디자인. (주최) BK21플러스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장소) 서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1동 311호. pp. 21-26.
강대중(2014.03.04). 토론: 대학개혁에 대한 학생 당사자 시야의 확장-국립대 통합네트워크(안) 학생자율세미나에 붙여-. 2014년 학생자율교육프로그램 심포지엄 및 워크숍. (주최)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학생자율교육프로그램 운영실. (장소) 서울: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pp. 112-113.
강대중(2014.02.14). 토론: <매트릭스>와 <아바타>: 가상현실과 교사교육 디자인. 제1회 미래교육디자인 세미나. 새로운 교육학을 위한 시론. (주최) 서울대학교 BK+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장소) 서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2동 401호. pp. 95-97.
강대중(2013.12.09). 토론: 평생학습도시 지원 정책의 입체화. 제15차 평생교육정책포럼--국민의 삶과 평생교육정책: 학습하는 국민이 학습국가를 만듭니다. (주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장소) 서울: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강당. pp. 147-148.
강대중(2013.10.15). 평생학습 관점의 고등교육 전략 검토가 필요하다-PIAAC 한국 성인의 스킬 현황에 대한 토론-. OECD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세미나. (주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장소) 서울: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무궁화홀. pp. 33-36.
강대중(2013.10.05). 평생교육 관점에서 본 장애인을 위한 문화예술. 장애인 문화예술복지 그 다양한 시각, 개념 그리고 가능성. 주관: (사)장애인문화예술진흥개발원. (주최)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장소)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pp. 21-32.
강대중(2013.09.27). 평생학습 개념의 내포와 외연. 한국평생교육학회 학술포럼. (주최) 한국평생교육학회. (장소) 아산: 순천향대학교 유니토피아관. pp. 15-25.
강대중(2013.08.14). 패널토론: 군 경험을 통한 학습결과의 사회적 인정.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정책세미나. 군장병의 보람있는 군복무를 위한 군 경험의 사회적 인정 확대 전략. (주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장소) 서울: 중소기업중앙회 제1대연회실. pp. 91-92.
강대중(2013.03.25). 종합토론: 평생학습곡선과 인생 이행기의 평생학습 지원. 제10차 평생교육정책포럼. 행복학습사회로의 초대: 새 정부 평생교육 정책의 비전과 과제. (주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장소)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19층 기자회견장. pp. 111-115.
강대중(2013.02.05). 토론. 제11회 역량기반교육 세미나. 한국교육의 쟁점. (주최)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BK21사업단. (장소) 서울: 서울대학교 사범교육협력센터.
강대중(2012.12.11). 주제발표: 평생교육적 접근을 통한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충남 희망그린협동조합 대토론회. (주관) (사)충남사회경제네트워크. (주최) 충남평생교육진흥원. (장소) 천안시청 대회의실. pp. 51-60.
강대중(2012.12.06). 주제강연: 평생학습시대의 숲, 생명, 교육. 숲문화체험교육의 발전방향 심포지엄. (주최) 한국녹색문화재단. (장소) 서울: 여의도 산림비전센터 2층 대회의실. pp. 9-17.
강대중(2012.11.29). 주제발표: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및 사후관리 개선 방안. 학점은행제 개원 15주년 기념세미나. (주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장소) 서울 양재엘타워 그랜드홀. pp. 77-93.
강대중(2012.11.28). 주제발표: 지역사회혁신을 위한 대학과 지자체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협업. 2012 서대문구 평생학습포럼. (주최) 서대문구. (장소) 서울: 서대문구청. pp. 67-79
김의태.강대중(2012.06.29). 노숙인자립을 위한 인문교양교육의 가능성.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6.28-29). (주최) 한국교육학회. (장소) 서울: 서울대학교 교육정보관.
강대중(2011.10.28). 학습시민: 지역평생교육의 지향점. 동아시아평생교육심포지엄. (주최) 시흥시-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장소) 시흥시청 대회의실. pp. 39-58.
강대중(2011.10.05). '평생교육사의 영역별 다양화 전략'에 대한 토론. 제11차 평생교육정책포럼: 100세 시대, 평생교육사의 미션과 역량. (주최) 평생교육진흥원. (장소) 서울: 사학연금관리공단 서울회관 세미나실. pp. 51-57.
강대중(2011.02.16). 고려대학교 BK21 교육학국제화 사업단 역량제고 활동 사례연구에 대한 토론. 제7회 역량기반교육 세미나: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대학원 역량교육의 방향과 과제. (주최) BK21 역량기반 교육혁신 연구사업단. (장소) 서울대학교 교육정보관.
강대중(2010.10.09). 한국 사회적기업의 성장을 위한 평생교육학의 과제-맥락, 현상, 미래-. 한국평생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주최) 한국평생교육학회. (장소) 대구: GS프라자호텔. pp. 43-64.
강대중(2010.04.24). ‘성인의 사회적자본 유형별 추이 분석과 교육적 함의’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평생교육 분과학회. (주최) 한국교육학회. (장소) 한국교원대학교. pp. 108-111
강대중(2010.04.23). 패널토론. 제3차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포럼. 제2주제 정책협력을 통한 예술교육 제도 확립방안.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장소) 강릉: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회의실.
강대중(2009.06.29). 평생교육 연구영역으로 문화예술교육, 한국평생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평생교육 연구 영역과 담론의 새로운 조망. (장소) 강원도 강릉시 평생학습관. pp. 309-316
강대중(2009.05.22). 평생교육기관과 평생학습도시의 역할모델 종합토론. 평생교육기관과 평생학습도시의 바람직한 역할모델 심포지엄, (주최) 인천광역시 평생학습관. (장소) 인천광역시 평생학습관
강대중(2009.04.25). 평생교육의 법적 위상과 영역. 한국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분과학회(한국평생교육학회) 발표논문집. (장소) 경북대학교. pp. 57-67.
강대중(2009.03.24). 평생교육의 법적 위상과 영역. 한국평생교육학회 라운드 테이블 세미나-주제: 평생교육과 인적자원개발의 대통합. (장소) 서울역 회의실.
강대중(2009.01.31). 평생학습이론구축의 방법론-생애사를 중심으로. 2009년 한국평생교육학회 동계학술포럼. 2009년 1월 31일. (장소) 서울역 회의실
강대중(2008.10.17). ‘평생학습과 학습사회의 의미와 전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에 대한 토론. 2008년 한국평생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장소) 전남 순천제일대학.
강대중(2008.04.26). ‘영국의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고등교육 개혁 정책의 역사적 맥락 분석’에 대한 토론. 2008년 춘계 한국교육학회 평생교육분과학회. (장소) 강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