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3월 16일: [홍기훈의 ESG 금융] 도시와 기후변화 (3) 기후변화가 도시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지난 칼럼에서는 도시들이 기후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보여드렸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도시가 기후변화에 얼마나 영향받고 있는지에 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2023년 03월 02일: [홍기훈의 ESG 금융] 도시와 기후변화 (2) 도시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지난 몇번의 칼럼을 통해 선도그룹연합(FMC)에 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칼럼부터는 '도시와 기후변화'를 주제로 다시 다뤄보겠습니다.
2023년 02월 17일: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과 우리의 대응 방안
지난 칼럼에서는 선도그룹연합(FMC, First Movers Coalition)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필자가 생각하는 우리의 (정확히는 우리 정부의) 대응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겠습니다.
2023년 02월 02일: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에 대한 정리와 소고
지난 네 편의 칼럼을 통해 선도그룹연합(FMC, First Movers Coalition)에 대한 정보를 독자들에게 공유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FMC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하고 필자의 생각을 전달해 보려고 합니다. 지난해 12월, FMC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 이유는 명백히 보이는 현실성과 높은 실행 가능성, 그리고 FMC의 높은 잠재적 영향력 때문이었습니다.
2023년 01월 19일: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이 지닌 차별성
지난 칼럼에서 선도그룹연합(First Movers Coalition)이 어떤 활동들을 추구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선도그룹연합의 차별성에 관해 다뤄보겠습니다.
2023년 01월 05일: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이 추구하는 활동들
지난 칼럼에서 선도그룹연합(FMC)의 역사에 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선도그룹연합이 어떤 활동들을 추구하는지 다뤄보겠습니다. 선도그룹연합은 설립된 지 2년이 채 되지 않은 신생 연합이므로, 아직은 활동 계획에 불과하다는 점을 참고 바랍니다
2022년 12월 22일: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의 아주 짧은 역사
지난 칼럼에서는 선도그룹연합(FMC)이 무엇인지 다뤘습니다. 간단하게 다시 설명하면, FMC는 탄소 감축이 쉽지 않은 8개 산업에 혁신적인 탄소 저감 및 청정 기술 도입을 촉진하려는 목적으로 결성된 기업 연합체입니다.
2022년 12월 08일: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이란 무엇일까?
선도그룹연합(First Movers Coalition)이라는 단어가 드디어 우리나라에서도 들려옵니다. 아직은 국내에서 많은 관심을 끄는 수준은 아니지만, 조만간 글로벌 ESG의 방향성을 결정할 중요한 조직이기에 이번 칼럼에서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2022년 11월 24일: [홍기훈의 ESG 금융] 도시와 기후변화 (1) 도시가 탄소배출 감축을 주도해야 하는 이유
지난 칼럼을 통해 ESG 채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칼럼부터는 '도시와 기후변화'라는 주제를 다뤄보겠습니다.
2022년 11월 11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7) 채권과 ESG에 대한 핵심 질문들
오늘은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던져야 할 핵심 질문들을 표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10월 27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6) 채권투자 포트폴리오에 ESG를 반영하는 6가지 방법 Part2.
오늘은 네 번째인 포지티브 스크리닝부터 마지막인 ESG 테마채권 발행까지 살펴보겠습니다.
2022년 10월 13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5) 채권투자 포트폴리오에 ESG를 반영하는 6가지 방법 Part.1
채권 투자 포트폴리오에 ESG를 반영하는 6가지 방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먼저 3가지를 언급합니다.
2022년 09월 29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4) ESG가 채권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이번 칼럼에서는 ESG가 채권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 09월 15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3) ESG 관련 채권들
ESG와 관련해 투자 가능한 (기업이 발행 가능한) 채권들은 크게 네 가지가 있습니다.
2022년 09월 01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2) ESG는 채권 가치에 영향을 미칠까?
채권에 ESG 요인들을 반영하려면, ‘도대체 왜 채권의 가치에 ESG가 중요한지’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단순히 ‘ESG를 못 하는 회사는 나쁜 회사’라는 1차원적 이유로 고객 자금을 투자할 수는 없습니다.
2022년 08월 18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1) 채권투자에 ESG 반영하기
과거 한동안 녹색채권이 인기였습니다. 당시까지만 해도 녹색채권은 투자자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을 통해 발행되는 구조였습니다. 즉, 친환경적 목표를 기업이 달성해야 한다고 믿는 투자자들이 타겟이었습니다.
2022년 08월 04일: [홍기훈의 ESG 금융] RE100을 알아보자 (4) RE100은 언제까지 달성해야 할까?
지난 칼럼에서 RE100을 달성하지 못한 기업은 유럽으로의 수출 시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2022년 07월 21일: [홍기훈의 ESG 금융] RE100을 알아보자 (3) RE100은 새로운 무역 장벽일까?
앞서 게재한 두 건의 칼럼에서 이야기했듯, RE100이란 기업이 사용하는 에너지를 100% 친환경 에너지로 바꾸겠다는 ‘캠페인’입니다. 꼭 지켜야 하는 강제 요소가 아닙니다.
2022년 07월 07일: [홍기훈의 ESG 금융] RE100을 알아보자(2) RE100을 달성하는 방법은
RE100은 ‘Renewable Energy 100’의 줄임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로 충당한다는 캠페인입니다. 자료를 찾아보면 2021년 기준으로 구글과 애플, 레고와 메타 등 세계 굴지의 기업 61곳이 RE100을 달성했다고 합니다.
2022년 06월 22일: [홍기훈의 ESG 금융] RE100을 알아보자 (1) 왜 우리는 RE100을 진지하게 바라보는가?
ESG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RE100’입니다. ‘Renewable Energy 100’의 줄임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로 충당한다는 캠페인입니다.
2022년 06월 09일: [홍기훈의 ESG 금융] 재무분석의 대가, 다모다란 교수가 지적한 ESG
애스웟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뉴욕대학교 스턴 비즈니스 스쿨(New York University Stern Business School) 교수는 ‘가치 분석의 학장(Dean of Valuation)’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합니다. 미국 월스트리트 가에 있는 수많은 금융 기업이 그에게 가치 분석 자문을 받습니다. 그가 쓴 저서 ‘투자 가치 평가(Investment Valuation)’는 기업 가치 평가의 교과서로 불리우기도 합니다. 사실상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기업 분석 전문가라고 볼 만합니다.
2022년 05월 25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9 : 아폴로 병원의 ESG 위험 요인 반영 사례
지난 칼럼에서는 얼라이언스번스타인이 도출해 낸, 아폴로 병원이 직면한 ESG 위험 요인을 이야기했습니다.
2022년 05월 11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8: 아폴로 병원 분석에 쓴 ESG 위험 요인
지난 칼럼에서는 아폴로 병원의 내부수익률(IRR, Internal Rate of Return)과 기준자본비용을 산정하는 과정을 알아봤습니다. 내부수익률은 투자 업계가 어떤 사업에 투자하기 전에 수익성을 판단할 때 쓰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내부수익률이 기준자본비용보다 높다면, 그 투자는 수익이 난다는 이야기입니다.
2022년 04월 25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 미치는 영향 Part 7: 아폴로 병원의 내부수익률과 기준 자본비용 산정과정
지난 칼럼에서는, 인도에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아폴로 병원에 어떤 추가 잠재력이 생겼는지를 알아봤습니다.
2022년 03월 31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6: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한 의료수요 증가
지난 칼럼에서 인도의 거시경제적 상황을 토대로 아폴로 병원의 경쟁 우위를 살펴봤습니다.
2022년 03월 17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5: 아폴로 병원의 거시경제적 경쟁 우위
지난 칼럼에서 인도 아폴로 병원의 혁신 운영 전략 ‘허브 앤 스포크’를 살펴봤습니다. 기준이 될 연결점을 정하고, 그 주변에 가지를 여러 개 만들어 비즈니스 연결 고리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2022년 03월 03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4: 아폴로 병원의 혁신 전략 ‘허브 앤 스포크’
지난 칼럼에서 인도 아폴로 병원이 처한 상황을 알아봤습니다. 인도에서 가장 큰 병원 체인이자 상장 기업, 인도 전역에 병원 체인을 가진 이 병원은 세계보건기구의 1인당 병원 침대 권장량을 만족하려 침상을 더 샀습니다. 사업 규모는 커졌지만, 수익성에 부담이 생겼습니다.
2022년 02월 18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3: 자산운용사가 주목한 ‘아폴로 병원’
지난 칼럼에서 자산운용사 얼라이언스번스타인(AllianceBernstein)의 투자 프레임 내부수익률, 기준 자본비용 등의 정의와 산업 동향 분석 기법을 살펴봤습니다.
2022년 02월 03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2: 자산운용사의 투자 프레임
지난 칼럼에서는 기업이 가진 경제적인 생존 능력과 성장 가치를 분석하는 펀더멘탈 분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2년 01월 20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1: 펀더멘탈 분석이란?
지금까지 일곱 차례에 걸쳐 AGF 자산운용이 석유 화학 기업 A사의 가치를 산정할 때, ESG 요인을 어떻게 통합(integrate)했는지 알아봤습니다.
2022년 01월 06일: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7
지난 칼럼에서 AGF 자산운용이 A사의 매출과 비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ESG 요인을 기업의 가치에 어떻게 반영했는지 살펴봤습니다.
2021년 12월 23일: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6
앞서 AGF 자산운용은 석유화학 산업계에 특수 화학 물질을 공급하는 기업, A사의 가치를 분석 중이었습니다.
2021년 12월 8일: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5
지난 컬럼에서 AGF 자산운용이 주요 ESG 요인을 A사의 매출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살펴봤습니다. 이번 컬럼에서는 AGF 자산운용이 이 ESG 요인을 A사의 ‘영업 비용’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1년 11월 25일: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4
지난 칼럼에서 AGF 자산운용이 특수 화학 물질 공급사 A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 주요 ESG 요인을 어떻게 이끌었는지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주요 ESG 요인을 기업의 매출에 어떻게 적용했는지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2021년 11월 12일: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3
기업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반영하는 방법, 먼저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과 그 산업에서의 ESG 유행을 조사합니다. 비즈니스모델 분석은 그 다음입니다. 여기에서 명심할 것은, 그 기업의 일반적인 기본 분석이 끝난 다음에 ESG 요인을 반영해 기업을 다시 분석해야 하는 점입니다.
2021년 10월 29일: [홍기훈의 ESG 금융] 매출과 이윤에 ESG의 영향을 평가한 사례 Part 2. AGF Investments Inc.
지난 칼럼에서는 포트폴리오에 편입할 주식을 분석하는 두 가지 방법인 탑-다운, 바텀-업 분석에 ESG 요인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자산운용사인 AGF Investments Inc. (이하 AGF 자산운용)가 석유화학 산업에 속한 기업을 어떻게 발굴하고 ESG 기반으로 분석했는지 사례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2021년 10월 15일: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1
지난 칼럼에서는 국가 채권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AGF Investments’라는 회사가 과거 기업을 분석할 때 어떻게 ESG 요인을 활용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021년 10월 01일: [홍기훈의 ESG 금융] 채권 분석에 ESG 요인을 적용하는 방법 Part 3: 국가 신용 분석
지난 칼럼에서는 기업 채권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2021년 09월 17일: [홍기훈의 ESG 금융] 채권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적용하는 방법 Part 2: 기업신용분석
지난 칼럼에서 '채권을 분석할 때 ESG 요인들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기업의 채권을 분석할 때, 즉 기업신용분석에서 ESG 요인들을 어떻게 반영하는 지 알아볼 차례입니다.
2021년 09월 03일: [홍기훈의 ESG 금융] 채권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적용하는 방법 Part 1: 개요
앞서 두차례 칼럼에서, 주식 분석 전략 가운데 ‘기본적 분석’과 ‘체계적 분석’을 할 때 ESG 요인을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를 살펴봤습니다.
2021년 08월 20일: [홍기훈의 ESG 금융] 주식 분석에 ESG 요인을 적용하는 방법 Part.2
지금까지는 실무자들이 금융투자와 분석에 ESG 요인을 반영할때, 질적 정보를 활용해 투자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최근에는 외부 리서치로 ESG 요인에 대한 정량 점수를 만들어, 기업 활동과 가치를 분석할때 쓰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2021년 08월 06일: [홍기훈의 ESG 금융] 주식 분석에 ESG 요인을 적용하는 방법 Part.1
지금까지는 실무자들이 금융투자와 분석에 ESG 요인을 반영할때, 질적 정보를 활용해 투자 의사결정 정보를 제작,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최근에는 기업 활동과 가치를 분석할때 외부 리서치로 ESG 요인에 대한 정량 점수를 만들어 쓰는 일이 늘고 있습니다.
2021년 07월 23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 통합이 주식·채권 분석에 미친 영향은?
일반적으로 ESG 통합은 정량적 분석보다 질적 분석 위주로 이뤄졌습니다.
2021년 07월 09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 통합으로 오해하면 안될 네가지 투자 요인
몇몇 금융 업계 관계자가 제게 물었습니다. “ESG 통합을 시도할때, 투자 대상에서 제외할 산업이나 기업을 알 방법이 있을까요?” 이 질문의 전제는 투자 의사를 결정할때 ‘ESG 통합’과 ‘배제적 스크리닝(Exclusionary Screening, 특정 기업이나 산업에 대한 투자를 일괄 배제하는 행위)’을 동일선상에 놓은 것입니다.
2021년 06월 25일:[홍기훈의 ESG금융] ESG 통합을 생각할 때 유의할 점은?
ESG 경영을 추구하는 기업의 경영진, 금융 산업 실무자들은 ESG integration(통합)을 고민하게 됩니다. 투자하기 전 분석할때, 투자를 결정할때 전통적인 재무 요인은 물론 ESG 요인까지 체계적으로, 명확하게 포함하는 것이 ESG 통합입니다.
2021년 06월 11일: [홍기훈의 ESG 금융] ESG를 금융 관점으로 봐야 하는 이유
ESG는 2006년 코피 아난 UN 전 사무총장이 발표한 6가지 UN 책임투자원칙(United Nation’s Principles of Responsible Investment, UN PRI)을 근간으로 정립한 개념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투자와 함께 언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