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孟子) 고자장구 하(告子章句 下) 15. 天將降 大任於是人(천장항 대임어시인)
孟子曰 舜(맹자왈순)은 發於畎畝之中(발어견무지중)하시고
맹자가 말하기를 “순은 밭 가운데서 기용되었고
傳說(전열)은 擧於版築之間(거어판축지간)하고
부열은 성벽 쌓는 틈에서 등용되었고
膠鬲(교격)은 擧於魚鹽之中(거어어염지중)하고
교력은 생선과 소금 파는 데서 등용되었고
管夷吾(관이오)는 擧於士(거어사)하고
관이오는옥관에서 잡혀 있었는데서 등용되었고
孫叔敖(손숙오)는 擧於海(거어해)하고
손숙오는 바닷가에서 등용이 되었고
百里奚(백리해)는 擧於市(거어시)하니라
백리해는 시정에서 등용되었다
故(고)로 天將降 大任於是人也(천장항 대임어시인야)신댄
그러므로 하늘에서 그러한 사람들에게 큰 일을 맡기는 명을 내리면
必先苦其心志(필선고기심지)하며 勞其筋骨(노기근골)하며
반드시 먼저 그들의 심지를 괴롭히고 그들의 근골을 수고롭게 하고
餓其體膚(아기체부)하며 空乏其身(공핍기신)하여
육체를 굶주리게 하고 그들 자신에게 아무것도 없게 하여서
行拂亂其所爲(행불난기소위)하나니
그들이 하는 것이 그들이 해야 할 일과는 어긋나게 만드는데
所以動心忍性(소이동심인성)하여
그것은 마음을 움직이고 자기의 성질을 참아서
曾益其所不能(증익기소불능)이니라
그들이 해내지 못하던 일을 더 많이 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해서이다
人恒過然後(인항과연후)에 能改(능개)하나니
사람들은 언제나 과오를 저지르고 난 후에야 고칠 수 있고
困於心(곤어심)하며 衡於慮而後(형어려이후)에 作(작)하며
마음속으로 번민하고 생각으로 달아보고 난 후에야 일어나(할수있)고
徵於色(징어색)하며 發於聲而後(발어성이후)에 喩(유)니라
안색으로 나타내고 음성으로 발하고 난 후에야 안다
人則無法家 拂士(인칙무법가 불사)하고
들어가면 법도 있는 세가와 보필하는 선비가 없고
出則無敵國 外患者(출칙무적국 외환자)는
나가면 적국과 외부에서의 우환이 없다면
國恒亡(국항망)이니라
그런 나라는 언제나 멸망한다.
然後(연후)에
그렇게 되고 난 후에야
知生於憂患而 死於安樂也(지생어우환이 사어안락야)니라
후환 속에서는 살고 안락 속에서는 망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240115) 31살 힘들 때 읽던 글은 위로가 되었는데
61살에 다시 읽으려니 눈물이 나오려 하네
生不論魂 死不認尸(생불논혼 사불인시)
살아서는 자기의 영혼에 대해 설명할 수 없고,
죽고 나서는 자신의 죽은 모습을 알 수 없다.
後歳之 後知也 나중세월은 나중에야 안다. (낸중 일은 낸중 되봐야 알쥬) -素道
001 - Feb 28, 2013 3:21:19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