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알고 있겠지만
사회에서 "기본이 안돼있다." "기본이 없는 x이다." 라고 하면 듣는 기분은 좋겠습니까?
시설관리업계에서 기본이 안돼있다 는 말은 그냥 매뉴얼을 숙지하지 못하였다고 받아들이면 된다고 봐요
"매뉴얼 숙지" 말이 쉽지 그 많은 매뉴얼을 어떻게 다 숙지합니까 머리 좋다고 인정받은 명문대 출신을
시설관리 업계에 서 찾아보기 어려운 것도 매뉴얼 숙지가 너무 힘들어서 그런 것 아닌가요?😜
이 계통에서 오래하신 선배님들도 그와 같은 고민을 많이 하다가 매뉴얼을 외우는 것보다는 원리를 이해해 보시겠다고
각고의 노력하시어 원리를 터득하신 분들이 계시는데 원리를 잘 안 가르쳐 주시드라고요!
이해는 잘 못하고 있지만 우연히 얻은 원리 하나 공개합니다.
전기설비에서 절연테이프가 있다면 기계설비에서는 고무바가 있다!
건물(빌딩) 자동제어 프로그램
●SIEMENS 지멘스 자동제어 데지고CC(Desigo CC)
전자식 기동용압력스위치
▶가압송수방식에 따른 분류
① 고가수조방식
② 압력수조방식
③ 펌프방식
▶기동방식에 따른 분류
① 수동기동방식(on - off방식) :소화전함에 필수적으로 보호판을 부착한 기동(on)-정지(off)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다.
② 자동기동방식(기동용수압개폐장치방식) :
㈀ 압력챔버방식 : 압력챔버에는 두개의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가 장치되어 있는데 각각 주펌프와 충압펌프(보조펌프)를 기동/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신한다.
㈁ 기동용압력스위치 방식 :압력챔버를 사용하지 않고 배관에 압력스위치를 직접 연결하는 방법으로 기계식과 전자식이 있다.
*소경피소소(소화설비/경보설비/피난설비/소화활동설비/소화용수설비)
스노우 멜팅 Snowmelting
화장실 배기 디퓨저
쓰레기 분리수거장·흡연실 · 지붕과 벽체(칸막이) 재료
THK10 복층 폴리카보네이트
//피난 방화구획 으로 검색
//헌법-법률-시행령(대통)-규칙(총리 부)
ASSA ABLO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삼화정밀(주)
▶주차장환기용FAN : 행거팬(HANGER FAN), 유인팬(誘引fan), 롱팬(LONG FAN)
유인 팬 (SINGLE FAN/ 誘引fan/誘引通風機):실내나 특정 장소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팬. 가스의 배연과 확산을 돕는다.
▶건축(건설)용 :DUCT INLINE FAN (BACKWARD TYPE)DUCT INLINE FAN (BACKWARD TYPE)/AXIAL FAN /ROOF FAN /ECOGREEN ROOF FAN (HYBRID ROOF FAN )/WALL FAN-가장흔한 창문이나 벽에 붙은 프라스틱케이스 /CEILING FAN(천정형)-화장실 천장에 붙어서 X냄새 배출시키는 놈으로 공조방식의 냉난방 디퓨져와 헷갈리지 말것
▶공조용 :SIROCCO FAN /AIRFOIL FAN
▶산업용 :TURBO FAN /AXIAL FAN
▶내열용 : 화재 고온에 일정시간 견딜수 있는 구조
//
◈ 환기의 방식 : ***급배 급배 자 1 23 4***
-1종환기-급배기를 기계장치로 하는 환기 방법을 말합니다. 병용식이라고도 하며, 열교환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열교환기는 실내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열교환 시킴으로써, 열에너지의 낭비를 막게 해주죠.
-2종환기-급기는 기계적인 방법, 배기는 자연배기를 하는 방식이며, 압입식 환기법이라고도 합니다. 2종환기를 하게 되면 실내를 양압으로 유지 시킬수가 있어서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차단할수 있는 효과가 있기에, 병원의 수수실등에서 이러한 방식을 채택합니다.
-3종환기-급기는 자연급기를 하고 배기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하는 방식이며, 흡출식 환기법이라고도 합니다. 3종 환기를 하게 되면 실내가 음압으로 유지 됩니다. 그러면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의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위해 음압병실을 이용한다고 하죠. 바로 바이러스의 외부유출을 막기위해서 2종환기 방식으로 실내를 음압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4종환기-급배기를 자연으로 하는 방식입니다. 문을 열어두면 자연스럽게 공기가 들어왔다 나가는 방식, 하지만 여름철,겨울철 열손실이 많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
■ Summary
공기를 이송하는 설비는 압력에 따라 Fan, Blower, Compressor로 나뉨
- 저압(1,000mmAq 미만)의 공기 이송 : Fan (팬)
- 중압(1,000mmAq ~ 10,000mmAq 미만)의 공기 이송 : Blower (블로워)
- 고압(10,000mmAq 이상)의 공기 이송 : Compressor (콤프레샤)
//
// That's okay Take your time
▷ VIPAM3300F 디지털 복합 보호계전기 사용설명서
(주)비츠로이엠
오성기전(주)
두산디엔텍 032-464-0397
▷비상발전기 Model : DJG-750D stand-by[스탠-바이] 750Kw / 937.5KVA
대전기계공업(주) Daijeon Machinery
주소 (17703)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수월암4길 239
전화번호 031 - 668 - 7700
EOCR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
THR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 Overload Relay):과부하계전기 또는 서멀릴레이라고도 하며 주로 전동기설비의 과부하 보호에 사용된다.
과부하 전류가 흐르면 내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바이메탈이 동작하여 접점이 차단되고==> 전자접촉기의 회로를 차단(전원OFF)하므로서 부하와 전선의 과열을 방지하는데 사용한다.
EOCR전자식 과전류(과부하) 계전기(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전동기에 과부하전류가 공급되면 동작되는 과전류계전기 중의 하나로 THR인 열동계전기를 대신하는 계전기이다.
중요한 설정치는 과전류(Current), 기동 지연시간(D-time), 과전류 동작 시간(O-time)입니다.
- 과전류(Current) : 해당 전동기 정격 전류치 설정
- 기동 지연시간(D-time) : 현장 장비의 Y-Delta기동 특성에 따라 설정
- 과전류 동작 시간(O-time) : 보통 5초로 설정
삼화DSP㈜ // 낮설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