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뉴얼(manual)- 더 콜럼버스1차 지식산업센터
충남 아산시 탕정면 용머리길16 (용두리695)
고객지원센터(관리사무소) 041-910-2300
충남 아산시 탕정면 용머리길16 (용두리695)
고객지원센터(관리사무소) 041-910-2300
건축설비 공용부(실) 명칭
STAIR(스테어) : 계단
PD (PIPE DUCT) : 설비 배관용 이동통로
PS ( PIPE SHAFT) : 설비배관 통로 PD = PS 같은 의미로 사용됨 기계설비의 급,배수,온수의 이동 통로실 ....
유수검지장치실 : 알람밸브, 프리 액션 밸브 설비 시설물의 장치 점검실
AV (ALARM VALVE) : 알람밸브
(Pre-Action Valve) : 프리 액션 밸브
EPS ( ELECTRIC PIPE SHAFT ) : 말그대로 전기 이동통로실 , 전기전용 통로실
TPS ( TELEPHONE PIPE SHAFT ) : 통신실 , 통신 전선이동 통로실
AD (AIR DUCT) : 환기설비를 위한 공간 , 복도나 화장실 부근에 있음 ,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
DA ( DRY AREA ) : 환기 통로 ..... 지하층과 지상층이나 환기가 어려운곳과 연결되어 환기통로의 의미
습기를 말려주고 빛과 공기가 등이 이동되고 환기되도록 하는 통로
드라이브인( Drive-in ) 차량 진입 최대 높이는 3.3m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인승5대 [18인승-인·비·장]
좌측안쪽 (승강기번호 5098-155)
좌측입구 (승강기번호 5098-156)
우측입구 (승강기번호 5098-057)
우측중앙 (승강기번호 5098-058)
우측안쪽 (승강기번호 5098-059)
●화물2대 [적재용량 5,000Kgf-화·장]
좌측 (승강기번호 5098-139)
우측 (승강기번호 5096-406)
//-화물 승강기 입구는 1.8m(W)Ⅹ2.2m(H)이며, 내부는 2.3m(W)Ⅹ3.8m(D)Ⅹ2.4m,
적재용량 5,000kg
더콜럼버스 1차 ㎡ 적재하중
(적재하중 : ①드라이브인 105KN/㎡, ②라이브, 섹션오피스 6KN/㎡), ③근생 5KN/㎡)
//입주 안내문에 나와있는 단위를 일생에 쓰는 단위로 바꾸어 본 것인데
쉬운것 같은데 헷갈리네요
//결론
①드라이브인 10ton/㎡
②라이브, 섹션오피스 600Kgf/㎡
③근생 500Kgf/㎡
//계산식
1N = 1/9.8 Kgf
①드라이브인 105000÷9.8=10,714Kgf ≒ 10,000Kgf ≒ 10ton
②라이브, 섹션오피스 6000÷9.8=612Kgf≒ 600Kgf
③근생5000÷9.8=510Kgf≒500Kgf
분리형(고정형) 방화셔터 와 비상문
분리형(고정형) 방화셔터
갑종방화문*이 설치된 3m이내에 설치된 셔터로
2022년 1월 30일 이후 허가건축물에는분리형 셔터 설치
일체형 방화셔터*
방화셔터의 일부에 피난을 위한 출입구가 설치된 셔터로
지하철에 주로 설치
* 일체형 방화셔터는 피난로 인지 지연 및 처짐 현상으로 인한 비상문 개폐 어려움 등이 발생함에 따라 「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기준(2020.1.30.)」
일부 개정안에 근거하여 설치가 금지됨
* 갑종방화문 : 화재연소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일정 기준 이상의 소재로 만든 문
▶제연설비 설치 대상?
1.바닥면적이 200㎡ 이상의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등
2.지하층 및 무창층에 설치 된 근린생활시설, 판매/운수/숙박시설 등
3.연면적 1,000㎡ 이상의 지하가
4.특정소방대상물에 부설된 특별피난계단,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피난용 승강장 등 //밑줄 그은 부분 집중
평상시 열려있으나 화재경보 발생시 연동되어 자동으로 방화문이 닫힘
전기 온돌 바닥난방
9~10층 라이브 오피스live office 바닥난방 : 전기온돌
난방 바닥온돌 온도조절기 : 우리엘전자(주)
Acts238 uriel
전기온돌 시공사: 대원유니온(주) 02-831-2778
썬빅 대성에너텍 대용량 전기온수기
-설치위치 :샤워실 로비벽 방화문
서비스 접수 1577-6291 (031-434-5977)
고객상담실 031-434-5900~5
지하1~8층 : EHP냉난방
9~10층 : EHP냉방 +바닥전기온돌
전열교환기 ERV(Energy Recovery Ventilator)
열회수 환기시스템은 배기되는 폐열을 외기와 열교환하는 방식으로 급기와 배기가 기계적으로 송풍기에 의하여 상시 가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환기방식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체적으로 열을 교환한다는 의미로 간단히 ‘전열교환기’로 부르고 있습니다. 영문으로는 Energy Recovery Ventilator (ERV) 라고 표기합니다.
//
더콜럼버스1차 전열교환기 사용설명서
//
전기용량 공장: 26Kw
섹션오피스 26Kw
라이브오피스 11Kw
상가: 19Kw
////////////
한 평생 시험봐서 붙은것 보다 떨어진게 10배 정도 많았으니 공식을 잊어버리는 건 머리가 나빠 그럴 수도 있것다고 위로가 된다. 그런데 개념을 잊어 먹었을 땐 슬프구나. 힘들게 노가다 해서 번 돈 사기 맞은 느낌이다. ( 231222 素道)
●왜? 삼상 380V와 단상 220V 단락용량 공식이 달랐었지??
》》》회로에서 최악의 사고는 선간단락 인지 상간단락 사고인지 생각해보자.
》》》단상 220V는 선간전압인가 상전압인가? // 생각해본 사람 분명이 있다.
●왜? 삼상 380V보다 단상 220V 차단기 A수치가 낮았지??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감전이 무섭겠지만 전기회로의 입장에서는 지가 죽게될 단락 사고가 젤로 무서울겨 //왜 차단기는 자동으로 떨어져야 하는가를 (과부하,누전,과전류)생각해봐요
》》》쎈 전압에는 약한 전류에서 트립되는 차단기를 달아야 하는 이유가 갑자기 헷갈리면 안돼!
산수에서 분수(나누기)가 안돼면 그날로 요양원에 입소해야 하네
》》》
단상 220V일 때, 부하전력 공식은 P=VI이다. 따라서 부하전류는 까이꺼 I=P/V이다.
예)부하전력(용량) 10Kw쓸려면 전압은 220V로 고정이니 45.45=10000/220 대충 차단기는 50A짜리
3상 380V일 때, 부하전력 공식은 P=√3VI이다. 따라서 부하전류는 I=P/√3V이다.
예)부하전력(용량) 10Kw쓸려면 전압은 대략 660V로 까이꺼 하니 15.15=10000/660 대충 차단기는 20A짜리 //660V로 까이꺼 이렇게 하지마!!! V가 660이 되는게 아니잖아
■개념정리
*우리나라 발전소 발전기는 동기발전기이고 일반적으로 3상 동기 발전기는 Y결선되어 있다.
*비상용 발전기도 동기발전기이다. 대부분 3상 4선식으로 전기를 공급한다.
*상전압(E)이란 동기발전기 한개의 상에 걸리는 전압을 말한다.
*상전압=대지전압 이란 개념도 있었다.
*정격전압 = 단자전압 = 선간전압(V) = 유기기전력(E) * √3 공부한것 같다.
*건물관리에서 신경써야하는 99.9% 전기회로는 병렬로 구성되어 있다.
/////////////
////////////
▶전력량(=전기사용량) : 전기제품이 사용한 전기에너지의 양 (시간과 관계 있음)
- 일을 한 양으로 물리학에서는 일이라고 함
- 단위 : WH(와트시), KWH(킬로와트시)
- 전력량 = 전력 X 시간(H) = 전압 X 전류 X 시간
▶교류전력
유효전력P=VIcosθ=I^2R [W]
무효전력Pr=VIsinθ=I^2X [var]
피상전력Pa=VI=I^2Z [VA]
▶직류전력
P= VI = V^2/R = I^2R [W]
////////////
APU 누전차단기(비상전원자동절체기)
APU 누전차단기(비상전원자동절체기)
상시에는 동작을 하지 않고 있다가 비상시 비상전원으로 절체되는 일종의 ATS 같은 차단기입니다.
상시전원을 사용하고 있을때는 일반전원부 라는 곳에 불이 켜지고,
비상시에는 절체되어 비상전원이라는 곳에 불이 켜지면서 자동으로 한전 전원에서 비상발전기 전원으로 절체하는 차단기입니다.
//누전발생시 APU 누전차단기(비상전원자동절체기)라인도 생각을 해야 한다는 것
//APU(Automatic power switching unit)
수전용량7000Kw 비상발전용량750Kw 태양광48.195Kw
▷수전용량
TR1(공장형) 1500KVA
TR2(공장형) 1500KVA
TR3(일반 및 비상) 2000KVA
TR4(일반 및 비상) 1250KVA
TR5(라이브형) 750KVA
더콜럼버스1차 지식산업센터
일반용(을)고압A 선택Ⅰ
기본요금(원/kW)7,220
전력량요금(원/kWh)
경부하
여름철(6~8월)92.8
봄·가을철(3~5월, 9~10월)92.8
겨울철(11~2월)99.8
중간부하
여름철(6~8월)145.7
봄·가을철(3~5월, 9~10월)115.3
겨울철(11~2월)145.9
최대부하
여름철(6~8월)227.8
봄·가을철(3~5월, 9~10월)146.0
겨울철(11~2월)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