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self-driving car)는 운전자가 차량을 조작하지 않아도 차량의 장애물 감지 센서, 중앙 제어 장치와 같은 첨단 시스템 기술을 통해 상황을 인지하여 스스로 목적지까지 가는 자동차를 말하는데, 이 자율 주행 능력은 미래 자동차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란 운전자나 승객의 조작 없이 사람의 인지, 판단, 제어 기능을 대체하여 자동차 스스로 운행이 가능한 자동차를 말합니다. 미국 자동차 기술학회(SAE)에서는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개입 여부 혹은 자동화 수준에 따라 6단계로 구분하는데, 차량이 교통신호와 도로의 흐름을 인식할 수 있는 3단계부터 자율주행차로 보고 있습니다. 3단계는 부분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긴급 상황에서 운전자 개입이 필요하고, 4단계는 긴급 상황에도 정해진 구간에서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알아서 처리합니다. 5단계는 완전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자동차 내부에 페달과 운전대가 아예 사라지게 됩니다.
자율주행차의 원리
자율주행차는 어떻게 스스로 움직이는 것일까. 사람이 운전할 때를 생각해 보면, 눈으로 주변을 살피고, 어느 방향으로 갈지 머리로 생각하면서 손으로는 운전대를, 발로는 페달을 조종합니다. 자율주행차에도 이런 기능이 필요합니다. 자율주행차는 사람의 몸과 머리 대신 각종 전자 기기를 통해 이런 기능을 수행합니다.
먼저 여러 가지 센서로 자동차 앞과 주변 환경을 살펴봅니다. 카메라 센서는 사람의 눈으로 보듯이 영상 이미지를 얻습니다. 레이더 센서는 주변 물체의 형태를 인식하고 거리를 정교하게 측정합니다.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PS)과 관성 측정 장치(IMU)는 자율주행차가 어느 위치에서 어느 정도 속도로 가고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이렇게 얻은 정보를 고성능 차량용 컴퓨터가 분석해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빠르게 달릴 것인지를 계산하고 결정합니다. 여기에 맞춰 자동차의 방향을 바꾸는 조향 장치와 속력을 조절하는 구동 장치를 스스로 움직여 가며 운전합니다.
보다 완벽한 자율주행을 위해 사물인터넷 기술이 이용될 수도 있습니다. 자율주행차가 교통 시스템, 다른 자동차들과 인터넷으로 연결돼 도로 상황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는다면 더욱 안전하고 원활한 운행이 가능할 것입니다.